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알콜성음료 섭취에 따른 다량무기질 섭취량 평가: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Macromineral intake in non-alcoholic beverag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9)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6 no.1, 2013년, pp.50 - 60  

김성단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용철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신기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조한빈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복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김정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채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위 체중 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다량무기질의 추정식이섭취량을 산출하여 평가하고자, 음료, 액상커피 및 액상차의 다량무기질의 실측치와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 (조사 1일 전 식품섭취내용,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6,082명 전체의 비알콜성음료의 평균소비자와 극단소비자의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을 파악하기위하여 평균, 95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 (scenario I)와 비알콜성음료를 섭취한 어린이와 청소년 1,074명의 섭취량 평균, 95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 (scenario II)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량무기질인 나트륨, 칼슘, 인의 위해성평가는 추정식이섭취량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목표섭취량 (2.0 g/day) 및 상한섭취량 (칼슘: 2,500 mg/day, 인: 3,000~3,500 mg/day)을 비교하여 %Goal, %UL값으로 위해성 평가를 하였다. 이 때 위해도 평가방법은 평균과 95th percentile을 이용하는 단일값평가와 point value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변수의 확률밀도함수(Probabilistic Density Functions, PDFs)를 이용한 Monte Carlo simulation을 실시하여 확률평가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cenario I의 비알콜성 음료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섭취량은 $74.4{\pm}2.2$, 404.7 g/day로 극단섭취자는 평균섭취자에 비해 5.4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 Scenario II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섭취량은 $265.4{\pm}5.8$, 662.0 g/day로, 극단섭취자는 평균섭취자에 비해 2.5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 또한 Scenario II의 평균섭취자는 scenario I의 평균섭취자에 비해 3.6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으며, scenario II의 극단섭취자는 scenario I의 극단섭취자에 비해 1.6배 더 많은 양을 섭취하였다. 2) 비알콜성음료에 존재하는 다량무기질의 분포는 마그네슘을 제외하고 대부분 왼쪽으로 기울어진 분포를 나타내었다. 비알콜성음료 섭취량 분포는 scenario I에서는 대부분 Logistic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scenario II 경우에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Max Extreme분포가 되었다. 3) Scenario I에서 확률평가한 다량무기질의 평균 EDI는 나트륨 7.93, 칼슘 10.92, 인 6.73, 칼륨 23.41, 마그네슘 1.11 mg/day였으며, 95th percentile EDI는 나트륨 28.02, 칼슘 44.86, 인 27.43, 칼륨 98.14, 마그네슘 3.87 mg/day이였다. 다량무기질은 목표섭취량이 설정되어있는 나트륨과 상한섭취량이 설정되어있는 칼슘 및 인에 대해서만 위해성 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살펴보면, 확률평가한 나트륨의 평균 % Goal은 0.39, 칼슘 및 인의 평균 %UL은 각각 0.43, 0.19이며, 나트륨의 95th percentile %Goal은 2.56, 칼슘 및 인의 95th percentile %UL은 각각 3.71, 1.60이였다. Scenario II에서 확률평가한 다량 무기질의 평균 EDI는 나트륨 19.10, 칼슘 25.77, 인 15.83, 칼륨 56.56, 마그네슘 2.68 mg/day이였으며, 95th percentile EDI는 나트륨 62.67, 칼슘 101.95, 인 62.09, 칼륨 227.92, 마그네슘 8.67 mg/day였다. 확률평가한 나트륨의 평균 %Goal은 0.95, 칼슘 및 인의 평균 %UL은 각각 1.03, 0.45이였으며, 나트륨의 95th percentile %Goal은 3.12, 칼슘 및 인의 평균 %UL은 각각 4.08, 1.75였다. 4) 비알콜성음료 섭취를 통한 다량무기질 중 나트륨, 칼슘, 인의 노출수준은 목표섭취량과 상한섭취량을 초과하는 인구집단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enario I II에서 나트륨, 칼슘, 인의 평균 및 95th percentile %Goal 및 %UL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daily intake of macrominerals from beverages, liquid teas, and liquid coffees and to evaluate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1-to 19 years old).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was conducted using the actual level of sodium, 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중 민감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비알콜성음료 섭취량과 비알콜성음료 중 다량무기질의 실측치를 이용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을 이용한 확률평가로 비알콜성음료 섭취에 따른 다량무기질 섭취량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건강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단위 체중 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다량무기질의 추정식이섭취량을 산출하여 평가하고자, 음료, 액상커피 및 액상차의 다량무기질의 실측치와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 (조사 1일 전 식품섭취내용,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을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식품섭취량 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1~19세)의 비알콜성음료의 섭취량을 연중 일상섭취량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알콜음료 도매업의 매출액은 어떻게 증가하고 있는가?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비알콜음료 도매업의 매출액이 2006년 3조9백억 원에서 2009년 3조9천5백억 원으로 27.8%가 증가하였으며, 2006년도 생산량기준 국민 다소비 식품순위에서도 상위 5개 품목에 탄산음료, 과실·채소음료, 기타음료의 순위가 각각 3위, 4위, 5위를 나타내어 음료류가 3품목을 차지함으로써,1) 다른 식품에 비해 음료의 유통량이 많았다.
성장기의 영양은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성장기의 영양은 육체적, 정신적인 성장과 발달뿐만 아니라 일생동안의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치며, 건강에 좋지 않은 어린이의 생활습관은 성인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적절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린 시기부터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 및 적절한 영양소 섭취를 위한 영양관리와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단위 체중 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다량무기질의 추정식이섭취량을 산출하여 평가하고자 대상은 누구를 선정하였는가? 본 연구는 단위 체중 당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던 1~19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알콜성음료를 통한 다량무기질의 추정식이섭취량을 산출하여 평가하고자, 음료, 액상커피 및 액상차의 다량무기질의 실측치와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영양조사 (조사 1일 전 식품섭취내용, 24시간 회상법)의 섭취량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 및 청소년 6,082명 전체의 비알콜성음료의 평균소비자와 극단소비자의 비알콜성음료 섭취량을 파악하기위하여 평균, 95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 (scenario I)와 비알콜성음료를 섭취한 어린이와 청소년 1,074명의 섭취량 평균, 95percentile 및 분포를 적용한 경우 (scenario II)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량무기질인 나트륨, 칼슘, 인의 위해성평가는 추정식이섭취량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목표섭취량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press release (2009-08-09). Daejeon: Statistics Korea; 2009. Available from: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D 

