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강재 단주의 압축강도 및 잔류응력 평가
Compressive Strength and Residual Stress Evaluation of Stub Columns Fabricated of High Strength Steel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4 no.1 = no.116, 2012년, pp.23 - 34  

이철호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대경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한규홍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김진호 ((재)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이승은 ((재)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하태휴 ((재)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장강도 800MPa급 고강도강재(HSA800)의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실험을 통해 균등압축과 휨-압축 부재의 강도를 평가하여 현행 강구조기준(KBC2009, AISC2005)의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잔류응력의 계측을 통하여 강재 항복강도와 잔류응력과의 상관성 여부도 검토하였다. 고강도강재와 일반강재의 국부좌굴 거동 차이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심압축실험에 SM490 강재로 제작된 비교실험체도 포함시켰다. 강도로 무차원화한 판폭두께비와 판 단부의 지지조건을 주요변수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편심압축실험은 HSA800 강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휨-압축의 조합력을 받는 부재의 P-M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가력 편심거리를 조정하여 다양한 P-M 조합에 대해 강도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잔류응력은 중심압축실험에 사용된 H형단면 실험체를 대상으로 비파괴실험법인 압입법에 의해 가력 이전에 그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중심압축을 받는 모든 HSA800 단주는 판 단부의 지지조건 및 판폭두께비 조건에 따른 현행 강구조기준의 설계강도를 충분히 발휘하였다. 편심압축을 받는 실험체 역시 현행 설계기준의 P-M 상관관계를 충분히 안전측으로 충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잔류응력의 크기는 강재의 항복강도와 무관하다는 선행연구결과와 합치하는 잔류응력 측정값이 얻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tub columns subjected to concentrical and eccentrical loads were tested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current local stability criteria (KBC2009, AISC2005) to 800MPa high-strength steel (HSA800). The key test variables in the concentrically loaded tests included the plate-edge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편심압축실험은 HSA800 강재로 제작된 단주의 휨-압축 조합내력(곧, P-M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휨응력에 대해 비콤팩트 단면으로 설계된 HSA800단주 실험체는 현행 기준의 요구강도를 충분한 여유를 갖고 만족하였다.
  • 고강도강재(HSA800)와 일반강재(SM490)의 재료 물성치를 파악하여 단주실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본 실험에 앞서 소재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 제작에 사용한 강재와 동일한 모재에서 시편을 레이저로 절취하였으며, 금속재료 인장 시험편 규정(KS B 0802:2003, 2008)에 따라 1A호로 제작 하였다.
  •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실험의 주 목적은 고강도강재 플레이트의 좌굴내력을 평가하고 현행 설계기준에 따라 압축재로 설계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중심압축실험에서는 판폭두께비와 판의 단부지지조건에 따라 고강도강재와 일반강재의 국부좌굴 거동이 상이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행 기준(KBC2009, AISC2005)에 따라 두 강종의 실험체를 설계한 후 비교평가하였다.
  • 현행 설계기준(KBC2009, AISC2005)의 판의단면분류 및 이에 따른 국부좌굴 강도식은 일반강재의 응력변형률 곡선에 기초를 하고 있으므로, 고강도강재에 대한 현행 기준의 적용가능성 여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장강도 800MPa급 고강도강재(HSA800)의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 실험을 통해 현행 강구조 기준 (KBC2009, AISC2005)의 적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실험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현재의 방법을 따르면 고강도강재의 잔류응력의 크기가 높게 평가되므로 고강도강재의 이점이 감소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 잔류응력 측정법을 활용해 가력 이전에 실험체의 잔류응력을 계측하여 항복강도와 잔류응력의 상관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편심압축실험에서는 휨과 압축을 동시에 받는 고강도강재 단주의 국부좌굴 강도를 평가하고 압축하중과 휨모멘트의 상호작용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단면설계시 초과강도를 반영하여 HSA800의 항복강도는 750MPa, SM490의 항복강도는 375MPa으로 가정하였다. 1000ton UTM의 가력용량을 고려하여 HSA800 실험체와 SM490 실험체가 동일한 세장비를 갖도록 단면크기를 선정하였고, 세장비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구속판요소와 비구속판요소 각각에 세장조건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800MPa급 고강도강재(HSA800)을 현행 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설계하여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압입법을 통해 고강도강재에서의 잔류응력의 크기를 측정한 실험 결과, 얻은 결론은? (1) 중심압축실험은 판의 세장비(비콤팩트와 세장단면)와 판단부의 지지조건(구속판요소, 비구속판요소, 구속과 비구속의 조합)을 변수로 수행되었다. HSA800 실험체 중 박스형단면 실험체와 H형단면의 세장실험체가 가력장치의 최대가력용량에 도달하여 국부좌굴 발생까지 가력하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HSA800 실험체가 현행 설계기준의 요구강도를 만족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편심압축실험은 HSA800 강재로 제작된 단주의 휨-압축 조합내력(곧, P-M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휨응력에 대해 비콤팩트 단면으로 설계된 HSA800단주 실험체는 현행 기준의 요구강도를 충분한 여유를 갖고 만족하였다. 비콤팩트 단면의 P-M 상관관계에서 축력이 낮을수록 휨강도에 대해 큰 마진을 보였고, 콤팩트단면의 P-M 상관관계까지도 만족시키는 결과를 나타내 었다. (3) 본 연구에서 HSA800 강재로 제작된 압축재와 휨-압축 재의 실험결과는 전체적으로 현행 설계기준의 관련 조항을 만족함을 보여주었다. 단, 본 연구에서는 실험체 제작 당시의 가용 판재 두께의 제한(최소 15mm) 및 가력용량(1000 ton)의 한계로 세장단면을 갖는 박스형 단주의 실험을 수행할 수 없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의 실험 내지는 수치해석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4) 잔류응력 측정은 중심압축실험에 사용된 H형단면 실험체를 대상으로 비파괴법인 압입법으로 가력 이전에 수행되었다. HSA800의 잔류응력 크기가 SM490의 잔류응력 크기보다 유사하거나 일부 도리어 작게 계측되었다. 이는 항복강도와 잔류응력의 크기는 무관한 것으로 보고한 외국의 선행 연구와 합치하는 결과이다. 현행 휨재 설계기준에서 잔류응력의 크기를 일률적으로 강재 항복강도의 30%로 취하고 있는 조항과는 상치되는 것으로서 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심도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실험의 주 목적은 무엇인가? 단주 중심압축실험과 편심압축실험의 주 목적은 고강도강재 플레이트의 좌굴내력을 평가하고 현행 설계기준에 따라 압축 재로 설계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중심압축실험에서는 판폭두께비와 판의 단부지지조건에 따라 고강도강재와 일반강재의 국부좌굴 거동이 상이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행 기준(KBC2009, AISC2005)에 따라 두 강종의 실험체를 설계한 후 비교평가하였다.
최근 국내외 건축물의 부재에 높은 축력과 휨모멘트가 요구되는 까닭은? 최근 국내외 건축물은 초고층화 및 장스팬화 경향으로 부재에 높은 축력과 휨모멘트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한 경제적 설계의 방안으로 고강도강재에 대한 이용7)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대한건축학회(2009) 2009 KBC: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 

