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래동화의 독서치료적 가치 연구 - 다문화가정을 위한 상황설정 및 상황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therapeutic Values of Korean Folk-tales: Focused on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ir Situ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3, 2012년, pp.271 - 295  

김수경 (창원문성대학 문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한국전래동화에 의한 독서치료적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과 한국에 현존하는 이중언어(한국-영어)로 된 27편의 한국전래동화 내용을 분석하여 5가지 상황적 요소로 나누었다. 생물학적(성별/연령), 공간적(가정, 또래, 사회), 관계적(수평, 수직, 단독, 기타)요소들과, 사건해결방식(자력, 조력, 자연, 미해결)과 8개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1) 한국전래동화 내용에는 생물학적 요소에서 남자 주인공이 많으며, 연령별로는 어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2) 공간적 요소로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많았으며, (3) 수직적 관계 요소에서 갈등을 많이 보였고, (4) 문제해결 요소에서는 외부의 조력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5) 주제 요소에서는 신념과 가족구성을 다룬 것이 많았는데, 신념 중에는 욕심과 지혜 등의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었고, 가족구성 중에는 효성과 계모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런 것들은 한국문화의 원형적인 가치들이며 다문화 가족과 한국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독서치료적 가치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tract and analyze the bibliotherapeutic values/situations of Korean folk-tal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y analyzing 27 stories in the Korean folk-tale picture book written in two languages(Korean & English), we can find out 5 kinds of situational analysis as follow...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을 다문화국가, 이민국가로 분류하고 있는 기관은? 국제결혼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이주 여성과 혼혈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도 새롭게 유입되는 외국인 구성원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여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추정되는데, UNESCO 와 OECD는 이미 한국을 다문화국가, 이민국가로 분류하고 있다(한진상 2007).
한국에 현존하는 이중언어(한국-영어)로 된 27편의 한국전래동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생물학적(성별/연령), 공간적(가정, 또래, 사회), 관계적(수평, 수직, 단독, 기타)요소들과, 사건해결방식(자력, 조력, 자연, 미해결)과 8개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1) 한국전래동화 내용에는 생물학적 요소에서 남자 주인공이 많으며, 연령별로는 어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2) 공간적 요소로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많았으며, (3) 수직적 관계 요소에서 갈등을 많이 보였고, (4) 문제해결 요소에서는 외부의 조력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5) 주제 요소에서는 신념과 가족구성을 다룬 것이 많았는데, 신념 중에는 욕심과 지혜 등의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었고, 가족구성 중에는 효성과 계모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런 것들은 한국문화의 원형적인 가치들이며 다문화 가족과 한국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독서치료적 가치가 될 것이다.
모델 마이너리티라는 인식의 부정적인 영향은? 한편, 미국에서 아시아계 한인들은 비교적 성공한 이민자집단으로서의 ‘모델 마이너리티 (model minority) 1) '이지만, 이러한 이미지 때문에 개개인들이 갖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적절한 관심과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환경 속에 놓여 있다. 즉 모델 마이너리티라는 인식은 아시아계 학생들 중 제한된 영어 능력으로 인해 학교 내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를 겪는 학생들, 인종차별로 인해 소외감을 느끼는 학생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문제에 대해서는 등한시 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실제 학력과 경제적 수준은 높지만, 이들이 종사하고 있는 직종은 결코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여전히 소수자로서의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한인들은 종족자원을 이용한 종족경제에 의존도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고숙희. 2008. 한국의 다문화사회 진행에 따른 접근방안 모색: 한국인과 외국인 여성 결혼이민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9(1): 213-234.(Ko, Sook Hee. 2008. "Hanguk-ui damunhwa sahoe jinhaeng-e ttaleun jeobgeun bangan mosaek."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9(1): 213-234.) 

  2. 구선희, 유승금. 2008.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8차 국제학술대회 발제논문집, 625-639.(Koo, Sun Hee, & Yoo, Seung Geum. 2008. "A research on teaching method the Korean and Korean culture for the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Th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625-639.) 

  3. 김갑선. 2006. 독서치료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1984-2006. 독서문화연구, 6: 153-187.(Kim, Kap Seon. 2006. "Research trend in the Korean theses of bibliotherapy: 1984-2006." Readi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Journal, 6: 153-187.) 

  4. 김경중. 1997. 한국과 독일의 전래동화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7(1): 114-116.(Kim, Kyung Jung. 1997.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Korea and German." The Society Korean Children Literature, 7(1): 114-116.) 

  5. 김금희. 1999. 영어로 편찬된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3(2): 175-195.(Kim, Keum Hee. 1999. "The portrayal of children in Korean folk stories written in English for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Review, 3(2): 175-195.) 

