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s of Galla Chinenisis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OP9 Cell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6 no.4, 2012년, pp.455 - 461  

박선영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황홍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서은아 (벽성대학교 발효식품과) ,  권강범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류도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is associated with numerous diseases such as type 2 diabetes, hypertension and cancer. Inhibition of adipogenesis is a effectite strategy to anti-obesity. In this study, Galla Chinenisis extract (GCE)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OP9 cells. There was no cytotoxicity when cell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오미자 추출물을 OP9 지방전구세포로 분화하는 단계에 처리하였을 경우 분화억제 효과와 그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을 5, 20, 50 μg/ml의 농도로 OP9 세포에 24, 48, 72, 96시간 처리하였을 때, 오미자 추출액의 농도와 처리시간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각 농도에서의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지방에 특이 반응을 나타내는 Oil red-O 염료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에서 오미자 추출물은 지방의 축적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고, BODIPY 염료와 DAPI 염료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에서도 지방세포의 분화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는지, 또한 그 작용기전을 확인하기 위해 OP9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의 세포독성과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조사하고 지방합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상태를 조사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 추출물이 OP9 세포에서 지방세포 분화기전에 미치는 영향은? 오미자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농도 및 시간에 따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미자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과정에서 농도에 따라 축적되는 지방의 양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지방세포 분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지방세포분화 조절인자인 PPARγ, C/EBP α의 mRNA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지방분화 관련 유전자인 FAS, HSL, LPL, aP2 mRNA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우리 몸에서 지질대사의 역할은? 지질대사는 우리 몸 에너지의 저장 및 분배, 당대사 조절, 에너지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며, 지질대사에 이상이 생기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질대사는 주로 간과 지방조직에서 일어나며, 지방조직에서는 조직을 구성하는 지방세포에 의해 조절 된다1-3).
지방세포는 무엇인가? 이러한 지질대사는 주로 간과 지방조직에서 일어나며, 지방조직에서는 조직을 구성하는 지방세포에 의해 조절 된다1-3). 지방세포는 체내 대사에 있어 중요한 기관의 하나로, 단순한 에너지 저장 기관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이기도 하며, 대사과정에서 능동적인 작용을 하는 장기이다4,5). 지방세포는 지방세포내의 중성지방(triglyceride) 양이 증가하거나 지방세포의 수가 늘어나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MacDougald, O.A., Lane, M.D. Transcriptonal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nu Rev Biochem. 64: 345-373, 1995. 

  2. Trujillo, M.E., Scherer, P.E. Adipose tissue-derived factors: impact on health and disease. Endocr Rev. 27(7):762-778, 2006. 

  3. Gregoire, F.M., Smas, C.M., Sul, H.S. Understand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Physiol Rev. 78(3):783-809, 1998. 

  4. 김재우. 대사질환의 연구와 지방세포의 분화. 생화학분자생 물학뉴스(구-생화학뉴스) 30(4):36-45, 2010. 

  5. Otto, T.C., Lane M.D., Adipose development from stem cell to adipocyte. Crit. Rev. Biochem. Mol. Biol. 40: 229-242, 2005. 

  6. 이재성. 이성현. 한방치료의 체지방 및 복부비만 감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1(1):33-42, 2001. 

  7. Bray GA:Handbook of obesity, Mercel Dekker Inc. New York, 1998. 

  8. 中醫硏究院主編. 中醫症狀鑑別診斷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 43, 1987. 

  9. 馬元臺, 張隱庵. 黃帝內徑素門. 서울, 성보사, pp 224-330, 1975. 

  10. 洪元植. 精校黃帝內經. 서울, 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p 61, 94, 219, 220, 275, 1991. 

  11. 張介賓. 景岳全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p 194, 1984. 

  12. 劉河間. 宣明放論. 券十. 서울, 녹강출판사, p 768, 1984. 

  13. 李?. 編註醫學入門. 서울, 대성문화사, p 108, 1984. 

  14. 허수영. 비만의 동서의학적 고찰과 치료. 대한한방재활의학회지 7(1):272-286, 1997. 

  15. 전국 한의과 대학 본초학 교수 共編著. 本草學. 서울, 영림사, pp 620-622, 2000. 

  16. 당종해 원저. 권건혁 譯. 국역 본초문답. 서울, 반룡, p 126, 2003. 

  17. 장준복, 이경섭, 안병기. 음호병의 외용약으로 응용되는 오배자, 애엽, 고삼, 촉숙 및 황백의 향균과 소염효과. 대한한의학회지 14(2):270-280, 1993. 

