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전통 음청류 선호도와 구매도 조사
Investigation into the Preference and Demand for Functional Drinks (Korean Traditional Drink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no.4, 2012년, pp.413 - 421  

김귀순 (구미대학교 호텔조리제빵과)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초록

본 연구는 경북지역 20세 이상 성인 418명을 대상으로 전통 음청류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와 향후 음청류 대중화 및 소비 전망에서 기능성 전통 음청류에 대해 선호도와 구매의사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남자 170명, 여자 248명, 30대 29.2%, 40대 28.0%, 20대 27.5%와 50대 15.3%로 기혼이 57.7%로 미혼보다 많았다. 성별에 따른 음청류 선호도는 남녀 모두 과반수 이상이 좋아한다고 하였으며 명절이나 특별한 행사에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취 이유로는 여성은 맛이 좋다와 남성은 우리 고유의 음식이라서 섭취한다고 하였으며 섭취하지 않는 이유로는 입맛에 맞지 않아서가 높게 나타났다. 음청류의 종류 중 남녀 각각 식혜를 4.12, 4.10으로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수정과, 차, 화채 순으로 나타나 성별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음청류 종류에 따른 기호도는 남자가 식혜 3.92, 차 3.61, 화채 3.58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는 식혜 3.51, 화채 3.51, 차 3.45순으로 나타났다. 음청류의 소비전망은 46.9%가 증가될 것이다, 36.1%가 그대로일 것이다. 17.0%가 감소할 것이다로 나타났으며 기능성 음청류 개발에 대해 88.5%가 개발동의 가능성을 보여 음청류의 소비전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첨가 음청류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서 영양보충용, 당뇨조절용, 보양용이 높게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기능성 음청류 개발 필요에 대해 3.5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기능성 음청류 개발 시 구매 의사도 개발 필요도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이 첨가된 전통 음청류 중 구매의사의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식혜를 가장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첨가 음청류에 대한 대중화 방안으로 품질지향이미지, 대중성지향이미지, 상품 속성 지향 이미지 세 요인으로 분류하여 개발된 기능성 음청류의 구매도와의 영향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p<.001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품질지향 이미지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18 adults 20 years or older, all of whom lived in Daegu and Gyeongbuk. According to a survey, the number of females was greater than that of males (40.7%) by 59.3%, and that for ages 30 years was the highest. The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drinks was relative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북지역 20세 이상 성인 418명을 대상으로 전통 음청류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와 향후 음청류 대중화 및 소비 전망에서 기능성 전통 음청류에 대해 선호도와 구매의사를 살펴보았다.
  • 한국 전통 음청류와 기능성 전통 음청류에 대한 인지도, 기호도 및 구매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 20일부터 2012년 1월 30일까지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총 450부를 배부하여 내용기재가 미흡한 것을 제외한 418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정과와 식혜를 제외한 인식이 낮은 음청류에 대해서는 설문지에 그 조리법과 사례를 함께 기입하여 설문응답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천연재료에 의한 환경 친화적인 기능성 음료로서 기대의 변화에 부응하며 소비자의 요구와 구매력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음청류의 개발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전통 음청류를 건강 기능성 음료로 보다 많은 대중들에게 보급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현재 전통 음청류에 대한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하고 기능성이 첨가되었을 때 차후 기능성 전통 음청류 개발과 판매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동시에 대중화 및 산업화 하는데 새로운 제조 방향을 유도함으로써 기능성 전통음료의 개발 및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청류는 무엇인가? 음청류는 술 이외의 기호성 음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한국의 전통음료는 종류, 형태, 조리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삼국시대 이래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음식과 함께 불가결한 존재이다(Cho WH 2001, Lee HJ 등 2002, Hwang SJ과 Kim YS 2006, Shin SY과 Chung LN 2007, Park JY 2008). 한국 전통 음료는 자연에서 나온 자연물을 이용하여 사계절의 변화를 담아 맛을 표출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좋은 자연수와 함께 식용열매꽃, 잎, 과일 등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와 향약재 등을 이용하여 차, 탕, 장, 갈수, 숙수, 화채 등의 전통 음료가 발달하였다(Kim MR 2001, Han ES과 Rho SN 2004, Lee YJ 2005, Lee YJ과 Byun GI 2006).
한국 전통 음료는 어떻게 발달하였는가? 음청류는 술 이외의 기호성 음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한국의 전통음료는 종류, 형태, 조리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삼국시대 이래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음식과 함께 불가결한 존재이다(Cho WH 2001, Lee HJ 등 2002, Hwang SJ과 Kim YS 2006, Shin SY과 Chung LN 2007, Park JY 2008). 한국 전통 음료는 자연에서 나온 자연물을 이용하여 사계절의 변화를 담아 맛을 표출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좋은 자연수와 함께 식용열매꽃, 잎, 과일 등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와 향약재 등을 이용하여 차, 탕, 장, 갈수, 숙수, 화채 등의 전통 음료가 발달하였다(Kim MR 2001, Han ES과 Rho SN 2004, Lee YJ 2005, Lee YJ과 Byun GI 2006). 자연의 맛과 선조들의 풍류를 즐기는 멋이 깃든 전통음료는 153품목에 달하며(Lee HJ 1994), 전통음료는 의식동원(醫食同源)의 실체로서 생활화되어 왔으며 기호식품으로 갈증해소, 심리적 위안, 원활한 분위기 조성, 건강 보조 기능 등 수시로 음용하거나 일상식, 절식, 제례, 연회식 등에 사용되어 왔다(Park MR 1999, 강인희 2000, Lee CH와 Kim SY 1991, Han ES과 Rho SN 2004).
한국 전통 음료의 종류는 얼마나 있으며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 한국 전통 음료는 자연에서 나온 자연물을 이용하여 사계절의 변화를 담아 맛을 표출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좋은 자연수와 함께 식용열매꽃, 잎, 과일 등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료와 향약재 등을 이용하여 차, 탕, 장, 갈수, 숙수, 화채 등의 전통 음료가 발달하였다(Kim MR 2001, Han ES과 Rho SN 2004, Lee YJ 2005, Lee YJ과 Byun GI 2006). 자연의 맛과 선조들의 풍류를 즐기는 멋이 깃든 전통음료는 153품목에 달하며(Lee HJ 1994), 전통음료는 의식동원(醫食同源)의 실체로서 생활화되어 왔으며 기호식품으로 갈증해소, 심리적 위안, 원활한 분위기 조성, 건강 보조 기능 등 수시로 음용하거나 일상식, 절식, 제례, 연회식 등에 사용되어 왔다(Park MR 1999, 강인희 2000, Lee CH와 Kim SY 1991, Han ES과 Rho S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인희. 2000. 한국음식대관 제3권. 한길출판사. 서울. pp 505-506 

