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작업환경, 휴식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Computer Workstation, Rest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7, 2012년, pp.3037 - 3047  

윤태형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차태현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황상희 (가톨릭상지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휴식, 컴퓨터 작업 환경과 근골격계 증상과 위험비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K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685부를 최종회수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컴퓨터 사용시 통증부위는 허리, 어깨, 목의 통증을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통증부위별 통증유무에 따른 작업자세 및 환경평가점수의 차이는 통증이 없는 사람이 통증이 있는 사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통증부위와 작업환경과 음의 상관이 보인 것은 책상(어깨), 의자(목, 어깨, 허리, 무릎, 발목/발), 모니터(어깨, 허리), 키보드(목, 어깨, 엉덩이/허벅지, 발목/발) 등의 결과가 나타났다.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위험비(odds ratio)는 목은 모니터, 무릎과 발목/발은 의자의 환경이 좋을수록 통증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증상이 관련성이 있으며 컴퓨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 작업환경을 개선해줌으로써 근골격계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research to look into rest, computer work environment and muscle and bone symptom of high school students in some area. With high school students in K area as the object the questionnaires of self-writing type were distributed and the final 685 copies were collect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한, 일반적 특성과 컴퓨터 작업 환경, 근골격계 증상을 알아보고 앞으로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방안과 예방프로그램을 강구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일부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둘째, 부위별 통증과 작업환경과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 본 연구의 일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휴식, 컴퓨터 환경, 근골격계 증상 및 피로자각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 컴퓨터를 사용하는 학생들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복적인 작업자세로 인해 나타나는 피로현상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흔히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은 대개 반복적인 동작으로 인한 근육의 사용과 과도한 업무로 오는 국소적 근육의 긴장으로 발생한다[8]. 또한, 반복적인 작업자세로 인해 피로현상이 나타나는데[9], 이러한 피로현상으로 인해 탈진, 생리학적 기능의 저하, 자율신경계의 파괴, 작업효율의 감소, 일상생활문제, 시각계, 근골격계의 증상, 두통, 스트레스, 피부 장애와 생식기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10].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근골격계 증상을 야기하는 상황은? 고정된 자세로 자판을 두드리고 모니터를 쉴새 없이 쳐다보는 반복된 과정에서 목, 어깨, 팔, 손등과 허리의 통증과 피로자각증상을 경험한다[5]. 컴퓨터 사용처럼 반복적으로 키보드를 쳐야 하는 상황이 근골격계 증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다[6].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환경과,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연구의 의의는?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일부 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작업환경과,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둘째, 부위별 통증과 작업환경과의 상관성이 나타났다. 셋째, 컴퓨터 작업환경과 통증부위별 상관성을 알아내었다. 넷째, 작업자세 및 작업대의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일부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킬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일부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모집단의 대표성이 결여된다는 점과 주관적인 자기기입식방법에 의존하여 측정하여 응답편의(response bias)가 개재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Internet Current Situation. 2010. 

  2. S. J. Shin., S. H. Lee., M. Y. Jung, "The effect of computer work position and workstation on musculoskeletal pa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12, No.2, pp. 83-90, 2004. 

  3. M. H. Yun., Y. G. Lee., H. T. Eoh., S. H. Lim, "Results of survey on the awareness an severity assessment of upper-limb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emale bank teller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27, No.5, pp.347-357, 2001. 

  4. S. Y. Heo, "The effects of hold-relax and active stretching on recoveries of muscle fatigue after computer work",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2006. 

  5. C. J. Lim, "Study on subjective symptom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electronic industr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2003. 

  6. Rossignol, A. M., Morse, E. P., Summer, V. M., " Video display terminal use and reported health symptoms among Massachusetts clerical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29, No.2, pp. 112-118, 1987. 

  7. Admit, R., "Working posture and musculoskeletal problems of video display terminal operators-review and reappraisal",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Vol.44, No.6, pp. 437-446, 1983. 

  8. J. H. Jung, "A study on the effect of forearm supporter and elbow height when using mouse",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05. 

  9. Deed, E., Harrison, D. C., "Anterior head translation: Biomechanics measurement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Chiropractic, June, 2002.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Visual display terminal and worker's health", Vol.1, No.4, 1987. 

  11. Y. H. Choi, "A study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operators",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2001. 

  12. Y. H. Baek,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Vol.80, No.1, pp. 42-44, 1994. 

  13. K. Y. Park, K. J. Bak, J. G. Lee, Y. S. Lee, J. H. Roh, "Factors affecting the complaints of subjective symptoms in VDT operato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9, No.1, pp. 156-169, 1997. 

  14. C. Y. Park, K. H. Cho, S. H. Lee, "Cervicobrachial disorders of female international telephone operators I. Subject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1, No.2, pp. 141-50, 1989. 

