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한류관광콘서트 방문객의 소비지출 패턴 및 경제적 파급효과
Expenditures Patterns by Korean Wave Event Audiences and Economic Impact of Direct Spending on a Inchoen C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8, 2012년, pp.399 - 410  

유창근 (경민대학교 호텔관광경영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관광의 대표적인 스페셜이벤트인 인천한류관광콘서트에 대한 외래관광객의 소비 지출 패턴을 규명하고 그로인해 창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1년 인천한류관광콘서트에 관람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출의 패턴은 토빗모형을 설정하여 분석 하였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인천지역의 관광유발계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적 특성, 국적, 만족도 등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선택된 지출 항목별로 다양하게 표출되었으며 경제적 파급효과는 투입된 비용보다 상회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지출패턴에 따라 한류관광콘서트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nditure patterns that was generated by visitors who attended The Korean Music Wave Festival and analyze economic impact derived from that event. The target is the foreign visitors who attended '2011 Incheon Korean Music Wave'. Total of 407 questionnaires were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류관광의 대표적인 스페셜 이벤트인 인천한류관광콘서트에 대한 외래관광객의 소비지출 패턴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스페셜이벤트관광객들에 의해 창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와 관련된 이벤트 연구들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한류관광의 대표적인 스페셜 이벤트인 인천한류관광콘서트에 대한 외래관광객의 소비지출 패턴을 규명하고 더 나아가 스페셜이벤트관광객들에 의해 창출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와 관련된 이벤트 연구들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관광객의 소비지츨패턴을 추정한 연구와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한 연구가 각기 따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관광객의 소비지출 패턴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서 그 학문적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스페셜이벤트 관광객의 관광특성과 지출 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였다. 2011년 인천한류관광콘서트를 참가한 관람객 중 설문지를 배포하여 407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한류관광콘서트를 관람한 방문객들의 소비지출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앞서 기술한 지출액과 지출결정인자와의 함수관계를 통하여 한류관광객의 소비지출구조를 논의하고자 한다.
  •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외래관광객의 스페셜이벤트 관람에 따른 소비지출 패턴에 따른 주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인천한류관광콘서트 참가자의 소비지출결정요인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각 소비지출 항목에 따라 유의적인 관계가 도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한류관광콘서트를 관람한 방문객들의 소비지출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앞서 기술한 지출액과 지출결정인자와의 함수관계를 통하여 한류관광객의 소비지출구조를 논의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함수관계는 독립변수에 의하여 특정 종속변수를 결정하는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류를 테마로 하는 관광을 한류관광이라 하는데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요? 이러한 한류를 테마로 하는 관광을 한류관광이라 하는데 대표적으로 한류스타와 팬미팅, 콘서트 참가 등이 그 한 예다. 최근 한류를 테마로 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가 k-pop 가수들이다. 이는 한류관광의 메인 줄기로서 가장 중요한 소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류관광이란 무엇인가요? 이러한 한류를 테마로 하는 관광을 한류관광이라 하는데 대표적으로 한류스타와 팬미팅, 콘서트 참가 등이 그 한 예다. 최근 한류를 테마로 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가 k-pop 가수들이다.
제 2기 한류, 즉 신 한류의 개념은 무엇인가요? 한류의 확산은 초기의 드라마를 통한 전통문화에서 현재는 대중문화의 전반을 동경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류는 드라마와 일부 스타들을 중심으로 한 한류를 제 1기로 본다면 제 2기 한류, 즉 신 한류의 개념은 지금까지 단순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선호현상을 넘어서 한국문화와 문화상품의 총체적인 글로벌 진출로 볼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조성룡, 신한류 개념부터 바로세우기, 문화시론, 11월 24일, 2005. 

  2. 오용수, "한류의 변천과 한류관광의 경쟁력 창출 : 일본 내 한류, 신한류, 한류 2.0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정책, 제42권(2010년 겨울), pp.78-83, 2010. 

  3. J. Crompton and S. L. Mackay, "Motives of visitors attending festival event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4, No.2, pp.425-439, 1997. 

  4. 조우정,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스포츠 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3권, 제1호, pp.327-336, 2011. 

  5. 김애랑, 조우정, "생활체육이벤트 방문객 소비지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0 전국생활 체육대축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2권, 제1호, pp.409-419, 2010. 

  6. 이충기, 최영준,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관광연구, 제25권, 제5호, pp.83-100, 2011. 