  2. Bok HJ, Choi SK. 2008. Investigation of requirement of demand toward for functional traditional hangwa (Korean cookies) of tradi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 692-701 

  3. Cho WH. 2001. Trend and product development of traditional beverage. Korean J Cookery Sci 17(6): 651-656 

  4. Geo YS, Lee IS. 1985. Quantitativ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by HPLC. Korean Soc Food Sci Nutr 14(3): 301-304 

  5. Han ES, Rho SN. 2004. An analysis of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the Korean traditional drinks by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5): 397-406 

  6. Hwang SJ. Kim YS. 2006. Research on drinking traditional beverage among college students in Seoul. Korean J Culinary Res 12(4): 213-224 

  7. Jo WH. 2001. Development trend and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traditional material beve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 651-655 

  8. Kim HJ. 2004. The survey of beverage preference and sales trends. Masterat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1-2 

  9. Kim KW, Lee MY, Kim JH, Shin YH. 199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empt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3(1): 21-33 

  10. Kim MR. 2001. Korean traditional convenience beverage and cookery scien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6): 657-700 

  11. Koo NS. 1997. Housewives' consumption aspects of Korean fermented foods in Tadj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4): 714-725 

  12. Lee CH, Kim SY. 1991.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 II. recent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6(1): 55-60 

  13. Lee HJ. 1994. Study on traditional beverage. Korean J Dietary Culture 9(4): 421-430 

  14. Lee HJ, Sohn KH, Lee MJ. 2001. Analytic study on various related to perception of traditional bever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6(5): 483-491 

  15. Lee HJ, Sohn KH, Lee MJ. 2002.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 beverage consump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1): 63-72 

  16. Lee SY. 2003. A study on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sales power of the beverage market in Korea Masterate thesis. Honam University. pp 12-13 

  17. Lee YJ. 2005.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IPA) of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commercial beve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5): 693-702 

  18. Lee YJ, Byun GI.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e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 Korean J Food Culture 21(1): 8-16 

  19. Park EY, Han YS. 2007. A survey on the plans to market traditional Korean beverages as take-out products. Korean J Food Nutr 20(4): 501-508 

  20. Park JY. 2008. Status of recognition among dietitians and utilization on school foodservices of hangwa and Korean traditional drinks.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pp1-2 

  21. Park MR. 1999. A study o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image of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4): 501-513 

  22. Park YS. 1997. Perception of traditional and prohibitive foods in Yanbian area. Korean J Food Culture 12(2): 103-136 

  23. Seo KH, Kim SH.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of oriental functional beverage and o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or rat after drinking liquors. Korean J Food Nutr 14(3): 222-227 

  24. Shin SY, Chung LN. 2007. The preference and frequence of beverage related to health factor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2(4): 420-4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