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알콜음료 중 다량무기질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6~12월 중 서울지역 대형유통센터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 207건, 액상커피 24건 및 액상차 19건을 구입하여 습식분해로 전처리 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량무기질 평균 함량은 칼륨 $208.4{\pm}298.2mg/L$($72.2{\pm}169.8mg/container$, 검출율 100%)> 칼슘 $89.0{\pm}161.0mg/L$($26.0{\pm}57.7mg/container$, 검출율 88.4%)> 나트륨$71.2{\pm}75.0mg/L$($20.9{\pm}27.9mg/container$, 검출율 100%)>인 $55.6{\pm}91.9mg/L$($17.9{\pm}33.8mg/container$, 검출율 93.2%)> 마그네슘 $6.1{\pm}18.4mg/L$($2.4{\pm}10.1mg/container$, 검출율 20.4%) 순으로 높았다. 인과 칼슘의 비율은 평균 $4.2{\pm}16.0$(ND~164.4)으로 스포츠음료가 $48.5{\pm}75.6$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나트륨의 경우 표시량에 대한 실측치의 비율이 120% 이상인 제품은 12개(5.5%)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ome macrominerals (Na, Ca, P, K, Mg) in 207 beverages, 19 liquid teas, and 24 liquid coffees. The samples were digested by microwave and determinations of macrominerals were carried out by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통 중인 비알콜음료 중 다량무기질의 실제 함량 및 비율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제품의 선택시 고려할 수 있는 자료의 제공 및 비알콜음료를 통한 다량무기질 섭취 수준에 따른 건강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5)ND=not detected.
  • 6)ND=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은 어떤 영양소인가? 인은 자연식품으로부터 가공식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식품에 함유되어있어 부족증이 보이기 쉽지 않은 영양소로서 식품첨가물로 많이 쓰이므로,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면인의 섭취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청소년들은 청량음료를 통한 인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인들에게는 오히려 과잉 섭취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가공식품의인 함량 자료가 적절히 제공되고 있지 못하여 가공식품 섭취빈도가 높은 사람들에서 인 섭취량이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
지나친 탄산음료의 섭취는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탄산음료는 칼슘과 인의 함량 비(1:6~12)가 매우 불균형하여 성장기 어린이들의 지나친 탄산음료의 섭취는 소변 중 칼슘 배설량을 증가시켜 골격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12),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콜라와 골절율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양의 연관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13). 오랫동안 칼슘/인의 비율이 낮은 식품을 섭취하면 혈청 칼슘 농도가 낮아지면서 부갑상선호르몬의 분비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골 대사 회전률이 증가하면서 골 질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증가한다(14)
비알콜음료 중 다량무기질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6~12월 중 서울지역 대형유통센터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 207건, 액상커피 24건 및 액상차 19건을 구입하여 습식분해로 전처리 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량무기질 평균 함량은? 본 연구는 비알콜음료 중 다량무기질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6~12월 중 서울지역 대형유통센터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음료 207건, 액상커피 24건 및 액상차 19건을 구입하여 습식분해로 전처리 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량무기질 평균 함량은 칼륨 208.4±298.2 mg/L(72.2±169.8 mg/container, 검출율 100%)> 칼슘 89.0±161.0mg/L(26.0±57.7 mg/container, 검출율 88.4%)> 나트륨71.2±75.0 mg/L(20.9±27.9 mg/container, 검출율 100%)>인 55.6±91.9 mg/L(17.9±33.8 mg/container, 검출율 93.2%)> 마그네슘 6.1±18.4 mg/L(2.4±10.1 mg/container, 검출율 20.4%) 순으로 높았다. 인과 칼슘의 비율은 평균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KOSIS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parentIdD. Accessed August 9, 2009. 

  2. KFDA. 2011.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5-16-1-5-18-18. 

  3. Fray CD, Johnson RK, Wang MQ. 2004. Children and adolescent's choices of foods and beverages high in added sugars are associated with intakes of key nutrients and food groups. J Adolesc Health 34: 56-63. 

  4. Oberby NC, Lillegaard IT, Johansson L, Anderson LF. 2003. High intakes of added sugar among Norwegian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7: 285-293. 

  5. Baric IC, Cvjetic S, Satalic Z. 2001. Dietary intakes among Croatian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Nutr Health 15: 127-138. 

  6. Blum JW, Jacobsen DJ, Donnelly JE. 2005. Beverage consumption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aged children across a two-year period. J Am Coll Nutr 24: 93-98. 

  7. Marshall TA, Gilmore JME, Broffitt B, Stumbo PJ, Levy SM. 2005. Diet quality in young children is influenced by beverage consumption. J Am Coll Nutr 24: 65-75. 

  8. Ballew C, Juester S, Gillespie C. 2000. Beverage choices affect adequacy of children's nutrient intakes. Arch Pediatr Adolesc Med 154: 1148-1152. 

  9. Kang BS, Park MS, Cho YS, Lee JW. 2006. Beverage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the Chungnam urb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1: 469-478. 

  10. Song MJ, An EM, Shon HS, Kim SB, Cha YS.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10: 174-182. 

  1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First revision. 

  12. Breslau NA, McGuire JL, Zerwekh JE, Pak CYC. 1982 The role of dietary sodium on renal excretion and intestinal absorption of calcium and on vitamin D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55: 369-373. 

  13. Ock SM, Kim CM, Ock CM, Choi WS. 2002. Bone acquisition related health behavior factors and nutritional uptake in high school girl student. J Korean Acad Fam Med 23: 905-916. 

  14. Kim SH, Choi BY. 2001. Ca and P balance in Korean female adolescent. Korean J Nutr 34: 433-439. 

  15. Kang MH, Yoon KS. 20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2-61. 

  16. Lee SK, Chang EJ, Choi JC, Bahn KN, Kim MH. 2010. Current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chool m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78-585. 

  17. Kim SD, Yun ES, Chang MS, Park YA, Jung SO, Kim DG, Kim YC, Chae YZ, Kim MY. 2009. Survey of daily caffeine intakes from children's beverage consump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09-720.a 

  18. Chung SJ, Kim JH, Lee JS, Lee DH, Kim SH. 2004. A suggestion to develop a nutrition policy on food and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systems for fast food and carbonated soft drinks in Korea. Korean J Nutr 37: 394-405. 

  19. KFDA. 2008.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nyoungsa, Seoul, Korea. p appendix 1-39. 

  20. Pedro NAR, Oliveira E, Cadore S. 2006. Study of the mineral content of chocolate flavoured beverages. Food Chem 95: 94-100. 

  21. Sung CJ. Yoon YH. 2000. The study of Zn, Cu, Mn, Ni contents of serum, hair, nail and urin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9-105. 

  22. Jeong HK, Kim JY, Lee HS, Kim JY. 1997.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ate levels on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 30: 813-824. 

  23. Avioli LV. 1988. Calcium and phosphorus.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7th ed. Shils ME, Young VR, eds. Lea & Febiger, Philadelphia, PA, USA. p 142-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