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ull-scale 실험 모드해석을 이용한 노후화된 철도판형교의 진동특성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teriorated Railway Plate Girder Bridge by Full-scale Experimental Modal Analysi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4 no.1 = no.116, 2012년, pp.119 - 128  

김주우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정희영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 모드해석 기법을 이용하여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실제 철도판형교의 full-scale 동적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충격해머 모드실험에 의해 얻어진 철도판형교의 모드 매개변수를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구한 고유진동수와 모드형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적 모드해석에 의해 측정된 실험 데이터와 해석적 진동분석에서 얻어지는 출력만의 데이터를 교량 부재의 기하학적 특성 및 재료적 특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모델보정 테크닉에 적용하였다. 철도판형교의 실험적 모드해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한요소모델이 모드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보정되었다. 실험 데이터와 유한요소해석 기준모델의 모델보정과정의 결과와 함께 부재특성의 변화를 통하여 이루질 수 있는 손상평가에 대한 기초적 데이터베이스가 제공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xperimental vibration tests are performed on a real full-scale railway steel plate girder bridge, which resides in open-space environments. Using experimental modal analysis techniques, the modal parameters of the railway steel plate girder bridge yielded by the modal testing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소음, 온도 및 습도 등의 외부환경과 차량운행 등과 같은 운영상태(operationalcondition)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실제 구조물에 대한 적용성은 여전히 많은 의문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된 실제 철도판형교의 full-scale 실험을 통해 얻어낸 모드 매개변수의 타당성을 유한요소해석 수행과 같이 검증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실험을 통해 얻어진 모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석모델의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모델보정(Model Updating)이 필요하다.이러한 구조물의 모델보정에 관한 실험 및 수치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고유특성및 구속조건에 국부적인 변화를 주어 고유진동수의 대략적인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표 8은 매개변수의 분류를, 그리고 표 9와 그림 16은 매개변수 연구결과를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실제 철도판형교(장평천 3교)에 대해 충격해머를 이용한 실험적 모드실험을 수행하였으며,측정된 실험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모드 매개변수를 취득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적합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유한요소해석을 병행하였으며 손상평가의 기초적 자료로서의 활용을 위한 모델보정이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판형교의 동적특성의 변화가 매우 민감하게 나타나게 하는 변화요소는? 판형교의 구조요소 중 주 거더의 재료특성의 변화가 진동특성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외에다양한 추정근거에 따른 교량구성요소의 강성감소, 질량증가를 통해 고유진동수가 모드별로 다른 비율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지단의 경계조건, 침목과 주 거더의 접합조건의 변화에 따른 판형교의 동적특성의 변화가 매우 민감하게 나타났다.
구조식별(system identification)의 모드실험에서 의문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실내 실험을 통한 구조식별(system identification)의 모드실험에 대해 최근에 제시된 연구발표는 구조물의 구성요소의 손상탐지 및 평가에 대해 신뢰할만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소음, 온도 및 습도 등의 외부환경과 차량운행 등과 같은 운영상태(operationalcondition)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실제 구조물에 대한 적용성은 여전히 많은 의문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된 실제 철도판형교의 full-scale 실험을 통해 얻어낸 모드 매개변수의 타당성을 유한요소해석 수행과 같이 검증하고자 한다.
판형교의 구조요소 중 진동특성에 가장 민감한 요소는? 판형교의 구조요소 중 주 거더의 재료특성의 변화가 진동특성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외에다양한 추정근거에 따른 교량구성요소의 강성감소, 질량증가를 통해 고유진동수가 모드별로 다른 비율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지단의 경계조건, 침목과 주 거더의 접합조건의 변화에 따른 판형교의 동적특성의 변화가 매우 민감하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건설교통부(2007) 미래철도기술개발사업, 제1부 중장기계획 Part2. 

  2. 김남식(2002) 상시진동을 이용한 남해대교의 동특성 평가,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소음진동공학회, pp. 988-993. 

  3. 김현호, 오지택, 송재필, 김기봉(2005) 유한요소프로그램을 이용한 철도판형교의 동적거동,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8권, 제3호, pp. 228-234. 

  4. 오지택, 최진유, 김현민(2002) 철도 무도상판형교의 고유진동특성에 대한 연구,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pp. 1041-1046. 

  5. 이동호(2004) 온도와 지점조건이 진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6. 이정휘, 김성곤, 장승필(2005) 강교량의 손상감지를 위한 주파수한요소프로그램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 패턴인식 기법,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7권, 제1호, pp. 224-234. 

  7. 정의하(2004) 판형교의 동특성개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8. 최진유, 오지택, 김현민, 이상배(2002) 무도상판형교의 동적거동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철도학회, pp. 678-683. 

  9. 정영화 등(2000) 교량정밀 안전진단을 위한 첨단기술의 개발 : 진동반응측정을 이용한 구조물의 결함발견, 연구보고서, 건설교통부. 

  10. 최은수, 이희업, 김성일, 김이현(2006) 디스크 받침에 의한 철도판형교의 고유진동수 및 동적 거동 변화,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8권, 제4호, pp. 437-446. 

  11. 황원섭, 조은상, 오지택, 김현민(2007) 무도상 철도판형교의 동적응답특성 및 보강방안,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9권, 제3호, pp. 281-290. 

  12. ANSYS (2008) Reference Manual, Ver. 10.0. 

  13. Banks, H.T., Inman, D.J., Leo, D.J., and Wang, Y. (1996) Experimentlly Damage Detection Theory in Smart Structure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191, No. 5, pp. 859-880. 

  14. Catabas, F.N., Gul, M., and Burkett, J. (2008) Conceptual Damage-sensitive Features for Structural Health Monotoring: Laboratory and Field Demonstrations,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Vol. 22, No. 7, pp. 1650-1669. 

  15. Elliott, A.S. and Richardson, M.H. (1998) Virtual Experimental Modal Analysis (VEMA), Proceedings of 16th IMAC. 

  16. Hu, N., Wang, X., and Fukunaga, H.. (2001) Damage assessment of structures using modal test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Vol. 38, pp. 3111-3126. 

  17. He, J. and Fu, Z.F. (2001) Modal analysis, Butterworth-Heine-mann. 

  18. Parloo, E., Guillaume, P., and Overmeire, V.M. (2003) Damage assessment using mode shape sensitivities, Mechanical Systems and Signal Processing, Vol. 17, No. 3, pp. 499-518. 

  19. Richardson, M.H. and Pootter, R. (1974) Identification of the Modal Properties of an Elastic Structure from Measured Transfer Function Data, ISAASI 74250 - International Instrumentation Symposium, pp. 239-246. 

  20. Straser, E.G. and Kiremidjian, A.S. (1998) A Modular, Wirelee Damage Monitoring System for Structures, Repor No. 128, John A. Blume Earthquake Engineering Center, Stanford University, USA. 

  21. Wang, Z., Lin, R.M., and Lim, M.K. (1997) Structural Damage Detection Using Measured FRF Data, 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ing, Vol. 147, pp. 187-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