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나무 추출물의 항말라리아 효과
In vitro Anti-malarial Activity of Juniperus Chinensis Extract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3 no.3 = no.170, 2012년, pp.239 - 242  

이경호 (한국프라임제약) ,  김병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최영호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이기형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Juniperus chinensis by in vitro and in vivo system using Plasmodium falciparum chloroquine-sensitive(3D7) and P. falciparum chloroquine-resistant(S20) strains. According to cytotoxicty test on NIH 3T3 cell, the ethanol extr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In vivo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 - C57BL/6 마우스(6주령, 수컷)를 이용한 동물모델에서의 항말라리아 효과는 Soh 등15)의 방법을 응용하여 실시하였다. 즉, P.
  • In vivo 항말라리아 효과 - In vitro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낸 향나무 EtOAc 분획물에 대하여 P. falciparum 감염 적혈구을 접종한 마우스 모델에서 향나무 EtOAc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분획물의 농도는 10 mg/kg, 20 mg/kg 및 40 mg/kg의 농도로 P.
  • NIH 3T3 섬유모세포는 EMEM Gibco-BRL(Gaithersburg, MD)에 10% fetal bovine serum Gibco-BRL(Gaithersburg, MD)과 penicillin G(25 unit/ml), streptomycin(25 µg/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 다.
  • 배양 후 배양액을 버리고, dimethylsulfoxide(DMSO)를 100 µl/well씩 넣어 5분간 실온 방치하여 MTT formazan을 용해한 후, ELISA reader(540 nm)로 MTT의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 조사하였다.
  • falciparum 감염 적혈구을 접종한 마우스 모델에서 향나무 EtOAc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분획물의 농도는 10 mg/kg, 20 mg/kg 및 40 mg/kg의 농도로 P. falciparum 감염 적혈구 접종 후, 다음 날부터 연속 3회 투여를 하였고 항말라리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든 마우스 개체의 혈액을 시험 4일째, 8일째 및 종료 시점인 12일째에 채혈하여 평가하였다. 시료 투여 종료 다음 날인 4일째에서는 향나무 EtOAc 분획물 전체 농도 및 양성 대조약물인 chloroquine 20 mg/kg에서 유의한 parasitemia을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 falciparum 감염시킨 적혈구 세포 1×106 cell을 모든 시험군의 각 마우스의 복강의 주사하였다. 시료는 P. falciparum 감염시킨 적혈구 접종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총 4회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시료의 용해를 위한 DMSO 농도는 최종 투여 시 1%로 하였으며, 시료의 투여 농도는 1, 10 및 100 mg/kg으로 하였다.
  • falciparum 감염시킨 적혈구 접종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총 4회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시료의 용해를 위한 DMSO 농도는 최종 투여 시 1%로 하였으며, 시료의 투여 농도는 1, 10 및 100 mg/kg으로 하였다. 총 시험기간은 12일로 하였으며, parasitemia의 측정은 시료 마지막 투여 다음 날인 4일째, 8일째 및 12일째에 각 개체의 혈액을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취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in vitro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접종이 완료된 plate는 5% CO2 배양기에서 37℃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의 항말라리아 활성은 원충혈증(parasitemia)의 정도로 하였으며, 측정하기 위하여 각 배양 플레이트에서 얇은 혈액필름을 만들고 Giemsa로 염색하였다. 한 개의 혈액필름 당 총 104개의 적혈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 잎과 줄기 10 kg을 세절하여 정제수로 세척 후 30 l의 ethanol을 가하여 70℃의 온도에서 환류조건하에서 12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향나무의 추출물(수득량, 590 g)을 수득하였다. 이 EtOH 추출물은 증류수(500 g/10 l)에 녹여, ethylacetate(EtOAc) 동량을 3회 나누어 분획을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향나무 EtOH 추출물, EtOAC 분획 및 aqueous 분획을 시료로 하였고, 모든 시료는 DMSO에 녹이고 4℃에 보관하여, 본 연구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향나무 추출물 조제 - 향나무는 전남생약농업협동조합(화순, 전남)에서 향나무 잎과 줄기를 구입하였다. 잎과 줄기 10 kg을 세절하여 정제수로 세척 후 30 l의 ethanol을 가하여 70℃의 온도에서 환류조건하에서 12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향나무의 추출물(수득량, 590 g)을 수득하였다. 이 EtOH 추출물은 증류수(500 g/10 l)에 녹여, ethylacetate(EtOAc) 동량을 3회 나누어 분획을 하였다.
