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가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 이미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r's Social Values on Image Evaluation of Men Wearing Accessori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4, 2012년, pp.560 - 572  

이명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송원영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ashion accessories on how men of different ages are perceived, as well as how the social values of the perceiver affect the image evaluat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en's accessories were limited to glasses, ties, and hats. A quasi-experiment wa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적 가치는 개인의 행동이나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회생활에서 대상자에 대한 외모 이미지 지각을 설명하는 변수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 에서는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와 남성 지각대상자의 액세서리 착용에 따른 이미지 평가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 지각대상자인 남성의 안경, 넥타이, 모자 등의 액세서리 착용과 남성 연령에 따른 이미지 평가의 차이와 상호작용효과를 조사하여,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 이미지 평가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남성 외모에 의하여 전달되는 이미지를 이해하고, 남성들의 바람직한 이미지 관리와 연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 지각대상자인 남성의 안경, 넥타이, 모자 등의 액세서리 착용과 남성 연령에 따른 이미지 평가의 차이와 상호작용효과를 조사하여,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 이미지 평가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남성 외모에 의하여 전달되는 이미지를 이해하고, 남성들의 바람직한 이미지 관리와 연출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남성들도 이러한 기능적인 액세서리 착용에 있어 장식적이며 미적인 효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액세서리 중 연구변인으로 선정한 안경, 넥타이, 모자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에서 볼 때 사회적 가치관에는 외래풍토, 물질주의, 개인주의, 쾌락주의, 전통주의, 진보주의 등의 특성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쾌락주의와 물질 주의 가치가 높은 사람들은 패션, 의복, 화장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모 변인과 관련성이 높은 쾌락주의와 물질주의 가치를 택하여, 이러한 사회적 가치가 남성의 액세서리 착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각자의 사회적 가치, 지각대상자인 남성의 안경, 넥타이, 모자 등의 액세서리 착용과 남성 연령에 따른 이미지 평가의 차이와 상호작용 효과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지각자로서의 피험자는 서울 지역의 여대생 358명이었고, 지각대상자는 30대와 60대 남성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경은 어떻게 생각되어 왔는가? 안경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지적 능력을 증가 시키며, 신체 매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Berscheid & Walster, 1974). Edwards(1987)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안경의 지성과 매력성의 효과를 연구한 결과,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는 착용 하지 않았을 때보다 남녀 모두 지성이 증가하였으나, 매력성은 감소된다고 하였다.
남성의 액세서리 중에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남성의 액세서리는 여성에 비하여 그 종류가 제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착용되는 것에는 안경, 모자, 넥타이, 가방, 벨트, 장갑, 구두 등이 있다. 안경 착용은 지적인 인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며(Argyle & Mchenry, 1971), 남성의 넥타이 착용은 취업 면접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여 합격 여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Molloy, 1988).
남성의 넥타이 착용 여부에 따른 도덕성 평가는 평가자의 가치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어 쾌락주의 가치가 낮은 사람은 더 엄격한 평가를 한다고 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쾌락주의가 낮은 지각자는 30대가 넥타이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가장 도덕성을 낮게 보았고, 60대가 넥타이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비교적 도덕성을 낮게 보았다. 즉, 쾌락주의 가치가 낮은 사람은 쾌락주의가 높은 사람에 비하여 넥타이 비착용자의 도덕성을 더 부정적으로 보았다. 따라서 남성의 넥타이 착용 여부에 따른 도덕성 평가는 평가자의 가치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어 쾌락주의 가치가 낮은 사람은 더 엄격한 평가를 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rgyle, M., & Mchenry, R.(1971). Do spectacles really affect judgements of intelligence? Britis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0, 27-29. 

  2. Baek. H. J.(1998). A study on the social value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Korea. 

  3. Bell, E. L.(1991). Adult's perception of male garment styl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1), 8-12. 

  4. Berscheid, E., & W alster, E.(1974). Physical attractivenes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7, 157-215. 

  5. Edwards, K.(1987). Effects of sex and glasses on attitudes toward intelligence and attractiveness. Psychological Reports, 60, 590. 

  6. Goldsmith, R. E., Heitmeyer, J. R., & Freiden, J. B.(1991). Social values and fashion leadership.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1), 37-45. 

