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가루분진 및 살리실산분진의 폭발하한농도 및 열적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Explosive Lower Limit Concentration & Thermal Specific of Wheat Powder Dust & Salicylic Acid Dus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6 no.4, 2012년, pp.1 - 9  

고재선 (호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형의 밀가루 제조공정 및 각질제거용 기능성 비누를 생산하는 화장품 제조공정에서의 분진들을 채집하여 폭발 및 열적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폭발실험은 Hartman식 분진폭발장치를 이용하였고, 열적실험은 DSC 및 TGA를 이용하여 활석첨가시 농도의 변화에 따른 폭발압력 및 폭발하한계와 온도에 따른 무게감량과 흡열량을 측정하였다. 폭발실험결과 두 시료 모두 활석분진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폭발하한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폭발압력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DSC 실험결과 활석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열유속은 감소하고 온도 또한 약간의 감소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두 시료 모두 승온 속도가 증가 할수록 흡열개시온도가 낮은 온도부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흡열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아울러 TGA 실험결과 활석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체 무게감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분진폭발메커니즘의 지속적 연구와 보완이 효과적인 분진폭발예방 대책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examined In order to compare each other from explosion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bout the dusts which collects from manufacturing process of wheat flour and cosmetics manufacturing process of functional Keratin removal soap at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style. We measured explos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의 국내에서 발생한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폭발사고도 잠정적으로 화약분진에 의한 역화(Back Draft) 및 폭발사고로 귀결되고 있어 앞으로 다양한 종류의 분진폭발에 대한 연구 및 폭발메커니즘에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형의 밀가루제분공정 및 기능성비누제조 공정(각질제거용 비누제조공장)에서 채집한 분진인 밀가루분진(Wheat Flour Dust) 및 살리실산분진(Salicylic Acid Dust) 2종에 대하여 폭발 및 열적특성의 변화를 살펴 보기 위하여 Hartman식 분진폭발장치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이용하여 불활성분진인 활석(Talcum)을 혼합함으로서 변화되는 폭발하한계 및 열적 특성인 흡열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향후 이러한 각종분진의 폭발위험성을 평가하고 측정하는 기술적인 방법을 고찰하므로써 분진폭발연구는 물론 분체를 취급하는 공정이나 관련 산업에 있어서의 기초자료축적, 분진폭발방지 및 방호대책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제조현장에서 채집한 밀가루 분진 및 살리실산 분진에 대하여 서로 폭발 및 열적특성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결론를 도출할 수 있었다. 대상시료에 불활성분진을 첨가시 분진의 농도변화에 따른 평균폭발확률은 대상시료 2종의 평균 50%로 나타났으며 폭발하한농도는 활석분진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폭발하한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폭발압력은 활석의 양이 많아질수록 최대폭발상승압력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활석 분진이 불활성으로 열흡수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발실험을 위해 논문의 저자가 사용한 실험 시료는?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형의 밀가루 제조공정 및 각질제거용 기능성 비누를 생산하는 화장품 제조공정에서의 분진들을 채집하여 폭발 및 열적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폭발실험은 Hartman식 분진폭발장치를 이용하였고, 열적실험은 DSC 및 TGA를 이용하여 활석첨가시 농도의 변화에 따른 폭발압력 및 폭발하한계와 온도에 따른 무게감량과 흡열량을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 W. Lee, Y. M. Hahm, J. H. Kim and S. H. Hyun, "A Study on the Riskness of Dust Explosion of Feed Stuff",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2, No. 2, pp. 61-68 (1998). 

  2. H. J. Kim, S. H. Hyun and C. W. Lee,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tarc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5, No. 2, pp. 1-5 (2001). 

  3. Rolf. K Eckhoff, "Pressure Development During Explosion in Clouds of Dust From Grain", Fire Research (1977). 

  4. ASTM, Designnation: E789-95 (Reapproved), "Standard Test Method for dust Explosion in a 1.2 Liter Closed Cylindrical Vessel" (2001). 

  5. Waylcmd C, Griffith, "Dust Explosion", Ann. Rev. Fluid Mech (1978). 

  6. K. N. Palmer, "Dust Explosion and Fires", Chapman & Hall, London (1973). 

  7. Richard E. Cocks, "Dust Explosion: Prevention and Control", Chemical Engineering (1979). 

  8. W. H. Kim, S. C. Lee, S. S. Seung and J. N. Kim,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Coal Dusts in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Journal of Korean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9, No. 2, pp. 257-263 (2008). 

  9. I. G. Choi, I. K. Cho, Y. S. Mok, D. H. Lee, J. W. Choi and D. H. H. Ha, "The Measurement of Minimum Ignition Energy and Explosion Limit for Pine Tree Du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2, No. 2, pp. 55-60 (1998). 

  10. Wolfagang Bartknecht, "Dust Explosions", Springer Velag Belin Heidelberg, pp. 2-9 (1989). 

  11. O. S. Han, I. S. Han, Y. R. Choi and K. W. Lee, "Explosion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Reactive Organic Dus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5, No. 4, pp. 7-14 (2011). 

  12. C. W. Lee, Y. M. Hahm, J. H. Kim and S. H. Hyun, "A Study on the Explosion Riskness with Flying of Activated Carb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2, No. 3, pp. 3-9 (1998). 

  13. C. W. Lee, Y. M. Hahm, J. H. Kim and S. H. Hyun, "Explosion Riskness with Flying of Carbon Black Dus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12, No. 4, pp. 13-19 (1998). 

  14. Tasneem Abbasi and S. A. Abbasi, "Dust Explosion Case-Cause, Consequence, and Control",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pp. 140-144 (2007). 

  15. C. W. Kauffman, Agricultural dust explosions in grain handling facilities, in: J. H. S. Lee, C. M. Guirao (Eds.), Fuel-air Explosions, University of Waterloo Press, Waterloo, Ontario, Canada, pp. 305-347 (19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