  15. S. H. Yim, Y. G. Lee, J. J. Cho, J. I. Son, J. C. S, "Symptoms preval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lated factors among bank workers by visual display terminal us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9, No.1, pp. 85-98, 19978. 

  16. K. M. Eom, "Related facors and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who major in computer science",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2009. 

  17. D. U. Lee, "Impact of personal computer use on musculoskeletal symptoms in middle and high scholl students",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23, No.6, pp. 760-768, 2002. 

  18. C. Y. Jin, S. M. Lee, "The effect of computer work on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fatigue of the blind",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25, No.2, pp. 67-80, 2009. 

  19. H. S. Park, "The effect of VDT work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deluxe hotel", Journal of Tourism Studies, Vol.20, No.1, pp. 217-225, 2006. 

  20. E. C. Lee, H. C. Kim, D. Y. Jung, D. H. Kim, J. H. Leem, S. G. Park, "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VDT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eck and shoulder among whit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19, No.3, pp. 187-195, 2007. 

  21. A. S. Park, I. S. Kwon, Y. C. Cho,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0, No.8, pp. 2164-2172, 2009. 

  22. S. J. Lee, J. D. Kang,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Hygienic Sciences, Vol.5, No.2, pp. 1010-110, 1999. 

  23. S. N. Yang, "A study on state of computer use and VDT subjective symptoms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2003. 

  24. DoD Ergonomics Working Group. "Creating the ideal computer workstation: A step-by-step guide", 2000. 

  2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Guideline of survey about risk factor relating to musculoskeletal disorders"(Translated by Sangchul Roh). Incheon. pp. 10-11, 2003. 

  26. Kourinka, I., Jonsson, B., Kilbom, A., "Standardised Nordic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of musculoskeletal systems", Applied Ergomics, Vol.18, No.3, pp. 233-237, 1987. 

  27. S. D. Lee, K. S. Kim,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e and occupational factors in VDT operator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Vol.18, No.6, pp. 70-83, 2001. 

  28. K. H. Park, M. C. Kang, I. S. Oh, G. U. Kim, "KIAS: the Korean internet addictions scale and a survey on the internet addictions in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Vol.26, No.12, pp. 292-304, 2001. 

  29. Hagberg, M., "ABC of work related disorders. Neck and arm disorders", British Medical Journal, Vol.313, No.7054, pp. 419-422. 1996. 

  30. Luopajarvi, T., Kuorinka, I., Virolainen, M., Holmberg, M., "Prevalence of tenosynovitis and other injuries of the upper extremities in repetitive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Vol.5, No.3, pp. 48-55, 1979. 

  31. Punnett, L., Robins, J. M., Wegman, D. H., Keyserling, W. M., "Soft tissue disorders in the upper limbs of female garment worke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Vol.11, No.6, pp. 417-425, 1985. 

  32. Y. H. Jung, "Use of computers by teenagers and the effect on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2002. 

  33. H. Lee, "A new case of fatal pulmonary thromboembolism associated with prolonged sitting at computer in Korea", Yonsei Medical Journal, Vol.45, No.2, pp. 349-351, 2004. 

  34. Misawa, T., Yosino, K., Shigeta, 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tion of a single spell of work on VDT(visual display terminal) performance", Japanese Journal of Industrial Health, Vol.26, No.4, pp. 296-302, 1984. 

  35. Niche Software Ltd., "WorkPace Computer Use Analysis Report", pp. 7, 2004. 

  36. J. P. Lee, "The study on the effects of short break time for the prevention of MSDs on the VDT Work",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2008. 

  37. J. C. An, "The effect of rest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hand pain during visual display terminal work",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10. 

  38. Saito, S., Miyao, M., Kondo, T., Sakakibara, H., Toyoshima, H., "Ergonomic evaluation of working posture of VDT operation using personal computer with flat panel display", Industrial Health, Vol.35, No.2, pp. 264-270, 1997. 

  39. Neumann, D. 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osby, 2002. 

  40. J. I. Son, S. J. Song, J. C. Song, H. B.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psychological symptoms on some VDT work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8, No.2, pp. 433-449, 1995. 

  41. D. Q. Kim, S. H. Cho, T. R. Han, H. J. Kwon, M. N. Ha, N. J. Paik, "The effect of VDT work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Vol.10, No.4, pp. 524-533, 1998. 

  42. Y. K. Lee, H. S. Park, D. S. Kim, "Ergonomic analysis of office chairs and desks against ministry of labor notification and korean standar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ccupational Environmental Hygiene, Vol.19, No.1, pp. 16-24, 2009. 

  43. Bergqvist, U. O., "Video display terminals and health: A technical and medical appraisal of the state of the databas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Vol.10, No.2, pp. 87, 1984. 

  44. D. K. Yoon, "A study for the changes of workload at varying positions of computer monitor and mouse in computer work",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