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Although chuna medicine has progressed distinguishingly, yet chuna medical terminology hasn't been standardized. So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translating chuna related book and their meaning cannot be conveyed properly. For this reason, we could say standardization of chuna medi...
Objectives: Although chuna medicine has progressed distinguishingly, yet chuna medical terminology hasn't been standardized. So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translating chuna related book and their meaning cannot be conveyed properly. For this reason, we could say standardization of chuna medical terminology is very essential.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velope a standard database of concept terms for chuna medicine, in addition, we considered establish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chuna medical terminology. Methods: To select standard chuna medical terms, we sorted important chuna medical index words. Then we sorted those words into a group that has same meanings and united to one single term. In the meantime, we extracted index words from 26 domestic and foreign manual technique related books and sorted them out and based on these word, we translated chuna medical terms to Korean terms. In the case of chuna technique terms, we searched chuna text books for term those were wrongly used, and corrected them by suggest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terminology. Results: 664 chuna words were selected as standard chuna terms and have been translated to English terms. In the process, adscititious words such as anatomical terms and title of books were exempted and selected only important words that could be used as index of chuna terms. In deciding essential elements of chuna technique terms, patient position, contact point, segmental contact point, malposition, procedure method were selected. Conclusions: Correcting chuna medical terms in a sort period could cause confusion, but in long term perspective, in the aspect of conveying the meaning clearly and education purpose, standardizing of chuna medical terminology must be done. From this study, standardization of chuna medical terms were chosen in large category, but further studies must be followed in order to standardize terms of subdivisional categories.
Objectives: Although chuna medicine has progressed distinguishingly, yet chuna medical terminology hasn't been standardized. So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translating chuna related book and their meaning cannot be conveyed properly. For this reason, we could say standardization of chuna medical terminology is very essential. Purpose of our study was to develope a standard database of concept terms for chuna medicine, in addition, we considered establish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chuna medical terminology. Methods: To select standard chuna medical terms, we sorted important chuna medical index words. Then we sorted those words into a group that has same meanings and united to one single term. In the meantime, we extracted index words from 26 domestic and foreign manual technique related books and sorted them out and based on these word, we translated chuna medical terms to Korean terms. In the case of chuna technique terms, we searched chuna text books for term those were wrongly used, and corrected them by suggesting fundamental principles of terminology. Results: 664 chuna words were selected as standard chuna terms and have been translated to English terms. In the process, adscititious words such as anatomical terms and title of books were exempted and selected only important words that could be used as index of chuna terms. In deciding essential elements of chuna technique terms, patient position, contact point, segmental contact point, malposition, procedure method were selected. Conclusions: Correcting chuna medical terms in a sort period could cause confusion, but in long term perspective, in the aspect of conveying the meaning clearly and education purpose, standardizing of chuna medical terminology must be done. From this study, standardization of chuna medical terms were chosen in large category, but further studies must be followed in order to standardize terms of subdivisional categor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다만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기존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법 명칭들의 경우 급격한 수정시 혼동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존 용어를 유지하거나 혹은 병기하는 형태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 이후 새로 추가되는 기법들의 경우 원칙에 의거하여 명명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제안 방법
척추신경추나의학회에서 2011년 발간한 『추나의학』6) 교재를 기준으로 추나의학 표준용어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영역(英譯) 작업을 시행하였다. 더불어 추나 기법에 대한 영역 작업 중 확인하게 된 원칙의 부재로 인한 기법 명명에 대한 혼란을 막기 위하여 기법 명칭의 체계화 원칙 제정을 검토하였다.
교재를 기준으로 추나의학 표준용어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영역(英譯) 작업을 시행하였다. 더불어 추나 기법에 대한 영역 작업 중 확인하게 된 원칙의 부재로 인한 기법 명명에 대한 혼란을 막기 위하여 기법 명칭의 체계화 원칙 제정을 검토하였다. 용어 선정 기준은 변위명칭이나 기법명칭 등을 포함한 추나 용어와 개념 설명이 나오는 개념어 등으로 하였다.
