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THK-D57에 의한 인삼 사포닌의 생물학적 전환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by Lactobacillus brevis THK-D57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3, 2012년, pp.629 - 636  

이은지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이정민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이태후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조석철 (서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용진 (경희대학교 한방재료가공학과) ,  국무창 (안양대학교 해양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nsenosides, ginseng saponin, are the principal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In order to improve absorp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 biotransformation of major ginsenoside to minor ginsenoside, as the more active compound, is requir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전국에서 수집한 다양한 김치로부터 β-glycosidase 활성을 보유한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고, 발효과정 중에 인삼유래 사포닌을 전환하는 균주를 선별하여 인삼 사포닌의 영양학적․기능적 가치를 증진시키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어떤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되고 있는가? Meyer)은 오가과(Aralic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수 천 년 간 생약으로 분류되어 각종 임상에 적용해 온 대표적 약용식물이다. 현재까지도 인삼은 탕약, 환, 절임 등의 전통 포제방식을 비롯하여 엑기스, 캅셀, 건조분말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오랜 임상적 경험에 근거하여 밝혀진 효능에 대해 최근 구조분석 및 기전연구 등 과학적 접근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삼이란? A. Meyer)은 오가과(Aralic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수 천 년 간 생약으로 분류되어 각종 임상에 적용해 온 대표적 약용식물이다. 현재까지도 인삼은 탕약, 환, 절임 등의 전통 포제방식을 비롯하여 엑기스, 캅셀, 건조분말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인삼을 경구 투여할 때 저분자로 진세노사이드의 전환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삼을 경구 투여할 때, 고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생체 내 흡수율은 매우 낮으며, 장내에서의 세균총(bacterial flora)에 의한 생물학적 이용은 개인 차가 크고 이용 가능성 또한 매우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체내 흡수율과 우수한 효능을 가진 저분자 진세노사이드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mmor MS, Mayo B. 2007. Selection criteria for lactic acid bacteria to be used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in dry sausage production: An update. Meat Sci 76:138-146 

  2. Benishin CG. 1992. Actions of ginsenoside Rb1 on choline uptake in central cholinergic nerve endings. Neurochem Int 21:1-5 

  3. Bui TP, Kim YJ, In JG, Yang DC. 2011. Lactobacillus koreensis sp. nov.,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Korean food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61:772-776 

  4. Cheigh HS, Park KY, Lee C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175-203 

  5. Chen YJ, Nose M, Ogihara Y. 1987. Alkaline cleavage of ginsenosides. Chem Pharm Bull 35:653-655 

  6.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 Acids Symp Ser 41:95-98 

  7. Han BH, Park MH, Han YN. 1982. Degradation of ginseng under mild acidic condition. Planta Med 44:146-149 

  8. Hasegawa H, Sung JH, Matsumiya S, Uchiyama M. 1995. Main ginseng saponin metabolites formed by intestinal bacteria. Planta Med 62:453-457 

  9. Karikura M, Miyase T, Tanizawa H, Taniyama T, Takino Y. 1991. Studies on absorption, distribution, excretion and metabolism of ginseng saponins. VII. Comparison of the decomposition modes of ginsenoside-Rb1 and Rb2 in the digestive tract of rats. Chem Pharm Bull 39:2357-2361 

  10. Kikuchi Y, Sasa H, Kita T, Hirata J, Tode T, Naqata I. 1991. Inhibition of human 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vitro by ginsenoside-Rh2 and adjuvant effects of cisplatin in vivo. Anticancer Drugs 2:63-67 

  11. Kitagawa I, Yoshikawa M, Yoshihara M, Hayashi T, Taniyama T. 1983. Chemical studies of crude drugs (1). Constituents of ginseng radix rubra. Yakugaku Zasshi 103:612-622 

  12. Kumar S, Dudley J, Nei M, Tamura K. 2008. MEGA: A biologistcentric software for evolutionary analysis of DNA and protein sequences. Brief Bioinform 9:299-306 

  13. Lee JS, Chun CO, Jung MC, Kim WS, Kim HJ, Kim SB, Hector M, Park CS, Ahn JS, Park YH, Mheen TI. 1997. Classification of isolates originating from kimchi using carbonsource utilization patterns. J Microbiol Biotechnol 7:68-74 

  14. Lee YM, Kwon MJ, Kim JK, Suh HS, Choi JS. Song YO.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 in Chinese cabbage kimchi responsible for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29-133 

  15. Mei B, Wang YE, Wu JX, Chen WZ. 1994.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s on oxygen free radical induced damages of cultured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tro. Yao Hsueh Hsuuh Pao 29:801-808 

  16. Oura H, Hiai S. 1973. Physiological chemistry of ginseng. Metabolism Disease 10:564-569 

  17. Park KY, Cheigh H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Bioindustry News 13:84-90 

  18. Saito H, Nishiyama N. 1988. Effect of ginseng and its saponins on experimental amnesis in mice and on cell cultures of neurons. In: Proc. 5th Int'l. Ginseng Symp. Seoul, Korea. pp.92-98 

  19. Saitou N,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 Evol 4:406-425 

  20. Sheo HJ, Seo YS. 2003. The antibacterial ac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uice on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la enteritidis and Enterobacter cloaca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351-1356 

  21. Sneth PHA, Mair NS, Elisabeth SM, Holt JG. 1994, Berg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9th ed 

  22. So MH, Kim YB. 1995. Identification of psychrophil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Food Sci Technol 27:495-505 

  23. Suzuki Y, Ko SR, Choi KJ, Uchida K, Lee YG, Kim YH. 1998. Enzymatic glycosylation and hydrolysis of ginseng saponins. Proc. 7th Int. Ginseng Symp. Seoul. pp.373-374 

  24.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Higgins DG.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4876-4882 

  25. Vancanneyt M, Naser SM, Engelbeen K, De Wachter M, Van der Meulen R, Cleenwerck I, Hoste B, De Vuyst L, Swings J. 2006. Reclassific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strains LMG 11494 and LMG 11984 as Lactobacillus parabrevis sp.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6:1553-15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