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공간의 연결성 분석을 통한 고립지역 탐색
Finding Isolated Zones through Connectivity Relationship Analysis in Indoor Space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3, 2012년, pp.229 - 240  

이슬지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IT 기반 신도시 건설의 프로젝트인 u-City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u-City에서 제공해주는 u-service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반으로 모니터링에 치중하여 공간분석에 관한 서비스가 부재하다. 특히 대규모 복합 건물이 증가로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단순한 모니터링이 아닌 3차원 실내 공간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실내공간에서는 실외공간과 달리 공간 객체간의 연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환경변화에 따라 연결성이 바뀔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분석 결과 또한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성을 변화시키는 긴급 상황의 대표적인 예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연결성을 분석하고, 연결성 변화를 통해 생성될 수 있는 고립지역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의3차원 구조뿐만 아니라, 고립지역을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u-City has been constructed as IT-based new city with introduction of the ubiquitous concept. However, most currently provided u-services are just monitoring services based on th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echnology, so spatial analysis is insufficient. Especially, buildings have b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외공간에 대한 공간분석이 아닌 3차원 실내공간에서 공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공간의 관계성은 인접성, 연결성, 포함성으로 분류되며, 실내공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관계성을 분석하게 되는데, 본 연구는 인접성에 기반을 둔 근린 공간 탐색 연구에서 나아가 연결성과 관련된 공간질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그 결과 3차원 연결성 및 인접성 공간질의 결과 저장용량과 공간질의에 따른 응답시간에서 B-rep 기반 데이터 모델보다 2차원과 3차원 공간에서 모두 공간질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객체간의 연결성을 표현하고 분석하기 위한 모델로써, 데이터 저장용량과 3차원 연결성질의 두 측면에서 효율성이 검증된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고립지역을 도출하는 연결성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고립지역 탐색을 위한 연결성 분석의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하였다.
  • 본 연구는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공간질의 해결을 위한 공간 관계성을 분석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로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한 공간질의를 범위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으로는 화재발생과 외부침입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서비스를 위해서 공간 관계성 분석을 통한 고립지역을 도출해냈다.
  • 본 연구는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공간질의 해결을 위한 공간 관계성을 분석함으로써 위치기반 서비스로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 상황에 대한 공간질의를 범위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실내공간의 공간의 연결성을 분석하여 고립지역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연결성 분석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로 건물의 실내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공간과 연결성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에 발생할 수있는 두 가지 공간 질의에 대한 기능을 구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립지역 탐색을 위한 연결성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서 공간객체를 나타내는 노드와 연결성을 나타내는 에지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구축하는 네트워크 데이터는 노드와 에지 데이터 들의 집합이며, 노드 데이터는 각 노드의 식별자와 3차원 x, y, z좌표로 정의되며, 에지 데이터는 식별자와 에지의 양끝노드 정보로 정의된다(그림 2).
  •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질의에 대한 공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공간의 연결성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로 활용하고자한다. 특히 화재발생이나 침입자발생 등의 긴급 상황에서 발생하는 고립지역 탐색의 공간질의에 관한 서비스 제공 활용을 위하여 3차원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에 따른 실내공간의 위상학적 데이터를 구축하고, 고립지역을 탐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 및 적용하여 공간질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상관계에 따른 공간들간의 연결성을 분석하고, 연결이 되는 공간끼리 그룹화하여, 외부공간간의 연결성으로 그룹화된 공간의 고립화를 탐색한다. 이를 위하여, 3차원 실내공간을 네트워크 구조로 표현하고, 네트워크 구조로 표현된 공간과 관계성 데이터를 분리집합의 포리스트 데이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공간들 간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 그리고 개발된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적용하여 근린 지역을 찾는 연구 방법이 제안되었다(이석호 등, 2010). 실외공간에 대한 공간분석이 아닌 3차원 실내공간에서 공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공간의 관계성은 인접성, 연결성, 포함성으로 분류되며, 실내공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서 관계성을 분석하게 되는데, 본 연구는 인접성에 기반을 둔 근린 공간 탐색 연구에서 나아가 연결성과 관련된 공간질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service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IT 기반 신도시 건설의 프로젝트인 u-City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u-City에서 제공해주는 u-service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반으로 모니터링에 치중하여 공간분석에 관한 서비스가 부재하다. 특히 대규모 복합 건물이 증가로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단순한 모니터링이 아닌 3차원 실내 공간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실내 공간에서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무엇이 추진되고 있는가?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IT 기반 신도시 건설의 프로젝트인 u-City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u-City에서 제공해주는 u-service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반으로 모니터링에 치중하여 공간분석에 관한 서비스가 부재하다. 특히 대규모 복합 건물이 증가로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단순한 모니터링이 아닌 3차원 실내 공간분석이 필요하다.
u-service의 단점은 무엇인가?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IT 기반 신도시 건설의 프로젝트인 u-City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u-City에서 제공해주는 u-service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기반으로 모니터링에 치중하여 공간분석에 관한 서비스가 부재하다. 특히 대규모 복합 건물이 증가로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단순한 모니터링이 아닌 3차원 실내 공간분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이석호, 박세호, 이지영 (2010), 3차원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 18권, 제 5호, pp. 93-105 