추나의학 표준 용어 선정의 첫 번째 단계로 우선 색인(index) 단어들을 추출하였다. 2011년 발간된 『추나의학』의 경우 색인이 부재되어 있어 용어 표준화 위원회 위원 4인이 서적 전체에서 직접 중요 단어를 체크하였고, 이를 연구 보조원 2인이 취합 및 정리하여 챕터 별 및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2011년 발간된 『추나의학』의 경우 색인이 부재되어 있어 용어 표준화 위원회 위원 4인이 서적 전체에서 직접 중요 단어를 체크하였고, 이를 연구 보조원 2인이 취합 및 정리하여 챕터 별 및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추출된 단어들 중 동일 의미이면서 다르게 표현된 단어들은 체계화하여 통합화 하였으며, 1차적으로 총 1964개 단어가 색인 용어로 선정되었다. 추나의학에서 추출된 단어들 중 해부학적 부위 및 병명, 서적 이름의 경우 용어 표준화 작업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는데, 해부학적 부위나 병명의 경우 이미 확립된 영문 명칭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다만 촉진시 기준이 되는 중요 부위나 접촉 위치 등의 단어는 포함시켰다.
이 과정을 통하여 2차적으로 총 664개 단어를 고유 용어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추나의학 관련 고유 용어에 대한 영문화를 위한 작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동시에 수기요법 관련 국내 외 서적 총 26권(Table Ⅰ)의 한글 및 영문 색인 단어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확인된 한영 색인 단어들을 동일 의미의 단어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수기요법과 관련된 총 1544개 한글 용어와 영문 용어에 대한 양방향 통일을 하였다.
그리고 확인된 한영 색인 단어들을 동일 의미의 단어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수기요법과 관련된 총 1544개 한글 용어와 영문 용어에 대한 양방향 통일을 하였다. 한/영, 영/한 용어의 통일화는 추나의학 용어의 영문 작업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선정된 단어들의 추가 영문화 작업을 위하여 WHO국제표준전통의학용어집(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ST)를 참조하였고, 이 과정에서 기존에 잘못된 번역이 된 단어에 대한 수정과 오래된 번역 용어 등에 대해서도 현대 용어로의 수정을 시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수기요법과 관련된 총 1544개 한글 용어와 영문 용어에 대한 양방향 통일을 하였다. 한/영, 영/한 용어의 통일화는 추나의학 용어의 영문 작업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선정된 단어들의 추가 영문화 작업을 위하여 WHO국제표준전통의학용어집(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ST)를 참조하였고, 이 과정에서 기존에 잘못된 번역이 된 단어에 대한 수정과 오래된 번역 용어 등에 대해서도 현대 용어로의 수정을 시행하였다. 전체적인 진행과정은 그림 1과 같다(Fig 1).
대상 데이터
추나의학에서 추출된 단어들 중 해부학적 부위 및 병명, 서적 이름의 경우 용어 표준화 작업에서 제외하기로 하였는데, 해부학적 부위나 병명의 경우 이미 확립된 영문 명칭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다만 촉진시 기준이 되는 중요 부위나 접촉 위치 등의 단어는 포함시켰다. 이 과정을 통하여 2차적으로 총 664개 단어를 고유 용어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추나의학 관련 고유 용어에 대한 영문화를 위한 작업을 시행하였다.
또한 동시에 수기요법 관련 국내 외 서적 총 26권(Table Ⅰ)의 한글 및 영문 색인 단어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확인된 한영 색인 단어들을 동일 의미의 단어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성능/효과
추나의학 고유용어의 영문화 과정에서 기존 발표된 추나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가장 기본적인 추나기법에 대한 영문표기도 통일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나기법에 대한 영문표기는 Chuna treatment, chuna manipulation, chuna therapy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며, 경근추나의 경우에도 Kyungkuen Chuna, Chuna Manual Therapy for Meridian Sinew System 등으로 사용되고 있었다(Table Ⅱ).
추나기법은 골반부는 장골기법 11, 천골기법 4, 치골기법 3, 미골기법 2개로서 총20개 기법으로 정리되었으며, 체간부는 요추부기법 5, 굴곡신연기법 1, MST기법 2, 흉추기법 6개로서 총 14개 기법이 제시 되고 있고, 두경부는 경추기법 11, TMJ 4개 기법으로 총 15개 기법이고, 사지부는 상지부(견관절, 주관절, 완관절)기법 16개, 하지부(고관절, 슬관절, 족관절)기법 17개로서 총 33개 기법, 경근기법으로는 총 18개 기법으로 현재 개정된 교과서에 정리된 부위별 추나기법은 모두 100가지이다(Tabel Ⅲ). 기존의 기법 중 임상에서 효용성이 적거나 많이 사용되지 않는 기법 등을 삭제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기법을 위주로 정리되어 개정된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다(Table Ⅳ).
