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판형 열교환기 크기에 따른 전열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Large and Small Sized Plate Heat Exchang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528 - 534  

박재홍 (디에이치피이엔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판형 열교환기의 초기 개발 및 사용은 19세기 후반 유제품 내 존재하던 각종 바이러스의 살균에 대한 엄격한 법규 대응을 위해 시작되었고, 1920년대가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상업화되었다. 이후 판형 열교환기의 기본 컨셉은 지금까지도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고온, 고압 그리고 대용량 열교환에 적용되기 위해 설계 및 제작 방법들이 혁신적으로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의 형태와 같은 쉐브론 타입 주름 전열판의 개발은 1970년대 후반 오일 쇼크 이후 에너지 합리화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요구들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시작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판형 열교환기의 개발 트렌드는 전열 효율이 좋으면서 압력강하가 낮고 또한 유체 분배가 잘되는 대형 전열판의 개발과 일치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열판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동일 골깊이와 주름피치를 가진 소형 전열판과 대형 전열판의 열성능을 각 채널(H, M, L type)별로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대류열전달계수의 경우, 소형 전열판이 대형 전열판에 비해 H type의 경우 평균 16.5%, M type의 경우 25%, 그리고 L type의 경우 약 40% 정도 더 높았다. 압력강하의 경우는 소형 전열판이 H type의 경우 평균 19%, M type의 경우 46%, 그리고 L type의 경우 약 61% 정도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러 예상되는 요인들 중 두 전열판의 유체분배부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rly development and use of plate heat exchangers (PHE) were in response to stringent statutory requirements from dairy products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PHEs were not exploited commercially until the 1920s. Since then, although the basic concept of PHEs has changed little, its design and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일 골깊이(plate depth)와 피치 (corrugation pitch)를 가지고 있는 소형 전열판과 대형 전열판에서 판형 열교환기 열설계의 핵심인 대류열전달 계수와 압력강하특성을 실험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판형 열교환기 전열판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드존(dead zone)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이유로 대형 전열판에서는 구조적 안정성과 관계되는 부분의 설계와 함께 유체 분배부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만일 유체분배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전열부 전체로 유체가 고르게 흐르지 못하고 일부 구간에서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유체분배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FD 유동해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대형 전열판에서 유체 분배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만일 유체분배에 문제가 있을 경우, 전열부 전체로 유체가 고르게 흐르지 못하고 일부 구간에서는 유체가 흐르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유체분배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FD 유동해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 Magnusson and B. Samuelson, The Story of the Alfa Laval Plate Heat Exchanger and the Spiral Heat Exchanger, p.128, Norstedts Tryckeri, 1985, p.128. 

  2. L. Wang, B. Sunden and R.M. Manglik, Plate Heat Exchangers, p.269, WIT Press, 2007, pp.70-73. 

  3. S. H. Sohn, J. H. Shin, J. C. Kim, S. H. Yoon and K. H. Lee, "A Numerical Study on the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in the Hot Channel of Plate heat Exchanger with Chevron Shap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ing, Vol.30, No.4, pp.175-185, Apr. 2018. DOI : https://doi.org/10.6110/KJACR.2018.30.4.175 

  4. H. J. Kim, Y. K. Jung, H. S. Lee, J. I. Yoon and C. H. Son, "A numerical study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plate heat exchanger using at sea- water air conditioning with the variation of channel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38, No.6, pp.704-709, Jul. 2014. DOI : https://doi.org/10.5916/jkosme.2014.38.6.704 

  5. D. K. Kang, S. P. Kim, I. J. Hwang, J. H. Lee, T. W. Do and W. Y. Yeo, "A Numerical Analysis Study on Plate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by Corrugation Angle and Pit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Vol.11, No.3, pp.154-159, 2012. 

  6. B. H. Kang and S. K. Han, "Effects of Plate Pitch and Chevron Angle in a Plate Heat Exchanger on Thermal Energy Performance",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15, No.3, pp.194-200, 2004. 

  7. AHRI, 2015 Standard for Performance Rating of Liquid to Liquid Heat Exchangers, p.16, AHRI, 2015, p.8. 

  8. ASME, ASME PTC 12.5-2000 Single Phase Heat Exchangers, p.143, ASME, 2000, pp.39-41. 

  9. P. Farrell, K. Wert and R. Webb, "Heat Transfer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Turbulator Radiator Tubes", SAE Technical Paper Series, No.910197, Feb. 1991. DOI : http://dx.doi.org/10.4271/910197 

  10. R. K. Shah and W. W. Focke, Plate heat exchangers and their design theory, in Heat Transfer Equipment Design, R. K. Shah, E. C. Subbarao, and R. A. Mashelkar(eds.), p809, Hemisphere Publishing, 1988, pp.227-2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