  2. Boulton TJ, Magarey AM, Cockington RA. Tracking of serum lipids and dietary energy, fat and calcium intake from 1 to 15 years. Acta Paediatr 1995; 84(9): 1050-1055 

  3. Lee JM, Park HJ, Park SM. A survey on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or development snack. Korean J Food Cult 2003; 18(2): 151-159 

  4. Choi YS, Chang N, Joung H, Cho SH, Park HK.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Korean J Nutr 2008; 41(6): 561-572 

  5. World Heal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Nutrition Survery-.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7. Food Standards Agency. Salt and health. London: Food Standards Agency; 2003 

  8.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water, potassium, sodium, chloride, and sulfat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9. Kang BS, Park MS, Cho YS, Lee JW. Beverage consumpt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the Chungnam urb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4): 469-478 

  10. Song MJ, An EM, Shon HS, Kim SB, Cha YS. A study on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174-182 

  11. Breslau NA, McGuire JL, Zerwekh JE, Pak CY. The role of dietary sodium on renal excretion and intestinal absorption of calcium and on vitamin D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1982; 55(2): 369-373 

  12. Avioli LV. Calcium and phosphorus. In: Shils ME, Young VR, editors.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7th edition. Philadelphia: Lea & Febiger; 1988. p.142-158 

  13. Kim SH, Choi BY. Ca and P balance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Korean J Nutr 2001; 34(4): 433-439 

  14. Jeong HK, Kim JY, Lee HS, Kim JY.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ate levels on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 1997; 30(7): 813-824 

  15.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phosphorus, magnesium, vitamin D, and fluorid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997 

  1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17. Renwick AG. Needs and methods for priority setting for estimating the intake of food additives. Food Addit Contam 1996; 13(4): 467-475 

  18. Nutriscan Limited, Trinity College. An evaluation of the methodologies for the estimation of intakes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in the European community. Dublin: Nutriscan Limited; 1992 

  1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uidelines for simple evaluation of food additive intake.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89 

  20. Yoon HJ, Lee MG, Lee CH, Lee JO, Lee CW. Assessment of maximum use levels and estimation of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for 9 food additives in Korea by the Budget Method. J Food Hyg Saf 1999; 14(2): 186-194 

  21. Yoon HJ, Park HK, Lee CH, Park SK, Park JS, Kim SH, Lee JO, Lee CW.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 for preservatives by maximum permitted level and national food disappearance data. J Food Hyg Saf 2000; 15(3): 179-185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a joint publication of FAO and WHO.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240, Chapter 6 

  2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4. Kim SD, Moon HK, Park JS, Yang HR, Yi YJ, Han EJ, Lee YC, Shin GY, Kim JH, Chae YZ. The content of macrominerals in beverages, liquid teas, and liquid coffe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8): 1134-1143 

  25. Kim SD, Yun ES, Chang MS, Park YA, Jung SO, Kim DG, Kim YC, Chae YZ, Kim MY. Survey of daily caffeine intakes from children's beverage consump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6): 709-720 

  26. Kang MH, Yoon K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1): 52-61 

  2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8. Vaskonen T. Dietary minerals and modific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J Nutr Biochem 2003; 14(9): 492-506 

  29. Maurice ES, Vernon RY. Nutrition and diet in hypertension. In: Shils ME, Young VR, editors.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7th edition. Philadelphia: Lea & Febiger; 1988. p.1272 

  30. Choi MK, Lee WY, Park JD. Relation among mineral (Ca, P, Fe, Na, K, Zn) intakes,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 Korean adults. Korean J Nutr 2005; 38(10): 827-835 

  31. Stamler J, Cirillo M. Dietary salt and renal stone disease. Lancet 1997; 349(9050): 506-507 

  32. Morris RC, Sebastian A. Potassium-responsive hypertension. In: Laragh JH, Brenner BM, editors. Hypertensio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ition. New York: Raven Press; 1995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