  7. 이지석, "안동국제탈춤페스티발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371-378, 2011 

  8. 이충기, 윤유식, 이병원, 풍기인삼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2권, 제2호, pp.21-33, 2008 

  9. 이희찬, "축제참가자의 관광지출 결정요인: Tobit 모형을 적용", 관광학연구, 제26권, 제1호, pp.31-46, 2002. 

  10. 이승길, 김현, 유창근, "지역축제방문객의 지출결정요인", 호텔경영학연구, 제15권, 제4호, pp.177-187, 2006. 

  11. 이범재, 정경일, "지역축제 유형별 방문객의 소비지출 차이분석", 관광학연구, 제32권, 제4호, pp.235-253, 2008. 

  12. 기노용, 한상우, "지방정부 문화관광축제 방문객 특성의 만족도 및 소비지출 영향분석: 연천전곡리 구석기축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5 권, 제1호, pp.317-336, 2011. 

  13. 이지석, 윤정희,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2007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대한 산업연관 모델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2권, 제 1호, pp.573-593, 2008. 

  14. 고동우, 부소영, "기획축제 관람자의 소비지출 기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제2권, 제2호, pp.61-79, 2001. 

  15. 한진영, 오지은,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경험이 지출에 미치는 영향: 2006 효석문화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1권, 제2호, pp.311-323, 2007. 

  16. C. Throne, "Jazz Festival Visitors and Their Expenditures; Linking Spending Patterns to Musical interes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40, No.2, pp.281-286, 2002. 

  17. 전호문, "스포츠이벤트관광객들의 소비지출 패턴 및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0권, 제2호, pp.51-62, 2005. 

  18. J. Leones, B. Colby, and K. Crandall., "Tracking Expenditures of the Elusive Nature Tourists of Southeastern Arizona,"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6, No.3, pp.56-64, 1998. 

  19. P. T. Long and R. R. Perdue., "The Economic Impact of Rural Festivals and Special Events: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xpenditur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28, No.4, pp.10-14, 1990. 

  20. J. Mak, J. Moncur, and D. Yonamine., "How or How Not to Measure Visitor Expenditur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16, No.1, pp.1-4, 1997. 

  21. N. Asgary, G. De Los Santos, V. Vincent, and V. Davila. "The Determinants of Expenditures by Mexican Visitors to the Border of Texas," Tourism Economics, Vol.3, No.4, pp.319-28, 1997. 

  22. M. Fish and D. Waggle, "Current Income versus Total Expenditure Measures in Regression Models of Vacation and Pleasure Travel,"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5, No.2, pp.70-74, 1996. 

  23. D. Getz, "Event Management & Event Tourism," New York: Cognizant Communication, 1997. 

  24. Y. K. Lee, C. K. Lee, S. K. Lee, and B. J. Babin, "Festival scapes and Patrons's Emotions, Satisfactions, and Loyal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1, No.1, pp.56-64, 2008. 

  25. 정성호, 주수현, "부산불꽃축제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홍보학연구, 제13권, 제1호, pp.36-61, 2009. 

  26. 김연형, "지역문화축제의 지역경제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전주 국제 영화제를 중심으로", 응용 통계연구, 제21권, 제1호, pp.125-140, 2008. 

  27. 김대관, 한연주, 이상민, 최영배, 송수엽,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2011년 서울모터쇼의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전시참관객의 지출액을 바탕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187-196, 2011. 

  28. 신윤환, "동아시아의 한류현상: 비교분석과 평가", 동아연구, 제41권, pp.5-34, 2009. 

  29. 문화체육관광부, "2010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2011. 

  30. 이원희, "신 한류를 활용한 인바운드 관광정책 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31. 김은정, 박상준, "중국의 한류현상이 한국 관광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 제8권, 제1호, pp.171-184, 2010. 

  32. 김성섭, 김미주,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3권, 제4호, pp.101-125, 2009. 

  33. 허중욱, "한류 문화관광객의 소비지출구조에 관한 연구: 삼척시 방문 일본인 관광객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0권, 제2호, pp.319-334, 2009. 

  34. 이희승, 이희찬, 장세유, "지불의사를 통한 한류 관광의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7권, 제2호, pp.167-181, 2006. 

  35. 이희찬, 양일용, "라스베이거스 한국인 방문객의 관광행동 및 카지노게이밍 수요분석", 호텔경영학연구, 제20권, 제1호, pp.93-111, 2011. 

  36. G. S. Maddala, "A Note on the Estimation of Limited Dependent Variable Models under Rational Expection," Economics Letters, Vol.38, No.1, pp.17-23, 1992. 

  37. W. Greene, "Econometrics Analysi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3. 

  38. 이강욱,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관광산업의 경제파급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