  • 즉, P. falciparum 감염시킨 적혈구 세포 1×106 cell을 모든 시험군의 각 마우스의 복강의 주사하였다.
  • 즉, 각 well에 1×105 cell을 넣고 24 시간 전배양을 실시한 후, 시료를 농도별(1, 25, 50, 100 µM)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 시료의 용해를 위한 DMSO 농도는 최종 투여 시 1%로 하였으며, 시료의 투여 농도는 1, 10 및 100 mg/kg으로 하였다. 총 시험기간은 12일로 하였으며, parasitemia의 측정은 시료 마지막 투여 다음 날인 4일째, 8일째 및 12일째에 각 개체의 혈액을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취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in vitro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 즉, O형 인간 적혈구 세포의 5% 헤마토크리트를 RPMI 1640 배지에 현탁시키고 열로 활성화시킨 10% O형 인간혈청을 보충하였다. 플레이트를 5% CO2 배양기에서 37℃에서 배양시키고, 100개 적혈구마다 5개가 원충에 감염될 때까지(5% parasitemia) 배지를 매일 바꾸어 주었다.
  • In vitro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 - 항말라리아 효과 측정을 위하여 chloroquine-sensitive(3D7)12) 및 chloroquine-resistant(S20)13) strains을 사용하였고, 활성 측정은 Targer와 Jensen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14) 즉, 50 µl의 농도별 시료 샘플과 말라리아 원충 10% 함유된 950 µl을 24 well plate의 각 well에 첨가하였다.
  • 향나무 EtOH 추출물, EtOAc 분획물, aqueous(수용액) 분획물 및 양성 대조약물인 chloroquine에 대하여 공히 10 µg/ml, 100 µg/ml 및 500 µg/ml의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 세포독성 효과 - 향나무 추출물의 항말라리아 활성을 측정하기에 앞서 HIN 3T3 세포에 대하여 MTT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향나무 EtOH 추출물, EtOAc 분획물, aqueous(수용액) 분획물 및 양성 대조약물인 chloroquine에 대하여 공히 10 µg/ml, 100 µg/ml 및 500 µg/ml의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말라리아 원충의 배양 - 본 실험에 사용된 말라리아 원충인 P. falciparum(ATCC 30932, FCR-3 strain)은 Satayavivad 등의 방법을10)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즉, O형 인간 적혈구 세포의 5% 헤마토크리트를 RPMI 1640 배지에 현탁시키고 열로 활성화시킨 10% O형 인간혈청을 보충하였다.
  • 세포배양 -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NIH 3T3 섬유모세포(ATCC, CRL1658)을 이용하였다. NIH 3T3 섬유모세포는 EMEM Gibco-BRL(Gaithersburg, MD)에 10% fetal bovine serum Gibco-BRL(Gaithersburg, MD)과 penicillin G(25 unit/ml), streptomycin(25 µg/ml)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 이 EtOH 추출물은 증류수(500 g/10 l)에 녹여, ethylacetate(EtOAc) 동량을 3회 나누어 분획을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향나무 EtOH 추출물, EtOAC 분획 및 aqueous 분획을 시료로 하였고, 모든 시료는 DMSO에 녹이고 4℃에 보관하여, 본 연구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시료의 항말라리아 활성은 원충혈증(parasitemia)의 정도로 하였으며, 측정하기 위하여 각 배양 플레이트에서 얇은 혈액필름을 만들고 Giemsa로 염색하였다. 한 개의 혈액필름 당 총 104개의 적혈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조 약물군으로는 chloroquine(Sigma)을 사용하였고, 이와 동시에 약물이 없는 대조군도 함께 측정하였으며 모든 데이터는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 향나무 추출물 조제 - 향나무는 전남생약농업협동조합(화순, 전남)에서 향나무 잎과 줄기를 구입하였다. 잎과 줄기 10 kg을 세절하여 정제수로 세척 후 30 l의 ethanol을 가하여 70℃의 온도에서 환류조건하에서 12시간 추출을 3회 반복하여 추출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향나무의 추출물(수득량, 590 g)을 수득하였다.