  18. 이영근, 김용균, 최영환, 김근기. 비브리오속균에 대한 오배자 메탄올 추출물의 향균 효과.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3(3):201-204, 1993. 

  19. 부용출, 김정순, 전체옥. 오배자의 향균성분. 韓國農化學會誌 36(3):58, 1993. 

  20. 김윤영. 오배자 추출물을 이용한 면직물의 향균가공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학위논문, pp 49-51, 2004. 

  21. 최혜승. 오배자 추출물의 어병세균에 대한 향균력 및 어류에 대한 생리반응.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공학과 대학원 학위논문, pp 1-121, 2004. 

  22. 김천종, 안영민, 안세영, 두호경. 八味地黃丸및 오미자 추출물이 뼈모유사세포와 치주인대섬유모세포의 증식,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및 단백질 합성능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4(3):35-44, 2003. 

  23. 이승배. 오배자의 항산화 및 간보호 효과. 상지대학교 축산학과 대학원 학위논문, pp 1-73, 2000. 

  24. 차배천, 임태진, 이광희, 이승배. 오배자 성분이 항산화 및 간 보호 효과. 韓國藥用作物學會誌8(2):157-164, 2000. 

  25. 하영애. 오배자(오미자)에서 추출한 물질에 의한 세포보호와 염증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화학과 대학원 학위논문, pp 1-46, 2008. 

  26. 김태철. 오미자(Rhus japonica Linne)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관하여.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대학원 학위논문, pp 1-31, 1991. 

  27. 송규영, 박병준, 김성훈, 오배자의 항혈전 효과. 생약학회지 33(2):120-123, 2002. 

  28. Kim, S.H., Park, H.H., Lee, S., Jun, C.D., Choi, B.J., Kim, S.Y., Kim, S.H., Kim, D.K., Park, J.S., Chas, B.S., Shin, T.Y., The anti-anaphylactic effect of the gall of Rhus javanica is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histamin release and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Int Immunopharmacol. 5(13-14):1820-1829, 2005. 

  29. 김창민 외. 중약대사전. 서울, 정담출판사, pp 2319-2327, 1998. 

  30. 리정복. 장수학. 서울, 과학백과사전출판사, pp 455-456, 439-442, 456, 1987. 

  31. 강정원 등. 10대 여학생들의 우울성향과 체중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pp 15-640, 1994. 

  3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2008. 

  33. 박용우. 체중조절에 사용되는 건강기능식품의 근거중심 처방. 가정의학회지 24(5):409-415, 2003. 

  34. 박철영. 비만의 최신 약물치료제. 경희의학, 18(2):77-85, 2002. 

  35. 朱震亨. 丹溪心法(上). 서울, 大成出版社, p 66, 67, 70, 156, 1982. 

  36. 劉河澗. 劉河澗傷寒三十六書. 서울, 成輔社, pp 273-285, 1976. 

  37. 李東垣. 東垣醫書十種. 脾胃論, 서울, 대성문화사, p 70, 1993. 

  38. 李仲梓. 醫宗必讀. 서울, 대남종합출판사, p 120, 210, 1976. 

  39. 傳靑主, 葉天士. 新編傳靑主男女科.葉天士女科. 서울, 大星文化社, p 106, 193, 1984. 

  40. 전국한의과대학재활의학교실. 동의재활의학과학, 서울, 서원당, pp 570-571, 1995. 

  41. 王光權. 減肥法初探. 浙江省, 浙江中醫雜誌, p 128, 1985. 

  42. 塗建中. 肥滿症的中醫藥治近況. 上海, 上海中醫雜誌, p 33, 1989. 

  43. 江幼李. 肥滿的中醫治療. 北京. 北京中醫學院學報, p 26, 1985. 

  44. 陳貴廷, 楊思澍.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pp 682-689, 1991. 

  45. 金貞娟, 宋勇善. 肥滿에 대한 東西醫學的考察. 來醫物理療法科學會誌3(1):299-314, 1993. 

  46. 趙洪健, 金炳卓. 肥滿症의 原因과 病機및 治法에 關한 文獻 的考察. 大田大論文集. 1(2):61-71, 1992. 

  47. Camp, H.S., Ren, D., Leff, T. Adipogenesis and fat-cell function in obesity and diabetes.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8(9):442-447, 2002. 

  48. Long, S.D., Pekala, P.H, Lipid mediators of insulin resistance: ceramide signalling down-regulates GLUT4 gene transcription in 3T3-L1 adipocytes. Biochemical Journal. 319: 179-184, 1996. 

  49. Hwang, C.S., Lotus, T.M., Mandrup, S., Lane, M.D.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eptin expression. Annual review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13: 231-259,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