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약 때죽나무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DdaeJukNaMu"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3 no.3 = no.170, 2012년, pp.198 - 200  

배지영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  박종희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Folk Medicine 'DdaeJukNaMu' has been used mainly to cure toothache and neuralgia.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DdaeJukNaMu',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Styrax species of Styracaceae, but there was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Ddae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b) 내부형태: 시장품은 Styrax japonica 때죽나무와 완전히 일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민간에서는 때죽나무의 줄기를 어떤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는가? 때죽나무의 꽃을 중국에서 매마등(買麻藤), 열매를 제돈과(齊墩果)라고 하며, 淸火, 風濕藥으로 관절염, 사지통, 인후염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1,2)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때죽나무의 줄기를 민간에서 치통, 신경통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3,4) 우리나라에서 민간약으로 이용되고 있는 「때죽나무」는 직경 1 cm이하의 가지로 되어 있었으므로, 이것의 기원을 명확히 할 목적으로 시장품 때죽나무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Styrax 屬 식물 2종의5) 가지를 비교조직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시장품 때죽나무의 외부 형태는 어떠한가? a) 외부형태(Photo. 1): 시장품은 직경 0.3~1 cm의 가지의건조품으로, 길이 15~20 cm의 크기로 절단되어 있으며, 표면은 흑갈색이고, 연한 갈색의 괴상을 띠는 피목이 존재한다.
Styrax japonica Sieb. et Zucc. 때죽나무 목부의 특징은? 피층의 유세포(柔細胞)는 유원형으로 직경 30~40 µm이며, 형성층은 명료하며 2~3 세포층이었다. 목부는 도관, 목부섬유와 목부방사조직으로 구성되고, 섬유는 매우 발달되어 있으며, 목부 방사조직11)은 1~2 세포열로 후막 목화 되어 있었다. 수는 약간 목화하는 유원형의 유세포로 되며, 직경 30~70 µm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赤松金芽 (1980) 新訂和漢藥, 161. 醫齒藥出版株式會社, 東京. 

  2. 木村康一 (1979) 新註校定國譯本草綱目 第八冊, 517. 春陽堂書店, 東京 

  3. Lee S. J. (1966) Korean Folk Medicine, 111. Publishing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박종희 (2005) 한국약초도감, 1062. 신일북스, 서울. 

  5.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614. 향문사, 서울. 

  6. 박종희, 권대근, 도원임 (2006) 접골목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7: 120-123. 

  7. 권성재, 박종희 (2008) 가시오갈피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9: 50-55. 

  8. 이창훈, 배지영, 박종희 (2011) 민간약 보리수나무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9: 1-5. 

  9. 약품식물연구회 (1991) 신 약품식물학, 73. 학창사, 서울. 

  10. 木島正夫 (1980) 植物形態學の實驗法, 130. 廣川書店, 東京. 

  11. Fahn, A. (1982) Plant Anatomy, 324. Pergamon Press, Oxfor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