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고생 바지 교복의 사이즈 체계 및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zing System and Wearing Conditions with School Uniform Pants for Highschool Girl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2, 2012년, pp.286 - 293  

최은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도월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developing highschool-uniform pants with more suitable fit. To carry out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87 students in high schools in Gwangju.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statistics, 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의 교복규정 및 교복업체의 제품치수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여고생을 대상으로 교복바지의 착용실태와 불만족도 및 맞음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판 여학생 교복바지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의 교복규정 및 교복업체의 제품치수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여고생을 대상으로 교복바지의 착용실태와 불만족도 및 맞음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판 여학생 교복바지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판 교복업체 조사 및 여고생 대상 소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판 여학생 교복바지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학생들이 치마와 바지를 선택 착용할 수 있도록 권고한 시기는? 여성가족부는 2003년 일선 학교에서 여학생에게 교복을 치마만 착용하게 하는 것은 남녀차별의 소지가 있으므로, 시·도교육청에서 여학생들이 치마와 바지를 선택 착용할 수 있도록 중·고등학교에 지도할 것을 개선 권고하였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2003). 이후 2004년 5월 조사한 결과 치마교복만 입도록 하는 중·고등학교는 전국 4,093개교의 28%인 1,142개교로서 권고 이전보다 크게 줄어들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MOGEF, 2004).
여고생들이 교복을 줄이는 수선을 하는 이유는? 1%)으로 늘리는 수선을 한다고 하였다. 여고생들이 몸에 밀착되는 옷을 입는 습관으로 구입할 때의 교복이 크다고 느끼기 때문에 교복을 줄이는 수선을 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체형이 커지는 3학년 여고생들은 교복 늘리는 수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고생 체형을 고려한 교복바지 치수 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교복규정이 제정된 지 약 15여 년 동안 여고생 교복은 학생 및 학부모와 학교 당국의 요구에 따라 소재와 디자인에 있어 변화를 거쳐 왔으며, 최근에는 점차 여고생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고, 동작기능성을 향상시킨 아이템으로 변모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시판 여고생 교복바지의 생산 업체별 제품 사이즈는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에게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의 사이즈 호칭 표기방식에서도 불필요한 표시항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업체의 치수표기의 문제점은 여고생 착용실태 및 불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여고생 체형을 고려한 교복바지 치수 체계 설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o, W. H. (2003). A Study on the Lower Body Type of Adult Males for Tight-fit slacks pattern Making. Journal of th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2(4), 559-570. 

  2. Kim, H. K., Kwon, S. H., Kim, S. J., Park, E. J., Suh, C. Y., Lee, S. Y., Lee, S. N., Jeon, E. K., & Joe, J. M. (2001). Clothing Ergonomics Experimental Methodology. Seoul: Kyomunsa, pp. 165-170. 

  3. Kim, H. K. (2007). A Study on School Uniform Metamorphosis Behavior and Skirt Ease Length Followed by High School Girl students' Satisfaction for School unifor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4. Lee, K. M. (2002). A Study on sizing system for the school uniforms of middle-school bo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Lee, S. W., Kim, K. J., Nam, Y. J., Noe, H. S., Jeon, M. S., Choi, K. M., & Choi, Y. K. (2002). Clothing Topology. Seoul: Kyohakyongusa, p. 122. 

  6. Lim, J. H. (2004). High School girls' satisfaction level and design preference of school unifor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7. Lim, J. Y. (1999). A Study on the Lower Bodyshape Variable of Growing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3), 345-352. 

  8. Lim, J. Y. (2002). Sizing System for the Junior-high school Girls' Lower Clothes According to the Lower Body Ty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7), 119-126. 

  9.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Educational policy institution. (2003, November 26). Newsrelease of Wearing conditions with School Uniform for School Girls. Retrieved March 26, 2011, from http://www.mogef.go.kr/index.jsp 

  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Educational policy institution. (2004, July 5). Newsrelease of Wearing conditions with School Uniform Skirt. Retrieved March 26, 2011, from http://www.mogef.go.kr/index.jsp 

  11. 'The school uniform market before the new term -Marketing Warfare-' (2011, January 30). The financial news. Retrieved April 8, 2011, from http://www.fnnews.com 

  12. Youn, M. O. (2005). A Study on the Girls' High School Uniforms - Focusing on Autumn & Winter Uniforms of the Girls' High School in Daejo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