  2. 김종락 등(2011) 800MPa 고강도강 설계기준제정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강구조학회. 

  3. 이윤희, 지원재, 손동일, 장재일, 권동일(2002) 응력 상호작용과 연속압입기법을 이용한 SS400 강봉의 굽힘 잔류응력 평가, 대한금속?재료학회지, 대한금속?재료학회, 제40권, 제10호, pp. 1042-1047. 

  4.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2008)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KS B 0802:2003), 산업표준심의회 기계기본요소부회. 

  5. AISC (2005)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Chicago, Illinois, USA. 

  6. ASTM E384-11 (2011) Standard Test Method for Knoop and Vickers Hardness of Material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West Conshohocken, Pennsylvania, USA. 

  7. BSK94 (1997) Boverkets Handbok on Stalkonstructioner, Boverket, Byggavdelningen, Sweden. 

  8. Galambos, T.V. (1998) Guide to Stability Design Criteria for Metal Structures, 5th edition, Wiley, USA. 

  9. Nishino, F., Ueda, Y., and Tall, L. (1966)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Buckling of Plates with Residual Stress, Fritz Engineering Laboratory Report No. 290.3, Lehigh Univalsity, Bethlehem, Pennsylvania, USA. 

  10. Ramussen, K.J.R. and Hancock, G.J. (1992) Plate Slenderness Limits for High Strength Steel Section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 23, Issues 1-3, pp. 73-96. 

  11. Ricles J.M., Sause R., and Green P.S. (1998) High- Strength Steel: Implications of Material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on Inelastic Flexural Behavior, Engineering Structures, Vol. 20, Issues 4-6, pp. 323-335. 

  12. Usami, T. and Fukumoto, Y. (1982) Local and Overall Buckling of Welded Box Columns,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s, ASCE, Vol. 108, No. 3, pp. 525-5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