  2. 이석호, 이지영 (2011), 3차원 공간 질의를 위한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의 검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 19권, 제 1호, pp. 93-105 

  3. Becker, T., C. Nagel and T.H. Kolbe (2008), A multilayered space-event model for navigation in indoor spaces, In Jiyeong. Lee and Sisi Zlatanova, (eds.), 3D Geo-information Sciences, Springer-Verlag, Berlin, pp. 61-77. 

  4. Ellul C., Haklay M. (2006), Requirements for Topology in 3D GIS, Transactions in GIS, Vol. 10, No. 2, pp.157-175 

  5. Galler, B.A., and Fisher, M.J. (1964), An improved equivalence algorithm, Commun.ACM, Vol. 7, No. 5, pp.301-303 

  6. Kruskal, J.B., (1956), On the Shortest Spanning Subtree of a Graph and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7, No. 1, pp.48-50 

  7. Lee J. (2005), A combinatorial data model for representing topological relations among 3D geographical features in micro-spatial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9, No. 10, pp.1039-1056 

  8. Lee, J. (2001), A 3D Data Model for Representing Top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Entities in Built-Environments, unpublished Ph.D.Dissertation, Department of Geography, The Ohio State University 

  9. Lee, J. (2004), A Spatial Access Oriented Implementation of a Topological Data Model for 3D Urban Entities, GeoInformatica, Vol. 8, No. 3, pp 235-262 

  10. Lee, J. and Kwan, M-P. (2005), A Combinatorial Data Model for Representing Topological Relations among 3D Geographic Features in Micro-spatial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9, No. 10, pp. 1039-1056. 

  11. Lee K, and Lee H. (1996). A new algorithm for graph-theoretic nodal accessibility measurement. Geographical Analysis, Vol. 30, pp. 1-14. 

  12. Molenaar, M. (1990), A formal data structure for 3D vector maps, In: Proceedings of EGIS'90, Vol. 2, Amsterdam, The Netherlands, pp. 770-781. 

  13. Munkres, J. R. (1984), Elements of Algebraic Topology. Addison-Wesley, Menlo Park, CA 

  14. Pilouk, M., (1996), Integrated modelling for 3D GIS, Ph.D. Dissertation, ITC 

  15. Tarjan, R. E., 1975. Efficiency of a good but not linear set union algorithm. Journal of the ACM, 22, pp. 215-225. 

  16. Zlatanova, S. (2000), On 3D topological relationships, In: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Workshop on Database ad Expert System Applications, Greenwich, London, UK, pp. 913-9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