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유 산물인 LHFM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
Cognitive-enhancing Effects of a Fermented Milk Product, LHFM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4, 2012년, pp.428 - 433  

전용진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김준형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이명재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전우진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이승훈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연승우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  강재훈 (일동제약(주)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팀의 선행 연구 결과, L. helveticus IDCC3801의 발효유 주정 침전물이 BACE의 활성 억제를 통한 amyloid beta($A{\beta}$) 생성 저해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1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L. helveticus IDCC3801의 발효유 주정 침전물의 산업화를 위한 공정 개선연구를 진행하였고, 대량생산을 통해 LHFM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LHFM의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입증 연구로써 $A{\beta}$ 저해효과 외에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기억력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 어떠한 작용 기전으로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지 조사한 것으로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ouse에서 학습 능력과 기억력 개선 효과, 신경세포 보호 효과, AChE 저해와 ACh 증가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LHFM은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고농도의 glutamate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또한 LHFM은 in vitro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하게 ACh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이러한 in vitro 결과들을 근거로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ouse에서 Morris water maze와 Y-maze 행동 시험을 통해 LHFM의 학습능력과 기억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LHFM은 Morris water maze에서 실험 2일째부터 escape latency시간을 유의적으로 감소 시켰으며 5일째에서는 정상 mouse와 동등한 수준으로 감소되어 우수한 학습 효과를 보였다. 실험 6일째 platform을 치운 후 시행한 probe trial에서도 platform이 있던 위치에 머무는 회수가 scopolamine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아 장기기억의 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Y-maze 시험에서도 LHFM은 scopolamine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변경 행동력을 증가시켜 여러 행동 시험을 통해 LHFM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행동실험 후 hippocampus를 적출하여 ACh 및 ACh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donepezil과 마찬가지로 LHFM은 ACh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또한 ACh 함량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LHFM은 신경세포 보호 효과와 신경전달물질인 ACh의 뇌 조직 내 농도를 높여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iotics and their products, such as yogurt and cheese have been widely consumed in many countries with proven health benefits includ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diarrheal activity. LHFM (Lactobacillus helveticus - fermented milk) is a processed skim milk powder, fermented by a probio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HFM이 glutamate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이는지 조사하기 위해 인간 유래 신경모세포종 세포인 SH-SY5Y를 대상으로 glutamate에 의한 사멸 조건을 확립하였다. 배양중인 SH-SY5Y에 다양한 농도로 glutamate를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 50 mM에서 48시간 처리 시 세포독성(미발표 자료)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LHFM의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입증 연구로써 Aβ 저해효과 외에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기억력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 어떠한 작용 기전으로 개선 효과가 나타나는지 조사한 것으로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상을 유발한 mouse에서 학습 능력과 기억력 개선 효과, 신경세포 보호 효과, AChE 저해와 ACh 증가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팀에서도 LHFM이 학습과 기억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기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경전달 물질인 ACh의 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AChE의 활성을 전기뱀장어 유래 ACh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LHFM은 농도 의존적으로 AChE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처리 최고 농도인 200 µg/mL에서는 50% 이상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Fig.
  • helveticus IDCC3801로 발효시킨 배양액의 한외여과물을 주정 침전하고, 침전물에 대한 BACE 저해효과를(15)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공정 개선과 대량 생산을 통해 얻은 LHFM (Lactobacillus helveticus- fermented milk)의 BACE 저해 효과 외에 추가적인 기능성을 확인하고 기전의 작용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copolamine으로 기억 손실을 유발한 mouse에서 LHFM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 효과, 뇌 조직 내 ACh 함량과 AChE 활성에 미치는 영향, LHFM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망증은 의학적으로 무엇이라고 정의되는가? 기억력의 저하는 현대 사회활동에서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며, 특히 고령화로 인해 자연적으로 또는 치매 등의 퇴행성 질환에 의해 인지기능이 감퇴된 경우, 본인의 사회 활동뿐 아니라 주변인들의 생활에 많은 장애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의학적으로 건망증(amnesia)은 단기기억 장애 혹은 뇌의 일시적 검색능력 장애로 정의되는데 특히 루이소체병(Lewy body disease), 픽병(Pick’s disease),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등에서 나타난다(1,2). 또한 이런 질환 외에 여러가지 화학물질이나 외부 손상 등에 의해 건망증이 유발될 수 있다(3-5).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신경전달물질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ACh과 이를 합성하는 효소인 ChAT의 활성의 감소는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신경전달물질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ACh은 기억과 학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알츠하이머 환자에서는 뇌 내 ACh과 이를 합성하는 효소인 ChAT의 활성의 감소뿐 아니라 중격(septum) 과 메이너트 기저핵(nucleus basalis of Meynert)에 있는 콜린성 신경 세포수의 감소로 중추 콜린성 신경전달이 장해를 받아 인지 기능이 감퇴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3). 알츠하이머 환자의 콜린성 신경전달을 증가시켜 인지 기능을 개선하고자 donepezil을 비롯한 여러 AChE inhibitor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환자는 어떤 신경의 손상이 가장 심각한가? 현대 과학에서 기억력 손상의 원인은 콜린 가설(Cholinergic Hypothesis in Alzheimer’s disease)을 이용하여 설명한다(6-8). 알츠하이머 환자는 여러 종류의 신경이 손상되는데, 그 중에서 콜린성 신경의 손상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고, 이런 콜린성 신경의 손상에 의하여 기억력 감퇴, 언어, 공간 지각력 및 판단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9,10). 무스카리닉 수용체의 활성 저해물질인 scopolamine을 쥐에 처리하면 일시적인 단기기억상실증이 유도되는 현상 또한 콜린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now RE, Arnold SE. Psychosi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 Semin. Clin. Neuropsychiatry 1: 282-293 (1996) 

