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사 및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에 의한 건조복원식품의 품질변화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Having Reflection and Dispersion Functions on the Quality Changes of Dried-Rehydrated Fo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3, 2012년, pp.538 - 545  

이진원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성기석 ((주)진주물산) ,  박장우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공식품 제조 시 건더기 스프 및 조미 식품에 사용되고 채소류를 건조기 내부 반사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기와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건조 조건에 따른 갈변도, 색도, 산도 및 pH 변화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수화복원성 및 전자현미경 관찰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총균수 측정에 따른 미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건조 채소류들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채소 원재료의 품질 저하 요소인 색의 변화 및 갈변도의 경우 RD-FRVD를 이용한 경우, HAD를 이용한 경우보다 색 및 갈변 현상이 적게 나타났다. 특히, 숙주의 경우에는 건조 전 상태와 갈변 정도가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다. 산도 및 pH 측정 결과는 채소류의 수분함량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건조 전 상태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유의차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저장성을 위한 미생물 사멸 효과 역시 RD-FRVD를 이용하여 건조한 경우 총균수 사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더 많은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원재료 채소 건조 시 품질저하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건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미생물에 대한 저장 안전성 및 영양성분 손실 최소화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경제성 있는 건조방법이 건조 채소식품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 식품 업체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having reflection and dispersion functions(RD-FRVD) and hot air drying(HAD) on the quality changes of dried vegetable flakes. HAD was regarded as a control. Browning degrees, color value, titratable acidity and pH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와 같은 원적외선 건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빛과 같이 직진 특성을 갖는 원적외선 파장은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건조물에 조사되는 만큼 건조물 일부분에만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균일한 건조상태를 이루는데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Li 등 200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건조기에 건조 대상물의 수용을 위한 진공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건조실과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원적외선 히터 및 건조 대상물을 지지한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건조실 아래 부분에 설치하였다. 또한, 원적외선의 산란을 유도하기 위한 건조실 내면의 반사판 및 반사팬을 부착하여 건조 대상물의 균일한 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이와 같은 원적외선-진공 건조기를 이용한 경우 스프 및 즉석국 원료로 사용되는 채소류 건조 시 나타나는 품질변화를 비교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소류는 어떤 기능의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건조 채소류 중에는 인스턴트 라면, 즉석국 등과 같은 식품 제조 시 반드시 첨가되는 별첨 스프(건더기 스프) 즉, 고추, 당근, 대파, 마늘, 무순 및 숙주 등이 있다. 채소류는 열량원의 기능 보다는 색과 맛을 즐기는 기호성 식품 또는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 등이 풍부한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Lee 등 2000). 그러나 대부분의 채소류들은 수분 함량이 높은 식재료로 가공 식품의 저장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채소류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방법 중 동결건조 방식의 단점은? 또한, 건조 방법 중 열풍건조의 경우, 식품 원료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열 전달에 의하여 건조시키므로 내부까지 완전하게 건조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서 그에 따른 에너지 소비의 증가 및 열에 의한 퇴색, 이취가 발생하는 동시에 식품 조직의 변화는 물론 신선도 감소 등에 따른 품질저하 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Lee 등 2003; Youn 등 1996). 한편, 동결 건조 방식은 식품을 급속 동결시킨 후 진공압력을 낮추어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지방의 산화 방지와 단백질의 응고를 방지할 수 있어서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값이 비싸고 복잡하며 수분 제거 속도가 느리다는 것과 다양한 식품의 매트릭스에 대한 제한성 및 건조 후 빛에 매우 불안정한 단점이 있다(Ha 등 2001; Lee 등 1998; Kim 등 2007). 따라서 최근 들어 자연 그대로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영양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채소류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 보존을 위해 사용되는 건조 방법 즉, 열처리를 이용한 건조 방법을 최소화하면서 본래의 품질을 유지하려는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채소류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라면 및 즉석국 등즉석 식품에 첨가되는 별첨스프(건더기 스프)를 제조할 경우, 대부분 건조방식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수분함량이 높은 다양한 채소류 매트릭스를 건조하는 방법으 로는 열풍건조, 진공 동결건조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건조 공정 중 건조조건에 의하여 많은 물리화학적인 변화에 의한 품질이 감소되게 된다(Lee 등 2003). 대표적으로 물리적인 변화로는 수축, 표면경화, 재수화 효율 감소 및 휘발성분 손실 등이 있으며, 화학적인 변화로는 갈변 현상, 영양성분 손실 및 산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Youn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DH, Choi YH, Youn KS. 1997. Effect of pretreatments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dried vegetables. Korean J Food Technol 29:292-301 

  2. Cho KH, Cho YK, Han CS, Kim YH, Oh SG. 1996. Development of far infrared dryer for agricultural products. RDA J Agric Sci 38:806-811 

  3. Cho SC, Han CS, Kim CF, Li H, Lee HC, Park JS. 2007.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stationary far-infrared dryer. J of Biosystems Engineering 32:6-12 

  4. Cho SC, Han CS, Kwang TH, Li H, Ning XF. 2009. Far infrared rays drying characteristics of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roots. J of Biosystems Engineering 34:175-182 

  5. Choe EO, Lee KS, Lee SH, Lee HG, Park KH. 2003. The quality properties of dried carrots as affected by blanching and drying metho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hchnol 35:1086-1092 

  6. Choi YH, Ha YS, Ko JW, Lee WY, Lee JH. 1999.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Technol 31:128-137 

  7. Choi YH, Youn KS. 1996. Drying characteristics of osmotically pre-treated carrots. Korean J Food Sci Thchnol 28:1126-1134 

  8. Chung CK, Ham SS, Kang IJ, Kim SH, Lee MK, Lee SY, Oh DH. 2000.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on the quality changes of Pimoinella bracy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561-567 

  9. Chung HS, Choi MS, Jeong YJ, Kim KY, Kwon JH, Lee SW, Lee CM, Moon KD, Shin JK, Yoon SR. 2007.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ed ginseng prepared with different steaming time and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494-499 

  10. Chung SK, Choi JU, Jee JH, Lee HD. 1999. Changes in color value and chemical components of hoelen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75-580 

  11. Francis GA, O'Beirue D, Thomas C. 1999.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nol 33:1-22 

  12. Ha YS, Lee JH, Park JW. 200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shroom(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245-251 

  13. Jung BM. 2003.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eze dried soybean paste block with sea mustar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318-323 

  14. Kang NS, Kim JH, Kim JK. 2007. Modific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power by hot-air, vacuum and freeze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4:61-66 

  15. Kim HJ, Lee JH.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pow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Food Engineering Progress 13:105-109 

  16. Kim HK, Lee BY. 1998.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hchnol 30:877-882 

  17. Kim JM, Kim Ko, Lee YC. 2003. Effects of convection oven dehydration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inkgo nut pow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93-398 

  18. Ko YT, Kang JH. 2002. Effects of freeze-drying time on quality of freeze-dried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91-95 

  19. Lee JW, Lee HG, Yang CB. 2002. Quality properties of green onion by various drying methods. J Korean Living Sci Res 20:149-156 

  20. SAS Institute. 1998. SAS/STAT User Guide, release 6.30 edition.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