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uantile 회귀분석을 이용한 극대강수량 자료의 경향성 분석
Trend Analysis of Extreme Precipitat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8, 2012년, pp.815 - 826  

소병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안정희 ((주) 금강건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Ordinary Regression (OR) 방법을 이용한 경향성 분석은 경향성을 과소평가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정규분포 가정과 평균을 중심으로 경향성 평가가 이루어지는 기존 Ordinary Regression (OR) 방법을 개선한 Quantile Regression (QR)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4개 강우 관측지점의 연 최대 극대강수량 자료에 대하여 QR 방법과 OR 방법에 대하여 통계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QR 방법의경향성 분석결과 47개 지점에서 5% 오차수준 내에서 t-검정을 통과한 반면 OR 방법에서는 13개 지점 만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R 방법이 자료의 평균을 중심으로 경향성을 평가하는 기법인데 반해 QR은 자료의 다양한 분위에서 경향성을 평가함으로써 극대 및 극소 부분에서의 경향성을 보다 유연하게 감지하는 이유로 판단된다. QR 방법을 통한 경향성 평가는 평균 중심의 해석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거나 왜곡된 분포형태를 갖는 자료의 수문학적 경향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derestimating trend using existing ordinary regression (OR) based trend analysis has been a well-known problem. The existing OR method based on least squares approximate the conditional mean of the response variable given certain values of the time t, and the usual assumption of the OR metho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극치자료의 경향성의 존재 여부를 다양한 관점에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대상자료 및 Quantile 회귀분석 방법의 해석과정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QR 기법을 이용한 연 최대 극대강수량의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4개 강우 관측지점의 연 최대 극대강수량 자료에 대하여 QR 방법과 OR 방법으로 추정된 기울기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여 경향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극치수문자료의 경향성 평가를 위해서 Quantile 회귀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극치강수량의 경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보유한 강수지점에 대해서 Quantile 회귀분석 방법을 주요 해석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 Quantile 회귀분석은 이렇게 풍부한 정보를 얻는 가장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Koenker, 2005; Hao and Naiman, 2007). 본 절에서는 Quantile 회귀분석 방법에 대한 이론적 배경, 매개변수 추정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rdinary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한 경향석 분석은 어떠한 문제를 갖고 있나요? 기존 Ordinary Regression (OR) 방법을 이용한 경향성 분석은 경향성을 과소평가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정규분포 가정과 평균을 중심으로 경향성 평가가 이루어지는 기존 Ordinary Regression (OR) 방법을 개선한 Quantile Regression (QR)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 최대 극대강수량의 경향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한 방법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본 연구에서는 QR 기법을 이용한 연 최대 극대강수량의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4개 강우 관측지점의 연 최대 극대강수량 자료에 대하여 QR 방법과 OR 방법으로 추정된 기울기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여 경향성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QR 방법을 통한 경향성 분석결과 64개 지점 중 47개 지점에서 5% 유의수준 내에서 t-검정을 통과한 반면 OR 방법의 경우 t검정을 통과한 강수지점이 총 13개 지점으로 QR 방법에 비하여 약 3배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QR 기법의 적용 결과는 어떻게 평가되는가? QR 기법의 적용 결과 70%이상의 Quantile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왜곡된 분포(positively skewed) 특성을 갖는 극치강수량의 특성을 반영하는 결과로 평가된다. QR 방법을 통한 적정 Quantile일의 결정에 있어서 QR 95%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주지만, 경향성 분석에 있어서 이상 치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전체 자료의 경향성 평가에 이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권영문, 박진원, 김태웅(2009). "강우량의 증가 경향성을 고려한 목표년도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2B호, pp. 131-139. 

  2. 권현한, 명수정 (2011). "Bayesian GLM 기법과 통계학적 Downscaling 기법을 활용한 미래 재해위험도 변동성 평가기법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11권, 제6호, pp. 207-216. 