  6. 김세진. 2006. 설화의 전래동화적 변모양상과 교수학습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Kim, Se Jin. 2006. A Study on the Adaptation Style of "Jeonraedongwha" and Teaching- Learning Methodology. M.A.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7. 김숙자. 2006. R-E-J-A법에 의한 아동문학치료 방법론 연구: 전래동화 독서지도를 통한 형제간 갈등의 해소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Kim, Sook Ja. 2006. R-E-J-A Beobe Uihan Adong Munhak Chiryo Bangbeopron Yeongu. M.A. Thesis, Seokyeong University.) 

  8. 김현경. 2007. 비디오를 활용한 집단 독서요법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Kim, Hyun Kyeong. 2007.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Utilizing a Video on the Self-esteem and Human Relations of Schezophrenic Patients. M.A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9. 베델하임, 브루노. 2000. 옛이야기의 매력 1, 2. 김옥숙, 주옥 옮김. 서울 :시공사.(Bettelheim, Bruno. 2000. Uses of Enchantment 1, 2. Translated by Ok-Sook Kim and Ok Joo. Seoul: Sigongsa.) 

  10. 봉서윤. 2008.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전래동화 인물 특성에 따른 독서치료 원리 반응 비교: 동일시, 카타르시스 및 통찰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Bong, Suh Yoon. 2008. Comparison of Study of Bibliotherapy Response According to the Character's Personality Trait of Korean Fairy Tal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Insight. M.A thesis, Myongji University.) 

  11. 오성배. 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韓國敎育, 32(3): 61-83.(Oh, Sungbae. 2005. "A case study on the growing of Kosian children and its soci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12. 오성배. 2006. 한국 사회의 소수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Oh, Sung-Bae. 2006. "The implication of the 'Kosian' cas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6(4): 137-157.) 

  13. 유소영. 2003.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서지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254-268.(Yoo, Soyoung. 2003.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folktales stud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254-268.) 

  14. 이지혜, 채재은. 2007. 다문화가정시대 문해교육의 대안적 접근: 영미의 가족문해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7(1): 29-52.(Lee, Ji-hye, & Chae, Jae-Eun. 2007.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literacy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7(1): 29-52.) 

  15. 임성규. 2007. 초등학교 전래동화 교육의 논리와 구비문학 교육의 시각: 이동중심 접근과 이야기문화의 회복. 한국초등국어교육, 34: 381-407.(Lim, Sung-kyu. 2007. "Elementary school fairy tale education and viewpoint of oral literature education: Children's centered access and recovery of storytelling culture."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34: 381-407.) 

  16. 조수선. 1997. 한국전래동화와 독일 전래동화의 정신분석학적 비교 연구: Freud와 Jung의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Jo, Su-seon. 1997. The Psychoanalytical Comparisons between Korean Folktales and German Folktales: With the Theories of Freud's and Jung's for a Basis. M.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17.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Cho, Yeong-Dal. 2006. Damunhwa Gajeong-ui Janyeo Gyoyuk Siltae Josa.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8. 조현미, 배유리. 2008. 재미한인의 교육성취도를 통해 본 모델 마이너리티개념의 한계. 地理學論究, 29: 1-15.(Jo, Hyun-Mi, & Bae, Yu-Ri. 2008. "The limits of the 'model minority' within Korean Americans." Jilihak Nongu, 29: 1-15.) 

  19. 조희숙. 1995. 한국전래동화의 발달심리학적 분석: 입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총, 5: 47-65.(Jo, Hea Soog. 1995. "A study on developmental analysis with an initiative motif of Korean fairy tal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5: 47-65.) 

  20. 조희숙. 1998. 한국전래동화의 사회심리학적 해석: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총, 8: 1-15.(Jo, Hea Soog. 1998. "The psyco-social interpretations on characters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8: 1-15.) 

  21. 조희연. 2006. 전래동화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탐구. 혜전논집, 24: 301-316.(Cho, Hee Yeon. 2006. "Jeonlae donghwareul tonghan damunhwa gyoyuk-ui ganeungseong tamgu." Hyejeon Nonjip, 24: 301-316.) 

  22. 천희영 외. 2008. 유아의 다문화교육매체로서의 동남아시아 3개국 전래동화의 비교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21-47.(Chun, Hee Young, et al. 2008. "Comparative analys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from three southern Asian countries for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5(3): 21-47.) 

  23. 최권진. 2006.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17(2): 237-266.(Choi, Gwon Jin. 2006.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through traditional fairy tal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17(2): 237-266.) 

