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54 no.4, 2012년, pp.275 - 282
노재광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 최연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광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최태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나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주현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 , 김진형 (한국종축개량협회) , 신지섭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 도창희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The data including milk yields, fat and protein percent for 628,395 heads collected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15 type traits and final score for 62,262 heads collected by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which were born in 1998 to 2004, and net profits calculated from mi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순이익의 계산 방법은 무엇인가? | 본 연구에서 1982년부터 2010년까지 수집된 농협젖소개량사업소의 628,395두의 산유능력검정자료를 이용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 후, 전산차 산유기록과 선형심사자료를 갖고 있는 1998~2004년 출생 62,262두를 선발하여 그 개체들의 유대로 인한 순이익과 경제형질간의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순이익의 계산은 국내유대체계와 통계청 및 농협의 통계지표를 활용하여 개체의 유대 및 생산원가를 계산하였다. 심사형질은 한국종축개량협회의 15개 심사형질과 종합점수, 산유형질은 실착유량과 평균유지율, 유단백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
한국종축개량협회의 15개 심사형질과 종합점수, 산유형질은 실착유량과 평균유지율, 유단백율 중 가장 높은 정(+)의 유전상관은 무엇이었는가? | 심사형질은 한국종축개량협회의 15개 심사형질과 종합점수, 산유형질은 실착유량과 평균유지율, 유단백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선형심사형질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정(+)의 유전상관은 체심(BD) 형질과 강건성(SR) 형질 사이에서의 0.8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부(-)의 유전상관은 체심(BD) 형질과 유방깊이(UD), 뒤에서 본 앞유두 배열위치(TP) 형질과 앞유두크기(TL)의 -0. | |
심사형질은 무엇으로 설정하였는가? | 순이익의 계산은 국내유대체계와 통계청 및 농협의 통계지표를 활용하여 개체의 유대 및 생산원가를 계산하였다. 심사형질은 한국종축개량협회의 15개 심사형질과 종합점수, 산유형질은 실착유량과 평균유지율, 유단백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선형심사형질들 사이에서 가장 높은 정(+)의 유전상관은 체심(BD) 형질과 강건성(SR) 형질 사이에서의 0. |
Al-Seaf, A., Keown, J. F. and Van Vleck. L. D. 2007. Genetic Parameters for Yield Traits of Cows Treated or Not Treated with Bovine Somatotropin1. J. Dairy Sci. 99:501.
ANT R. VOLLEMA. and Groen, AB F. 1997.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Longevity and Conformation Traits in an Upgrading Dairy Cattle Population. Wageningen Agricultural University, PO Box 338,6700 AH Wageningen, The Netherlands.
Boldman, K. G. and Famula, T. R. 1985. Association of sire dystocia transmitting ability with progeny linear type traits in Holsteins. J. Dairy Sci. 68:2052-2057.
Bourdon, R. M. and Brinks, J. S. 1983. Calving Date versus Calving Interval as a Reproductive Measure in Beef Cattle.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80523.
Falconer, D. S. and MacKay. 1996.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Genetics, Pearson. Longman, New York.
Foster, W. W., Freeman, A. E., Berger, P. J. and Kuck, A. 1988. Linear type trait analysis with genetic parameter estimation. J. Dairy Sci. 71:223-231.
Harris, B. L. and Freeman, A. E. 1992. Analysis of Herd Life in Guernsey Dairy Cattle. Animal Science Department. Iowa, State University.
Harris, B. L., Freeman, A. E. and Metzger, E. 1992. Genetic and phenotypic parameters for type and production in Guernsey dairy cows1. J. Dairy Sci. 75:1147.
Hayes, A. E. and Mao, I. L. 1987. Effect of parity, age and stage of lactation at classification on linear type scores of Holstein cattle. J. Dairy Sci. 70:1898.
Heinrichs, A. J., Heinrichs, B. S., Harel, O., Rogers, G. W. and Place, N. T. 2005. A Prospective Study of Calf Factors Affecting Age, Body Size, and Body Condition Score at First Calving of Holstein Dairy Heifers. J. Dairy Sci. 88:2828.
Kempthorne, O. 1955. The theoretical values of correlations between relatives in a random mating populations. Genetics. 40:153-167.
Lovendahl. P. and Chagunda. M. G. G. 2011. Covariance among milking frequency,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from automatically milked cows. J. Dairy Sci. 94:5381-5392.
Meyer. K. 2010. Wombat Manual. University of New England. Armidale, NSW 2351, Australia.
Short, T. H. and Lawlor, T. J. 1992. Genetic Parameters of Conformation Traits Milk Yield, and Herd Life in Holsteins. J. Dairy Sci. 75:1987-1998.
Van Raden, P. M., Jensen, E. L., Lawlor, T. J. and Funk, D. A. 1990. Prediction of transmitting abilities for Holstein type traits. J. Dairy Sci. 73:191-197.
Van Raden, P. M., Norman, H. D., Powell, R. L. and Wiggans, G. R. 1996. Changes in USDA-DHIA genetic evaluations (July 1996). AIPL Res. Rpt. 1996; CH6.[http://www.aipl.arsusda.gov/pdfdocs/chng967.pdf].
Vollema, ANT. R. and Groen, AB. F. 1997.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longevity and conformation traits in an upgrading dairy cattle population. J. Daiarmry Sci. 80:3006-3014.
노재광. 2012. 국내 Holstein종 젖소의 경제형질과 소득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광전, 박경도 조주현, 김경남. 1996. 홀스타인 젖소의 체형형질과 생산형질들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한축지. 38(5):455.
이기환. 2011. 한우 암소의 선형 및 외모심사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병순, 백광수, 박성재, 박수봉, 김현섭, 조광현, 안병석, 김은길, 한광진, 상병찬. 2008. 젖소의 유방형질과 생애생산량과의 연관성 연구. 축산기술연구소.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