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Boundary Ambiguity and Family Functioning in Remarriage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4 no.3, 2012년, pp.183 - 202  

김연옥 (서울시립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재혼가족을 경계라는 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재혼가족의 모 125표본을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재혼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79.2%, 남성배우자의 74.2%의 전혼해체사유가 이혼으로서 '이혼 후 재혼'이 재혼의 보편적 유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여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이 남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보다 앞선 조사결과를 통해 재혼의 사회문화적 태도 또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체적 실재와 심리적 실재의 일치여부로 측정한 가족경계모호성 분석결과, 조사 대상자의 67.6%가 경계모호성이 없는 반면, 32.4%가 심리적, 육체적, 혹은 양쪽 모두의 경계모호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marriages constitut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all marriage in Korea. In 2010, 21.9% of marriage were remarriages for one or both partners. In spite of such increasing of remarriage, not much attentions were given the issues of remarriage in the academic circle of social welfare in Korea.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 등을 재혼가족의 母의 인식에 초점을 맞춰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재혼가족의 경계모호성, 가족행복도, 가족유대감, 부부행복도 등은 재혼여성의 인식에 한정된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재혼가족 전체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가족체계이론에 근거한 경계개념을 중심으로, 재혼가족이 경험하는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분야에서 재혼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일천한 단계이고, 주제 또한 재혼 가족의 문제점, 역할, 적응 등 주로 기능적 측면에 치중해 온 경향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에서 벗어나, 재혼가족을 경계라는 구조적 관점에 기초하여 재혼가족의 기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발견 내용과 그 의미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 셋째, 재혼가족의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 따라서 재혼가족의 해체를 미연에 방지하고 가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재혼가족 문제의 근원에 위치한 경계라는 구조적 관점에서 재혼가족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경계모호성과 재혼가족의 가족기능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이론적 이해는 물론, 재혼가족 지원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재혼과 재혼가족의 특성을 분석하고, 재혼가족의 기능수준과 경계모호성의 수준을 확인한 후 재혼가족의 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에는 전체 혼인의 몇 퍼센트가 재혼이었는가? 2007년에는 천명당 이혼율이 OECD국가 평균과 아시아 주요 4개국 평균을 상회하면서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하였다(OECD, 2009)1). 이혼율의 상승은 바로 재혼율의 상승을 의미하여, 2010년에는 전체 혼인의 21.9%가 재혼2)이었으며, 평균 재혼연령은 남자 46.1세, 여자 41.
이혼율의 상승은 무엇의 상승을 의미하는가? 2007년에는 천명당 이혼율이 OECD국가 평균과 아시아 주요 4개국 평균을 상회하면서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하였다(OECD, 2009)1). 이혼율의 상승은 바로 재혼율의 상승을 의미하여, 2010년에는 전체 혼인의 21.9%가 재혼2)이었으며, 평균 재혼연령은 남자 46.
재혼가족을 경계라는 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재혼가족의 모 125 표본을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재혼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 등을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는 재혼가족을 경계라는 체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재혼가족의 모 125표본을 대상으로 재혼가족의 재혼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79.2%, 남성배우자의 74.2%의 전혼해체사유가 이혼으로서 '이혼 후 재혼'이 재혼의 보편적 유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여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이 남성재혼자가 전혼의 자녀를 데리고 사는 비율보다 앞선 조사결과를 통해 재혼의 사회문화적 태도 또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육체적 실재와 심리적 실재의 일치여부로 측정한 가족경계모호성 분석결과, 조사 대상자의 67.6%가 경계모호성이 없는 반면, 32.4%가 심리적, 육체적, 혹은 양쪽 모두의 경계모호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경계모호성과 가족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