  2. Kidd PM. Alzheimer's disease,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ge-associated memory impairment: Current understanding and progress toward integrative prevention. Altern. Med. Rev. 13: 85-115 (2008) 

  3. McNally RJ. Experimental approaches to cognitive abnormality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 Psychol. Rev. 18: 971-982 (1998) 

  4. Welch KA. Neurological complications of alcohol and misuse of drugs. Pract. Neurol. 11: 206-219 (2011) 

  5. Vakil E. The effect of moderate to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BI) on different aspects of memory: A selective review. J. Clin. Exp. Neuropsychol. 27: 977-1021 (2005) 

  6. Deutsch JA. The cholinergic synapse and the site of memory. Science 174: 788-794 (1971) 

  7. Davies P, Maloney AF. Selective loss of central cholinergic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Lancet 2: 1403-1410 (1976) 

  8. Bartus RT, Dean RL, Beer B, Lippa AS. The cholinergic hypothesis of geriatic memory dysfunction. Science 217: 408-414 (1982) 

  9. Whitehouse PJ, Price DL, Clark AW, Coyle JT, DeLong MR. Alzheimer's disease: Evidence of selective loss of cholinergic neurons in the nucleus basalis. Ann. Neurol. 10: 408-414 (1981) 

  10. Coyle JT, Price DL, DeLong MR. Alzheimer's disease: A disorder of cortical cholinergic innervation. Science 219: 1184-1190 (1983) 

  11. Usinger L, Ibsen H, Jensen LT. Does fermented milk possess antihypertensive effect in humans? J. Hypertens. 27: 1115-1120 (2009) 

  12. Naidu AS, Bidlack WR, Clemens RA. Probiotic spectra of lactic acid bacteria (LAB). Crit. Rev. Food Sci. 39: 13-126 (1999) 

  13. Bengmark S. Bio-ecological control of chronic liver disease and encephalopathy. Metab. Brain Dis. 24: 223-236 (2009) 

  14. Li H, Cao Y. Lactic acid bacterial cell factories for gamma-aminobutyric acid. Amino Acids 39: 1107-1116 (2010) 

  15. Yeon SW, You YS, Kwon HS, Yang EH, Ryu JS, Kang BH, Kang JH. Fermented milk of Lactobacillus helveticus IDCC3801 reduces beta-amyloid and attenuates memory deficit. J. Funct. Foods 2: 143-152 (2010) 

  16. Morris R.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Neurosci. Methods 11: 47-60 (1984) 

  17. Yamaguchi Y, Miyashita H, Tsunekawa H, Mouri A, Kim HC, Saito K, Matsuno T, Kawashima S, Nabeshima T. Effects of a novel cognitive enhancer, spiro[imidazo-[1,2-a]pyridine-3,2-indan]-2(3H)-one (ZSET1446), on learning impairments induced by amyloid-beta1-40 in the rat. J. Pharmacol. Exp. Ther. 317: 1079-1087 (2006) 

  18. Lee B, Jung K, Kim DH. Timosaponin AIII, a saponin isolated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ameliorates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in mice. Pharmacol. Biochem. Be. 93: 121-127 (2009) 

  19. Kwon SH, Lee HK, Kim JA, Hong SI, Kim HC, Jo TH, Park YI, Lee CK, Kim YB, Lee SY, Jang CG. Neuroprotective effects of chlorogenic acid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via anti-acetylcholinesteras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mice. Eur. J. Pharmacol. 649: 210-217 (2010) 

  20. Siesjo BK, Memezawa H, Smith ML. Neurotoxicity: Pharmacological implications. Fund. Clin. Pharmacol. 5: 755-767 (1991) 

  21. Choi DW. Possible mechanisms limiting N-methyl-D-aspartate receptor overactivation and the therapeutic efficacy of N-methyl-D-aspartate antagonists. Stroke 20: lll20-22 (1990) 

  22. Michael TL, M. Flint Beal.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Nature 443: 787-795 (2006) 

  23. Kalman J, Engelhardt JI, Le WD, Xie W, Kovacs I, Kasa P, Appel SH. The cholinergic system in aging and neuronal degeneration. J. Neuroimmunol. 77: 63-7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