데이터처리

  • 그룹간의 유의적인 통계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p<0.05의 유의수준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후, Duncan의 다중범위 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이용하여 사후검증을 하였다.
  • 한 개의 혈액필름 당 총 104개의 적혈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조 약물군으로는 chloroquine(Sigma)을 사용하였고, 이와 동시에 약물이 없는 대조군도 함께 측정하였으며 모든 데이터는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대조군의 parasitemia는 72시간에 4-5%가 되게 조절하였다.
  • 통계 분석 - 실험 결과의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룹간의 유의적인 통계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p<0.

이론/모형

  • 세포 독성 측정 - 세포 독성은 Mosmann의 MTT 방법11)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즉, 각 well에 1×105 cell을 넣고 24 시간 전배양을 실시한 후, 시료를 농도별(1, 25, 50, 100 µM)로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나무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무엇인가? 향나무(Juniperus chinensis)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수로서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의 아시아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최근에 알려진 향나무의 생리활성효과로는 항산화, 항암 및 항비만 효과가 알려져 있다.6-8) 이러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는 cedrol, quercetin, isoquercetin, naringenin, taxifolin, aromadendrin, deoxypodophyllotxin, catechin, epicatechin, myricitrin 및 hinokiflavone 등이 알려져 있다. 향나무에 대한 antimalarial activity에 대한 논문은 보고된 적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향나무의 essential oil 성분에의한 진드기 억제에 대한 효과가 보고된 적이 있다.
현재까지 항말라리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천연물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항말라리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천연물로는 Caesalpinia pluviosa,16) Dendropanax morbifera,17) Diospyros rubra18) 및 Uvariodendron pycnophyllum19)등이 알려져 있다. C.
P. falciparum에 의해 발병되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최초의 치료 약은 어떤 나무의 성분을 이용했는가? 2) P. falciparum에 의해 발병되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 최초의 치료약은 Cinchona tree 를 이용한데서 비롯되었으며 이 나무에 함유된 quinine 성분이 말라리아에 매우 강한 치료 효과가 있음이 알려졌다. 1944년 quinine의 화학적 합성이 보고된 이후, 여러 가지 종류의 다양한 항말라리아 약물이 합성3) 되었는데 대표적으로 chloroquine과 그 유도체들이 현재까지 유용한 약물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eman, J. G. (2001) The ears of the hippopotamus: manifestations, determinants, and estimates of the malaria burden. Am. J. Trop. Med. Hyg. 64(1-2 Suppl): 1-11. 

  2. Mendis, K., Sina, B., Marchesini, P. and Carter, R. (2001) The reglected burden of Plasmodium vivax malaria. Am. J. Trop. Med. Hyg. 64: 97-106. 

  3. Kelly, J. X., Smilkstein, M. J., Cooper, R. A., Lane, K. D., Johnson, R. A., Janowsky, A., Dodean, R. A., Hinrichs, D. J., Winter, R. and Riscoe, M. (2007) Design, synthesis, and evaluation of 10-N-substituted acridones as novel chemosensitizers in Plasmodium falciparum.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1(11): 4133-4140 

  4. Gessler, M. C., Nkunya, M. H. H., Mwasumbi, L. B., Henrich, M. and Tanner, M. (1993) Screening Tanzanian plants for antimalarial activity. Acta Trop. 56: 65-77. 

  5. Tran, Q. L., Tezuka, Y., Ueda, J. Y., Nguyen, N. T., Maruyama, Y., Begum, K., Kim, H. S., Wataya, Y., Tran, Q. K. and Kadota, S. (2003) In vitro antiplasmodial activity of antimalarial medicinal plants used in Vietnamese traditional medicine. J. Ethnopharmacol. 86(2-3): 249-252. 

  6. Bae, Y. S., Si C. L., Kim, J. K. and Darchesy, J. J. (2005) Extractive of Juniper needle. J. Kor. For. En. 24: 24-30. 

  7. Kim, S. J., Jung, J. Y., Kim, H. W. and Park, T. (2008) Antiobesity effects of Juniperus chinensis extract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 of rats. Biol. Pharm. Bull. 31:1415-1421. 

  8. Lim, J. P., Song, Y. C., Kim, J. W., Ku, C. H., Eun, J. S., Lee, K. H. and Kim, D. K. (2002) Free radical scavengers from the heartwood of Juniperus chinensis. Arch. Pharm. Res. 25:449-452. 