기본적으로 교정 치료 기법의 명명에 사용되는 요소들은 적응증, 환자의 자세, 의사의 자세, 의사의 접촉점, 환자의 접촉점, 보조수, 변위명, 교정방향 및 시술방법 등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명명 요소들 중 추나 기법의 사용에 필수적인 요소들만을 분류해 본 결과 크게 환자의 자세, 접촉점, 시술점, 변위명, 시술방법으로 체계화할 수 있었다. 명명 기본 원칙의 경우 해외 교정기법 명명에 사용하는 원칙에 국내 현황을 감안하여 추가하거나 변경하였다.
후속연구
따라서 본 학회에서는 추나의학 고유 용어의 표준화 및 영문화, 한/영, 영/한 용어의 통일화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고, 추나의학 용어 표준화 위원회를 통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는 향후 소책자 발간 및 데이터 베이스화를 거쳐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홍보를 통하여 전체 한의사가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가 표준화된 추나의학 고유 용어에 대한 영문화를 통하여 추후 각 나라의 수기요법 표준화에 대비하고, 세계화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본 학회에서는 추나의학 고유 용어의 표준화 및 영문화, 한/영, 영/한 용어의 통일화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고, 추나의학 용어 표준화 위원회를 통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 연구결과는 향후 소책자 발간 및 데이터 베이스화를 거쳐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홍보를 통하여 전체 한의사가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가 표준화된 추나의학 고유 용어에 대한 영문화를 통하여 추후 각 나라의 수기요법 표준화에 대비하고, 세계화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추나기법에 대한 영문표기는 Chuna treatment, chuna manipulation, chuna therapy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며, 경근추나의 경우에도 Kyungkuen Chuna, Chuna Manual Therapy for Meridian Sinew System 등으로 사용되고 있었다(Table Ⅱ). 고유용어의 영문화 작업시에는 한중일 3개국의 합의를 거친 IST용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논의되었으며, 예를 들면 경근추나의 경우 경근에 대한 IST용어인 Sinew system을 이용하여 Chuna Manual Therapy for Meridian Sinew System로 권고할 예정이다.
, 추나의학이 임상적으로 더욱 자리잡고, 추나치료가 설득력 있는 치료방법이 되기 위하여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연구결과에 대한 국내외 학회에서의 활발한 보고가 필요하다. 또한 근거중심의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한 시점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용어 표준화와 영역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연구결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어 제한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나의학 용어의 표준화 및 영역화 결과물은 향후 추나의학의 근거중심의학으로서의 활발한 연구 뿐만 아니라 국제화에도 근간이 될 것으로 사료 되며, 한의학회 및 타학회와의 교류를 통하여 전체 한의계에서의 합의된 원칙을 통한 수정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나의학 표준 용어 선정의 첫번째 단계는?
추나의학 표준 용어 선정의 첫 번째 단계로 우선 색인(index) 단어들을 추출하였다. 2011년 발간된 『추나의학』의 경우 색인이 부재되어 있어 용어 표준화 위원회 위원 4인이 서적 전체에서 직접 중요 단어를 체크하였고, 이를 연구 보조원 2인이 취합 및 정리하여 챕터 별 및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추나의학 연구의 현황은?
현재 11개 한의과대학에서 추나학, 한방재활의학, 근골격학의 명칭으로 관련과목이 개설되어 강의되어 지고 있으며1), 한방의료기관에서도 근골격계 질환 환자가 한방병원 전체 환자의 30%에서 40%로, 한의원 전체 환자의 46%에서 55% 수준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보건복지부 환자조사 보고서(2005년, 2008년 보고서)2,3)에서 보고되는 있는 가운데,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추나치료도 지속적인 임상적 연구보고를 통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4).
한국 수기요법인 추나는 언제부터 알려졌는가?
한국 수기요법인 추나는 1991년 12월 대한추나의학회가 처음으로 창립되고, 1992년 대한한의학회 추나분과학회로 공식 인준을 받으면서 알려지게 되었고, 현재 추나의학은 한방재활의학에 포함되거나 단독 과목으로 개설되어 근골격계 질환 치료의 다양성을 추구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