  7. Guise, B. J., Pollans, C. H., & Turkat, I. D.(1982). Effects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perception of social skill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4, 1039-1042. 

  8. Hellstrom, A., & Tekle, J.(1994). Person perception through facial photographs: Effects of glasses, hair, and beard on judgment of occupation and personal qualiti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4, 693-705. 

  9. Hwang, E. Y.(1974). A study on the social values and relate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 Jeong, H. S., & Kang, K. J.(2004). The effect of shirts-color and hat color, hat design on impression form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3), 354-368. 

  11. Jeong, S.-J., & Choi, S.-K.(2010). The effect of hue, tone, and necktie width on men's wear imag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2(3), 33-42. 

  12. Jhun, Y.-M., & Lee, M.-H.(2003). A study of clothing attitude, body attitude, and social values of adolescent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9/10), 1219-1229. 

  13. Kahle, L. R., & Kennedy, P.(1988). Using the list of values(LOV) to understand consumers. The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2(4), 49-56. 

  14. Kahng, H.(2003).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Rev. ed.). Seoul: Kyomunsa. 

  15. Kang, K. J., & Lim, J. Y.(1996). The effect of necktie color and patterns on the image formation of the men's su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5), 753-768. 

  16. Kim, C.-H., & Park, J.-O.(2009). Purchasing behavior and evaluation criteria on hat produc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6), 1068-1082. 

  17. Kim, C.-H., & Park, M.-H.(2009). Differences in consumption behavior and preferences on hat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7), 1038-1049. 

  18. Kim, D. C.(1996).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TV program and social value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H.-J.(2003). The impression formation of male candidates for election according to clothing 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K.-H., & Lim, S.-J.(198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s and clothing motivations for a gro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7(2), 53-62. 

  21. Kim, K.-W., Tark, H.-R., & Koh, A.-R.(2004). The Order effect on impressions formed by the function of clothing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7), 995- 1006. 

  22. Kim, S.-H., & Jeong, Y.-G.(2000). Social values, fashion leader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shopping behavior. Daehan Journal of Business, 25, 159-181. 

  23. Kim, S. Y.(2007).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necktie in the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5), 15- 23. 

  24. Lee, M.-H.(2011). Visual evaluation and preference in men's clothing color according to variation in value and chro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3), 51-62. 

  25. Lee, M.-H., & Choi, E.(2007). A study on the visual evaluation of coloration of the shirts and neck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6), 982-995. 

  26. Lee, M.-H., & Kang, S.-H.(1998). The effect of ornaments and color of jacket on female im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8), 1111-1121. 

  27. Lee, K. M., & An, S. U.(1998). A study on social value and family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8(2), 183-206. 

  28. Lee, K.-O., & Chung, Y.-S.(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sumer value sca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nsumption Culture, 2(1), 139-162. 

  29. Lennon, S. J., & Miller, F. G.(1984). Salience of physical appearance in impression formatio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3, 95-105. 

  30. Lim, J.-Y., & Kang, K.-J.(2006). The effect of color coordination type on impression of male (Part 1): Focus on tone-on-tone col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7), 1012-1024. 

  31. Lim, S.-J., & Lee, M.(2001). Study on the effect of a teenager's materialistic sense of value on their clot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0), 1719-1727. 

  32. Maeng, Y. I., & Koo, J.(2003). A study on the youth life culture and consumption: The youth clothing culture and consumption. Seoul: Korea Youth Development Institute. 

  33. Mattews, L. B.(1979). Relations between traditionalism of dress and social values of Ghanaian wome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7, 389-398. 

  34. Molloy, J. T.(1988). New dress for success. New York: Warner Books Inc. 

  35. Seo, J. H., & Huh, E. J.(2004). Cross-cultural comparison of materialism and hedonic &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the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3(5), 765-776. 

  36. Thurston, J. L., Lennon, S. J., & Clayton, R. V. (1990). Influence of age, body type, fashion, and garment type on women's professional image. Home Economic Research Journal, 19(2), 139-149. 

  37. Yoo, M. Y., & Yoon, Y. A.(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s and selected clothing behavior for a group of working wome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 355-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