  9. Lee, C. H., Park, J. M., Song, H. Y., Jeong, E. Y. and Lee, H. S. (2009) Acaricidal activities of major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 of Juniperus chinensis leaves against house dust and stored food mites. J. Food Prot. 72(8): 1686-1691. 

  10. Satayavivad, J., Watcharasit, P., Khamkong, P., Tuntawiroon, J., Pavaro, C. and Ruchirawat, S. (2004). The pharmacodynamic study of a potent new antimalarial (MC1). Acta Trop. 89: 343-349. 

  11.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s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2. Walliker, D., Quakyi, I. A., Wellems, T. E., McCutchan, T. F., Szarfman, A., London, W. T., Corcoran, L. M., Burkot, T. R. and Carter, R. (1987) Genetic analysis of the human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Science 236: 1661-1666. 

  13. Di Santi, S. M., Boulos, M., Vasconcelos, M. A., Oliveira, S., Couto, A. and Rosario, V. E. (1987) Characterization of Plasmodium falciparum strains of the State of Rondonia, Brazil, using microtests of sensitivity to antimalarials, enzyme typing and monoclonal antibodies. Rev. Inst. Med. Trop. Sao Paulo 29: 142-147. 

  14. Trager, W. and Jensen, J. B. (1976) Human malaria parasites in continuous culture. Science 193: 673-675. 

  15. Soh, P. N., Witkowski, B., Olagnier, D., Nicolau, M. L., Garcia-Alvarez, M. C., Berry, A. and Benoit-Vical, F. (2009) In vitro and in vivo properties of ellagic acid in malaria treatment.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3: 1100-1106. 

  16. Kayano, A. C., Lopes, S. C., Bueno, F. G., Cabral, E. C., Souza-Neiras, W. C., Yamauchi, L. M., Foglio, M. A., Eberlin, M. N., Mello, J. C. and Costa, F. T. (2011) In vitro and in vivo assessment of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Caesalpinia pluviosa. Malar. J. 10: 112-116. 

  17. Chung, I. M., Kim, M. Y., Park, S. D., Park, W. H. and Moon, H. I. (2009)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plasmodial activity of Dendropanax morbifera against chloroquine-sensitive strains of Plasmodium falciparum. Phytother. Res. 23(11): 1634-1637. 

  18. Prachayasittikul, S., Saraban1, P., Cherdtrakulkiat, R., Ruchirawat, S. and Prachayasittikul, V. (2010) New bioactive triterpenoids and antimalarial activity of Diospyros rubra Lec. EXCLI J. 9:1-10 

  19. Kihampa, C., Nkunya, M. H., Joseph, C. C. and Magesa, S. M. (2010) Antimosquito phenylpropenoids from the stem and root barks of Uvariodendron pycnophyllum (Diels) R.E.Fr. J. Appl. Sci. Environ. Manage. 14(3): 29-32. 

  20. Deharo, E., Bourdy, G., Munoz, V., Ruiz, G. and Sauvain, M. (2001) A search for natural bioactive compounds in Bolivia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Part V. Evaluation of the antimalarial activity of plants used by the Tacana indians. J. Ethnopharm. 77: 91-98. 

  21. Liu, A. L., Shu, S. H., Qin, H. L., Lee, S. M., Wang, Y. T. and Du, G. H. (2009) In vitro anti-influenza viral activities of constituents from Caesalpinia sappan. Planta Med. 75: 337-339. 

  22. Pereira, M. V., Dias, C. S., Costa, V. O., Conde, N. O. and Buzalaf, M. R. (2009)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Caesalpinia ferrea Martius fruits against oral pathogens. J. Ethnopharm. 124: 289-294. 

  23. Rao, Y. K., Fang, S. H. and Tzeng, Y. M. (2005)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lavonoids isolated from Caesalpinia pulcherrima. J. Ethnopharm. 100: 249-253. 

  24. Shukla, S., Mehta, A., John, J., Singh, S., Mehta, P., Vyas, S. P. (2009) Antioxidant aci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ethanolic extract of Caesalpinia bonducella seeds. Food Chem. Toxicol. 47: 1848-1851. 

  25. Bero, J., Frederich, M. and Quentin-Leclercq, J. (2009) Antimalarial compounds isolated from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J. Pharm. Pharmacol. 61: 1401-14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