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형상의 판형 열교환기 열전달 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the Various Type Plate Heat Exchanger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24 no.8, 2012년, pp.636 - 645  

오재경 (조선대학교 기계공학과 대학원) ,  안성국 (삼일산업(주)) ,  남상철 ((주)LG 전자) ,  조홍현 (조선대학교 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formance of various type plate exchangers with different chevron angle, dimple size and arrangement was analysed by using Ansys v13.0. Heat transfer performance, pressure drop and flow patten of plate heat exchanger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mass flow ratio investigated and compared.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반해 판형 열교환기의 내부에서 난류유동이 발생하는 경우의 유체유동 및 열전달 특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특히 판형 열교환기 모델을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열전달계수, Re, Nu 및 압력강하에 대한 수치해석 및 실험데이터에 대한 연구가 많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용 CFD 소프트웨어인 Ansys v13.0을 이용하여 산업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형 판형 열교환기를 3D 모델로 해석하였으며 여러 가지 형태에 따른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제 판형 열교환기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디자인하여 설계 시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려 한다.
  • 쉐브론 형상의 판형 열교환기는 주름의 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적층되고 각각의 전열판 사이에 고온측과 저온측의 유로가 형성되게 설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전열판을 기준으로 대향류로 흐르는 저온과 고온 유체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유체와 유체 사이의 열교환은 중앙의 전열판에서 일어나며 판의 외부는 단열된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동유체는 물로 설정하고 난류영역에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판형 열교환기에 대한 수치 해석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내부유동은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판형 열교환기에서 질량유량비에 따른 성능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쉐브론의 각도, 딤플의 지름, 배치를 변화시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연구에서는 흡수식 냉온수기에 사용되어지는 대형 판형 열교환기의 성능특성 및 내부유동을 분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쉐브론 형상과 딤플 형상의 판형 열교환기를 설계하였다. 판형 열교환기의 크기는 1180×280×1.
  • 0을 이용하여 산업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형 판형 열교환기를 3D 모델로 해석하였으며 여러 가지 형태에 따른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제 판형 열교환기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디자인하여 설계 시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려 한다.

가설 설정

  • 3. 작동유체의 물성치는 항상 일정하다.
  • 4. 오염에 의한 열전달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다.
  • 5. 각 유체의 입구온도는 일정하다.
  • 저온측과 고온측의 작동유체와 중앙의 고체 전열판으로 구성되며 테트라헤드론(Tetraheadron) 형상을 가지는 270만개의 메쉬로 구성되어 있다. 유체와 유체 사이의 열교환은 중앙의 전열판에서 일어나며 판의 외부는 단열된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작동유체는 물로 설정하고 난류영역에서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판형 열교환기가 1920년대 개발이 되었지만 일부 산업에만 주로 사용된 이유는? 판형 열교환기는 1920년대 개발되었지만 다른 열교환기에 비해 열전달 성능이 좋지 못해 식품가공 및 의약품 제조 등 일부 산업에서만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1950년대 헤링본 패턴과 쉐브론 형상의 판형 열교환기가 개발됨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판형 열교환기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러 분야에 판형 열교환기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이유는? 판형 열교환기는 1920년대 개발되었지만 다른 열교환기에 비해 열전달 성능이 좋지 못해 식품가공 및 의약품 제조 등 일부 산업에서만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1950년대 헤링본 패턴과 쉐브론 형상의 판형 열교환기가 개발됨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판형 열교환기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의 압력강하, 전열면적, 내부유동 및 열전달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CFD)을 이용한 3D 해석을 진행하여 내부의 난류유동 및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이유는? 따라서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의 압력강하, 전열면적, 내부유동 및 열전달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또한 판형 열교환기는 복잡한 유로 형상으로 내부의 난류유동 발생 및 열전달 특성 해석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실험을 통해 열교환기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운전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수치해석에 비해 비능률적이고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CFD)을 이용한 3D 해석을 진행하여 내부의 난류유동 및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Martin, H., 1996, A theoretical approach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chevron-type plate heat exchangers, Chemical Engineering and Processing, Vol. 35, pp. 301-310. 

  2. Fernandes, C. S., Dias, R. P., Nobrega, J. M., and Maia, J. M., 2007, Laminar flow inchevron- type plate heat exchanger:CFD analysis of tortuosity shape factor and friction factor, Chemical Engineering and Processing, Vol. 46, pp. 825-833. 

  3. Metally, H. M. and Manglik, R. M., 2004, Enhanced heat transfer due to cuvature-induced lateral vortices in laminar flows in sinusoidal corrugated-plate channels, Heat and Mass Transfer, Vol. 47, pp. 2283-2292. 

  4. Fernandes, C. S., Dies, P. R., Nobrega, J. M., and Maia, J. M., 2007, Laminar flow in chevron- type plate heat exchanger:CFD analysis of tortuosity shape factor and friction factor, Chemical Engineering and Processing, Vol. 46, pp. 825-833. 

  5. Ciofalo, M., Strasiek, J., and Collins, M. W., 1996, Investiagtion of flow and heat transfer in corrugated passages-II. numerical simulations, Heat and Mass Transfer, Vol. 39, pp. 165-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