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랜스형 불포화 지방산이 mice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unsaturated Fatty Acid on Serum Lipid Levels in Mi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8 = no.148, 2012년, pp.1126 - 1131  

유선녕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  안정빈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나노생명화학공학부) ,  박은영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이선정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병원경영학과) ,  탁민지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대학 유전공학과) ,  김광연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  김상헌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  김기대 (동래여자고등학교) ,  안순철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미생물학 및 면역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형태의 지방산이 ICR mice의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주령 수컷 ICR mice를 일반 식이섭취군(C), 10%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TFA-1), 30%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TFA-2), 50%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TFA-3), 50% 포화 지방산 섭취군(SFA),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USFA) 으로 나누어 식이 하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TFA-3 군과 SFA 군의 지질함량이 다른 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중성지방지수 역시 높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수치를 이용하여 나타낸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도 50%의 트랜스 지방산을 섭취한 군에서 포화 지방산을 섭취한 군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10%, 30%의 트랜스 지방산을 섭취한 군에서는 일반식이 섭취군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많은 양의 트랜스 불포화지방산을 짧은 기간 동안 섭취하더라도 포화지방산을 섭취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ns-unsaturated fatty acid (TFA),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general unsaturated fatty acid (USFA) on serum lipid levels in ICR mice. Male ICR 8-week-old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he control group (C) fed with normal die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트랜스 지방산 및 기타 지방산의 섭취가 혈관계 질환 유발 가능성의 지표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중성 지방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이 포함된 식품을 사료에 섞어 섭취하게 한 뒤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특히, 트랜스 지방 함유식품의 농도를 달리하여 섭취량에 따른 각종 혈중 지방농도변화와 이를 바탕으로 동맥경화지표를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랜스 형의 불포화지방산 등 다가 불포화 지방산을 과량 섭취하는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대표적인 경우가 트랜스 형의 불포화지방산(trans-unsaturated fatty acid) 인데, 트랜스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마가린, 케이크, 쿠키, 전자레인지용 팝콘 등이 있다. 이러한 지방산을 과량 섭취하면 혈액내의 HDL-C을 파괴 할 뿐만 아니라 저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을 생성 한다고 알려져 혈액 내에서 LDL-C의 수준이 높을 경우, 여러 가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지만, HDL-C이 높다면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여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제한적 섭취가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의 경우, 단가 불포화 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으로 구분되는데, 단가 불포화 지방산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등 동맥 경화성 질환의 발병위험을 감소시킨다[13]. 다가 불포화 지방산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기도 하지만 과다 섭취 할 경우, 조직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 하여 체외로 배설시켜 동맥경화를 예방 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밀도 지질 단백질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의 농도를 낮추므로 제한적 섭취가 요구된다[14]. 이러한 다가 불포화 지방산의 대표적인 경우가 트랜스 형의 불포화지방산(trans-unsaturated fatty acid) 인데, 트랜스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마가린, 케이크, 쿠키, 전자레인지용 팝콘 등이 있다.
포화지방산이란 무엇인가? 포화지방산은 기본골격인 탄소분자에 수소분자가 빈틈없이 결합된 포화상태의 지방산으로서 체내에서 필요에 따라 합성하여 사용하며 섭취한 음식물로 인해 획득한 과잉의 에너지는 복부, 허벅지, 엉덩이 등의 피하에 지방으로 저장한다.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의 경우, 단가 불포화 지방산과 다가 불포화지방산으로 구분되는데, 단가 불포화 지방산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등 동맥 경화성 질환의 발병위험을 감소시킨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se, K. S. and Agrawal, B. K. 2007 Effect of lycopene from cooked tomatoes on serum antioxidant enzymes, lipid peroxidation rate and lipid profile in coronary heart disease. Singapore Med. J. 48, 415-420. 

  2. Bryk, D., Zapolska-Downar, D., Malecki, M., Hajdukiewicz, K. and Sitkiewicz, D. 2011. Trans fatty acids induce a proinflammatory response in endothelial cells through ROS-dependent nuclear factor- ${\kappa}B$ activation. J. Phusiol. Pharmacol. 62, 229-238. 

  3. Friedwald, W., Levy, R. and Fredrickson, D.,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4. Garcia, G., Sunil, T. S. and Hinojosa, P. 2012. The fast food and obesity link: consumption patterns and severity of obesity. Obes. Surg. 22, 810-818. 

  5. Haqlund, O., Luostarinen, R., Wallin, R., Wibell, L. and Saldeen, T. 1991. The effects of fish oil on triglycerides,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 J. Nutr. 121, 165-169. 

  6. Harvey, K., A., Arnold, T., Rasool, T., Antalis, C., Miller, S. J. and Siddiqui, R. A. 2008. Trans-fatty acids induce pro-inflammatory responses and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Br. J. Nutr. 99, 723-731. 

  7. Harvey, K. A., Walker, C. L., Xu, Z., Whitley, P. and Siddiqui, R. A. 2012. Trans Fatty Acids: Induction of a Pro-inflammatory Phenotype in Endothelial Cells. Lipids 47, 647-657. 

  8. Hickson, D. A., Diez Roux, A. V., Smith, A. E., Tucker, K. L., Gore, L., D., Zhang, L. and Wyatt, S. B. 2011. Associations of fast food restaurant availability with dietary intake and weight among African Americans in the Jackson Heart Study, 2000-2004. Am. J. Public. Health 101 Suppl 1, S301-S309 

  9. Hill-Pryor, C. and Dunbar, J. C. 2006. The effects of high fat-induced obesity on cardiovascular and physical activity and opioid responsiveness in conscious rats. Clin. Exp. Hypertens 28, 133-145. 

  10. Jensen, J., Bysted, A., Dawids, S., Hermansen, K. and Holmer, G. 1999. The effect of palm oil, lard, and puff-pastry margarine on postprandial lipid and hormone responses in normal-weight and obese young women. Br. J. Nutr. 82, 469-479. 

  11. Lauer, R. M., Lee, J. and Clarke, W. R. 1988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ult cholesterol levels: the Muscatine Study. Pediatrics 82, 309-318. 

  12. Popkin, B. M., Adair, L. S. and Nq, S. W. 2012. Global nutrition transition and the pandemic of obesity in developing countries. Nutr. Rev. 70, 3-21. 

  13. Strom, M., Halldorsson, T. I., Mortensen, E. L., Torp-Pedersen, C. and Olsen, S. F. 2012. Fish, n-3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a prospective study in a large national cohort. Hypertension 59, 36-43. 

  14. Wilson, M. D. and Rudel, L. L. 1994. Review of cholesterol absorption with emphasis on dietary and biliary cholesterol. J. Lipid Res. 35, 943-955. 

  15. Yang, X., Zhang, Y., Lin, J., Pen, A., Ying, C., Cao, W. and Mao, L. 2012. A lower proportion of dietary saturated/ monounsaturated/polyunsaturated fatty acids reduces the expression of adiponectin in rats fed a high-fat diet. Nutr. Res. 32, 285-2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