$\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리에 관한 연구 -피부미용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Skin Health Knowledge and Treatment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 and non-major in skin ca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7, 2012년, pp.2886 - 2894  

최성임 (명지전문대학 피부미용과) ,  권영낭 (권영낭 피부미용연구소) ,  이계영 (순천제일대학 뷰티케어과)

초록

본 연구는 서울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 여학생들의 피부건강관리의 관심도와 피부상태, 인식 및 관리 행위의 차이점 및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공자들과 비전공자들의 대한 비교 분석은 동일한 생활권에서 궁극적으로 전문 학습과 비 전문학습의 일반적인 상태에 대한 지식과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전공 여대생이 비전공 여대생에 비해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피부미용 전공 여대생은 복합성 피부, 비전공 여대생은 건성 피부가 많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피부 관리 실태에서 색조화장 후 전공여부에 따른 이중세안 정도, 각질 정리 횟수, 마사지나 팩 관리횟수, 선크림 사용 항목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 p<.001, p<.01, p<.01). 오백식품 및 인스턴트식품의 영향정도와 수분섭취 항목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p<.05). 화장품 사용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효율적인 구매를 하는 경향이었으며, 탁월한 기능이 있을 때는 경제적 부담이 있어도 구입 의향 항목에서 적극적인 성향인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피부미용 산업 및 교육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cern with beauty care, their skin condition, knowledge and treatment comparing the majors with the non-majors in Seoul.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m focused on their education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beauty care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 여학생들의 피부건강관리의 인식 및 관리 행위를 비전공 학생들과의 차이점을 파악 하여 피부건강관리를 위한 올바른 지식 전달과 보다 효율적이며 실천적인 피부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외모관리에 가장 민감한 시기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여대생들 중에서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을 대상으로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인식과 관리 행위에 관한 비교를 통하여, 인식과 지식의 차이가 관리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피부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리행위 결과물들의 상이성과 일반적인 지식과 관리행위의 세부 문항, 다양성, 통일성 등을 아울러 조사 및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이미지란 무엇인가? 신체이미지란 체험적으로 지니고 있는 자신의 신체에 의한 의식이나 심상을 말하며, 개인이 자신의 신체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통합된 인식과 지각으로 신체에 관한 인지적 지식 뿐 아니라 소망, 감정적 태도, 타인과의 상호작용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라 주장하였다.[9]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가는 그 사람의 사고와 행동 심리적 안녕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여성의 자기존중감은 외모에 대한 매력지각과 상관이 높은데 비해, 남성은 신체의 능력과 기능에 대한 평가가 주로 자기 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의 자기존중감은 외모에 대한 매력지각과 상관이 높은데 비해, 남성은 신체의 능력과 기능에 대한 평가가 주로 자기 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10] 이 같은 현상을 신체나 외모의 아름다움이 여성에게 특별히 중요한 특성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사회 문화적 미의 이미지를 더욱 특별하고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대중문화의 열기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멋있는 남자가 성공한다.
피부건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요인으로 무엇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가? 피부건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요인으로서 식습관, 식품, 영양, 항산화식품, 기능성식품, 화장품, 스트레스, 생활환경, 흡연, 각종 약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효과 등 직접적인 영향과 효과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간접적인 인식과 관리 분야에 관한 연구로는 외모관리 및 자아존중감, 관리프로그램등 다수 발표되고 있으나, 피부건강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차이가 관리 및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yong, Eun-jin, A Study of on Knowledge and Behavior for skin Health Care: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and 30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2000. 

  2. Bae, Soo-Hyun, Moon, In-Ok, Kim, Yeon-He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kin Health and Skin Health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0, No.1, pp147-158, 2003. 

  3. Bae, Hyang-Sun, College And University Girl Students' Awareness and Behavior of Skin Care,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Vol.3, No.1, pp177-188, 2005. 

  4. Baek, Kyoung-Jin, Kim, Mi-Young, Make-up Behavior and Influential Factors: Focusing on Clothing Involvement, Age and Fac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8, No.7, pp892-903. 2004. 

  5. Sohn, Hee-ae, A study on the realities of skin care and body-shape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preference,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6. 

  6. Shin, Eun-Ju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Skin Health Care of High School Girls. master thesis. Yeungnam University, 2007. 

  7. Lee, Hye-won, A Study on the Women's Understanding of Skin Care and Preference. master thesis.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8. Ha, Moon-sun,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current status of skin care of the working women. master thesis.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7. 

  9. Hong, Jin-I, Health State of Women's Skin and Relevant Life Style. master thesis.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7. 

  10. Cash, T. F. & Pruzinsky, T.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p198-201, pp251-252, 19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