  3. 권현한, 소병진, 윤필용, 김태웅, 황석환 (2011). "누적평균과 이동평균을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 해석결과 비교."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11권, 제6호, pp. 269-280. 

  4. 김보경, 김병식 (2009). "B2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극한지수를 이용한기후변화가극한강우발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1B 호, pp. 23-33. 

  5. 김보경, 김병식, 김형수 (2008). "극한지수를 이용한 극한 기상사상의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B호, pp. 41-53. 

  6. 이동률, 김웅태, 유철상(2004). "기후변화가 기상학적 가뭄과 홍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 315-328. 

  7. 이정주, 권현한 (2011). "극치강수량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및 지역화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1권, 제1B호, pp. 13-20. 

  8. 이정주, 권현한, 김태웅 (2010). "극치수문자료의 경향성 분석 개념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4B호, pp. 389-397. 

  9. 이창환, 안재현, 김태웅 (2010). "비정상성 강우빈도해석법에 의한 확률강우량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2호, pp. 187-199. 

  10. 정대일, 제리 스테딘져, 성장현, 김영오 (2008). "기후 변화를 고려한 홍수 위험도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B호, pp. 55-64. 

  11. Bjørnar Bremnes, J. (2004). "Probabilistic forecasts of precipitation in terms of quantiles using NWP model output."MonthlyWeather Review, Vol. 132, No. 1, pp. 338-347. 

  12. Buchinsky, M. (1998). "Recent advances in quantile regression models: a practical guideline for empirical research." Journal of Human Resources, Vol. 33, No. 1, pp. 88- 126. 

  13. Chernozhukov, V., and Hansen, C. (2006). "Instrumental quantile regression inference for structural and treatment effect models." Journal of Econometrics, Vol. 132, No. 2, pp. 491-525. 

  14. Coelho, C., Ferro, C., Stephenson, D., and Steinskog, D. (2008). "Methods for exploring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extreme events in climate data." Journal of Climate, Vol. 21, No. 10, pp. 2072-2092. 

  15. Friederichs, P., and Hense, A. (2007). "Statistical downscaling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using censored quantile regression." Monthly Weather Review, Vol. 135, No. 6, pp. 2365-2378. 

  16. Gaffen, D.J., Sargent, M.A., Habermann, R., and Lanzante, J.R. (2000). "Sensitivity of tropospheric and stratospheric temperature trends to radiosonde data quality." Journal of Climate, Vol. 13, No. 10, pp. 1776-1796. 

  17. Hao, L., and Naiman, D.Q. (2007). Quantile regression. Sage Publications, Inc., CA, USA. 

  18. Katz, R.W., Parlange, M.B., and Naveau, P. (2002). "Statistics of extremes in hydrology."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25, No. 8-12, pp. 1287-1304. 

  19. Koenker, R. (2005) Quantile regression. Cambridge Univ Pr., New York. 

  20. Koenker, R., and Bassett Jr, G. (1978). "Regression quantiles." Econometrica: Journal of the Econometric Society, Vol. 46, No. 1, pp. 33-50. 

  21. Koenker, R., and Schorfheide, F. (1994). "Quantile spline models for global temperature change." Climatic Change, Vol. 28, No. 4, pp. 395-404. 

  22. Lanzante, J.R. (1996). "Resistant, robust and non-parametric techniques for the analysis of climate data: theory and examples, including applications to historical radiosonde station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16, No. 11, pp. 1197-1226. 

  23. Parry, M., Canziani, O., Palutikof, J., Van der Linden, P., and Hanson, C. (200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4. Sankarasubramanian, A., and Lall, U. (2003). "Flood quantiles in a changing climate: Seasonal forecasts and causal relations.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9, No. 5, pp. 1134. 

  25. Weerts, A., Winsemius, H., and Verkade, J. (2010). "Estimation of predictive hydrological uncertainty using quantile regression: examples from the national flood forecasting system(England and Wales)." Hydrol. Earth Syst. Sci. Discuss, Vol. 7, pp. 5547-5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