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박 장애의 치료에 대한 중의학의 최근 동향
Recent Trends in Treatment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3 no.3, 2012년, pp.1 - 10  

손인봉 (상지대학교 한방병원 신경정신과) ,  이승기 (상지대학교 한방병원 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treatment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ethods : We searched articles in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rom 1995 to 2012 with key words, "强迫症", "强迫性神经症", "强迫神经",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서구에서는 보완 대체의학의 강박장애에 대한 치료 효과 및 연구성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있었으나 한의학과 중의학에서는 이와 관련된 의미 있는 연구들을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강박장애에 대한 연구가 우리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연구 현황을 먼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국 논문 검색사이트인 中國知識基礎施設工程(http://www.
  • 이처럼 질병이 가지는 중요성에 비해 국내의 한의학적 접근이 매우 부족한데 반해, 해외에서는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CAM) 연구 중심으로 강박장애의 치료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고4) 특히 중국에서는 우리보다 활발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박장애에 대한 한의학적 인식의 폭을 넓히고자 현재까지의 중의학의 전반적인 연구 성과를 분석, 파악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강박장애의 치료가 오랜 기간을 요구하는데 비해 보험적용의 한계로 인하여 고비용이 요구되는 한의학적 치료는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한의학의 강박장애 치료에 일조를 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강박장애 연구 현황을 살펴보았다. 우선 Medline을 통해 중의학(Traditional Chinese Medicine), 보완 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과 관련한 강박장애에 대한 임상 연구들을 검색한 결과,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연구를 통해 전침과 MT(Meridian-tapping)치료가 강박장애에 효과적임을 보고한 연구22,23)를 비롯하여 강박장애에 많이 활용되는 Kava, S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in SG. Modern psychiatry. Seou:Ilchokak. 2003:313-317. 

  2. Text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Oriental Medicine Colleges. Hanuisingyeongjeongsingwahak. Geonggi:Jipmundang. 2007:499-500.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ustu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Seoul:Ha-na publishing company. 1995:547. 

  4. Sarris J, Camfield D, Berk M. Complementary medicine, self-help, and lifestyle interventions f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 and the OCD spectrum: A systematic review. J Affect Disord. 2012;138(3):213-21. 

  5. Jie YT. The Clinical Reports on the 20 Cases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with Yishenzhuangdan-tang. Journal of Sichua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5;23(9):69. 

  6. Liu X. The Clinical Reports on the 25 Cases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with Wendanqingxin-tang. Acta Chinese Medicine and Pharmacology. 2002;30(4):51. 

  7. Yang X. The Clinical Reports on the 34 Yiqigushe-tang. Sichu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4;22(5):58. 

  8. Zhang, Lv WJ. A Clinical Study on the Efficancy of Electro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Sichu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2;20(1):75. 

  9. Dou GX. The Clinical Reports on the 38 Cases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with Ganmaixiaoyao-tang. RAILWAY MEDICAL JOURNAL. 1997;25(3):167. 

  10. Dou HQ. A Case of Combination Therapy of Psychosocial Treatment and tradional chinese Medicine O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Gianji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1996;13(4):22. 

  11. Li FH. The Clinical Reports on the 22 Cases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with combination Therapy of Psychosocial Treatment and Tianmagoutengyin. Beij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1;(3):18. 

  12. Guo Jx.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nsultations for Psychotherapy in the Treatment of Obsessive- Compuls ive Disorder in the Effect of. China Healthcare Innovation. 2008;3(15):16-17. 

  13. Liu XF, Liu XM. Integrative medicine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62 cases. China Foreign Medical Treatment. 1008; (24):54. 

  14. Sun ZQ, Li Xian Z, Ji AJ, Zhu YL. Clinical Study on Treatment of Obsessive Compulsive Neurosis by electroacupuncture. Chin J Nerv Ment Dis. 2004;30(6):426. 

  15. Shude H, Zhou GZ, He H, Zhang, Cao W. lnvestigation on Therapeutic Effects of 30 Cases of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reated mainly by Electroacupuncture.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1999; (12):713. 

  16. Feng B. Clinical Studies of Point Stimulation Regulation in Treating Obsession. Zhejiang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2001; 11(10):609. 

  17. Feng B, LIU LY, XU FZ. Clinical Study on Treatment of Obsessive Compulsive Neurosis by Acupoint Stimulating Control.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2005;9(25):801. 

  18. Wang XY, Zhang. Clinical Study on Treatment of Obsessive Compulsive Neurosis by acupuncture combined with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Huna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niversity of Hunan. 2005;25(5):55. 

  19. Won HT.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of psychological disorders. Seoul:Gyoyook GwahakSa. 2000:95-103. 

  20. Cho HG.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O.C.D. Seoul:Cheong-yeon publishing company. 2012:66-71. 

  21. Hui PH. Encephalopathology of TCM. China medical science press. 1998;898. 

  22. Moritz S, Aravena SC, Guczka SR, Schilling L, Eichenberg C, Raubart G, Seebeck A, Jelinek L. Knock, and it will be opened to you? An evaluation of meridian-tapping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J Behav Ther Exp Psychiatry. 2011;42(1):81-8. 

  23. Zhang ZJ, Wang XY, Tan QR, Jin GX, Yao SM. Electroacupuncture for refractory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 pilot wait list-controlled trial. J Nerv Ment Dis. 2009;197(8):619-22. 

  24. Sayyah M, Boostani H, Pakseresht S, Malayeri A. Comparison of Silybum marianum (L.) Gaertn. with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0;34(2):362-5. 

  25. Kobak KA, Taylor LV, sky A, Kohlenberg CJ, Greist JH, Tucker P, Warner G, Futterer R, Vapnik T. St John's wort versus placebo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results from a double-blind study. Int Clin Psychopharmacol. 2005;20(6):299-304. 

  26. Meltzer-Brody SE. St. John's Wort: clinical status in psychiatry. CNS Spectr. 2001 Oct;6(10):835-40. 

  27. Sarris J, Kavanagh DJ. Kava and St. John's Wort: current evidence for use in mood and anxiety disorders. J Altern Complement Med. 2009 Aug;15(8):827-36. 

  28. Saeed SA, Bloch RM, Antonacci DJ. Herbal and dietary supplements for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Am Fam Physician. 2007 Aug 15;76(4):549-56. 

  29. Sarris J. Herbal medicines in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Phytother Res. 2007 Aug;21(8):703-16. 

  30. Miyasaka LS, Atallah AN, Soares BG. Passiflora for anxiety disorder.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 Jan 24;(1):CD004518. 

  31. Miyasaka LS, Atallah AN, Soares BG. Valerian for anxiety disorder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6 Oct 18;(4):CD004515. 

  32. Jorm AF, Christensen H, Griffiths KM, Parslow RA, Rodgers B, Blewitt KA. Effectiveness of complementary and selfhelp treatments for anxiety disorders. Med J Aust. 2004 Oct 4;181(7 Suppl):S29-46. 

  33. Jadad AR, Moore R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JM, Gavaghan DJ, Mcquay HJ.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 Clin Trials. 1996;17: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