  24. 최태산 외. 2006. 국내 독서치료 연구 동향: 독서치료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1988-2005). 놀이치료연구, 9(1): 17-31.(Choi, Tae San, et al. 2006. "The trends of bibliotherapy study in Korea: Based on published articles about bibliotherapy(1988-2005)."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9(1): 17-31.) 

  25. 한겨레신문, 2004. 깊은 애도와 함께 우리를 되돌아 볼 때, 4월 19일.("Looking back over us with the deepest sorrow." 2004. The Hankyoreh, 19 April.) 

  26. 한대규. 2006. 아이 주인공 전래동화 연구: 한국전래동화에 나오는 아이상과 교육적 활용방안.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Han, Dae-Kyu. 2006. A Study on Heroic Children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Characteristics of Heroic Children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Ideas of Educational Applications. M.A.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7. 한윤옥. 2003.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상황설정 및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6-25.(Han, Yoon-Ok. 2003. "A study of the basic factors of bibliographic tool for the biblio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1): 6-25.) 

  28. 한윤옥. 2004.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II: 사례분석을 통한 상황설정 및 분류체계 예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50-275.(Han, Yoon-Ok. 2004. "A study of the basic factors of bibliographic tool for the bibliotherapy practices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3): 250-275.) 

  29. 한윤옥 외. 2008.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도서관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Han, Yoon-Ok, et al.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al Services in Libraries. Seoul: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30. 한진상. 2007.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학습권 침해 실태연구: 코시안집 아동을 중심으로. 제3회 경기 다문화교육포럼 및 인문과학연구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1-108.(Han, Jin Sang. 2007. "Damunhwa gajeong aideul-ui hakseubgwon chimhae siltae yeongu." The 3rd Gyonggi Multicultural Education Forum & Fall Conference on KGU Institute of Humanities, 91-108.) 

  31. 홍원표. 2008. 타인의 시선: 미국 교실 안의 아시아, 우리의 시선은? 敎育課程硏究, 26(4): 253-274.(Hong, Won Pyo. 2008. "Others' view on us: Asia in American classrooms, how about our view on other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4): 253-274.) 

  32. 황금숙. 2005a.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117-130.(Hoang, Gum-Sook. 2005a.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1): 117-130.) 

  33. 황금숙. 2005b. 외국 독서치료 연구 동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306-317.(Hoang, Gum-Sook. 2005b.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overs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2): 306-317.) 

  34. 황지은. 2003. 전래동화를 활용한 초등영어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Hwang, Jee-Eun. 2003. A Study of Teaching English through Korean Folktales in Elementary School.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35. Bauer, Robert C. 1977. Effects of Folktales as Bibliotherapeutic Aids in Changing Attitudes of Seventh Grade Remedial Readers. M.A. thesi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36. Barker, Gwendolyn C. 1994. Planning and Organizing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Menlo Park, Calif.: Addisson-Wesley. 

  37. Bettelheim, B. 1976. The Uses of Enchantment: The Meaning of Fairy Tales. New York: Vintage. 

  38. Coleaman, Marilyn, & Ganong, Lawrench H. 1988. Bibliotherapy with Stepchildren.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39. Doll, Beth, & Doll, Carol. 1997. Bibliotherapy with Young People. 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40. Ediger, Marlow. 2002. Children's Literature in the Language Arts. 

  41. Forder, Donna Y., Tyron, Cynthia A., Howard, Tyrone C., & Harris, J. John, III. 2000. "Multicultural literature and gifted black student: Promoting self-understanding, awareness and pride." Roeper Review, 22(4): 235-240. 

  42. Heuscher, J. E. 1963. A Psychiatric Study of Fairy Tales. Springfield, IL: Charles Thomas. 

  43. Haldeman, Edward G., & Idstein, Sandra. 1979. Bibliotherapy.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4. Hynes, A. M., & Hynes-Berry, M. 1994. Biblio/Poerty Therapy: Interactive Process. St. Cloud, MN: North Star Press. 

  45. Mohr, Carolyn, Nixon, Dorothy, & Vickers, Shirley. 1991. Books That Heal: A Whole Language Approach. Englewood: Teacher Ideas Press. 

  46. Pardeck, Jean A., & Pardeck, John T. 1984. Young People with Problems: A Guide to Bibliotherapy. Westport: Greenwood Press. 

  47. Philpot, Jan Grubb. 1997. Bibliotherapy for Classroom Use. Nashville: Incentive Publications. 

  48. Wardle, F. 1996. "Proposal: Anti-bias and ecological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72(3): 152-1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