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β42로 유도된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서 이중 가공 인삼열매 추출물의 학습 및 기억 손실 개선 효과
Double-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s enhance learning and memory in an Aβ42-induced Alzheimer's mouse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2, 2019년, pp.160 - 168  

장수길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안정원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조보람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김현수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김서진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성은아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이도익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면역질환연구실) ,  박희용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면역질환연구실) ,  진덕희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  주성수 (강릉원주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물의약신소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는 뇌의 신경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학습 및 기억능 소실을 초래하는 퇴행성 뇌 질환이며, 기억과 관련된 주요 뇌 구역인 해마(hippocampus)는 콜린성 조절(cholinergic modulation)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Konishi 등, 2015). AD 병인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설명이 있으나 크게는 amyloid cascade hypothesis과 함께 cholinergic hypothesis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몇몇의 연구에서 ChAT 합성, ACh 분비, nicotin 및 muscarinic 수용체 감소가 AD 뇌의 대뇌피질과 해마에서 관찰되어(Tata 등, 2014) 퇴행성 뇌질환에서의 중요성이 제시되었고, 이를 배경으로 한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AChEI)가 AD 증상 완화의 목적으로 미국 FDA로부터 승인되어 시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가 다량 함유된 PGBC가 $A{\beta}42$로 유도된 치매 모델에서 뇌세포 보호, ACh 분비 증가, 학습력/기억력 증가, ChAT 발현 증가를 확인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의 치매 적용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GBC는 익기 직전의 4년근 인삼 열매에 추출 및 발효 단계를 추가하여 확보된 물질로서, $A{\beta}42$ 섭취, 제거 및 ACh 분비 촉진 활성이 있는 Re, Rd, Rg3 함량이 증가되어(Kim 등, 2014; Jang 등, 2015), PGBC 자체로서 치매 인자에 대한 조절 효능이 예측되었다. 특히, 7증 7포 및 발효과정을 거친 이중가공 인삼 열매 추출물이 비 발효 증포 추출물에 비해 Rg3가 현저히 증가하는 사전 연구결과와 Rg3가 $A{\beta}42$ 제거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결과를 종합할 때 PGBC 투여가 AD 증상 완화의 조절자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Kim 등, 2013; Jang 등 2015). 본 연구에 따르면, 마우스 치매 모델에 PGBC 처리 시 PAT 및 Morris water-maze test를 통해 대조군 대비 유의한 수준의 인지능력 개선, ACh 합성을 유도하는 ChAT 유전자 발현 증가, ACh 분비량 증가 등이 확인되어 전체적인 인지능 개선에 극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A{\beta}42$뇌 실로 주입(intracranial injection) 하여 나타나는 뇌세포 손상이 PGBC 투여를 통해 보호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는 주요 뇌세포 중 하나인 성상세포에서 관찰되는 GFAP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뇌 균질액을 이용한 AChE 활성 연구에서도 PGBC가 AChE를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AD 환자에게 처방이 가능한 2대 의약품 군중 하나인 시냅스신경전달물질 ACh bioavailability 증가 목적의 처방 보조요법 적용이 기대된다(${\check{C}}olovi{\acute{c}}$ 등, 2013).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PGBC는 학습 및 기억력을 개선하는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1차적인 퇴행성 뇌질환 보조재로서 직간접적인 대증요법 역할과 2차적으로는 뇌 세포 보호를 통한 질병 악화 지연 소재로 개발이 기대되며, 보다 심도 있는 기전연구를 통해 천연물 신소재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double-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 (PGBC) could improve learning and memory in an $A\hat{a}42$-induced Alzheimer's mouse model. Passive avoidance test (PAT) and Morris water-maze test (MWMT) were performed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PGBC, follow...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온(120℃) 증기로 찌는 경우 Rg3, Rg5 및 Rk1이 수십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항암 효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iu 등, 2000; Xu 등, 2007; Kim 등, 2008).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특정 가공 과정을 거친(증포 및 발효) 인삼 열매 추출물이 치매 유발 물질에 의한 단기 기능 저하 회복 및 Aβ42 투여 모델에서 인지 기능 개선 효능을 확인하여 인간의 건강한 수명연장을 돕는 미래의 천연소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된 치매 약물은 어떤 증상을 개선하며 치매의 경과를 늦추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가? 현재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된 치매 약물은 근치가 아닌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4종 2기전, cholinesterase inhibitor 및 NMDA (N-methyl-D-aspartate) receptor antagonists의 약물이 환자를 대상으로 처방이 되고 있을 뿐이다(Glynn-Servedio와 Ranola, 2017). AD 환자에서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초래하는 acetylcholine 합성 감소에 의한 인지능 저하와, glutamate에 의한 NMDA 수용체 과 활성화가 치매증상을 점차 퇴행성으로 유도하기 때문에 현재 시판되는 약제의 대부분이 이러한 증상을 개선하여 치매의 경과를 늦추어 주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Agatonovic-Kustrin 등, 2018; Francis 등, 2012).
AD란? AD는 뇌의 신경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학습 및 기억능 소실을 초래하는 퇴행성 뇌 질환이며, 기억과 관련된 주요 뇌 구역인 해마(hippocampus)는 콜린성 조절(cholinergic modulation)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Konishi 등, 2015). AD 병인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설명이 있으나 크게는 amyloid cascade hypothesis과 함께 cholinergic hypothesis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UN DESA에 따른 전 세계 치매 추정 인구는? 2017년 유엔 경제 사회 사회국(UN DESA)의 발표에 따르면 2050년까지 60세 이상 전 세계 인구가 20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인구 고령화에 따른 치매환자의 수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급격한 인구 노령화 국가로 분류되는 우리나라는 2017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를 넘어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노인 인구 20%의 초고령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