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농식품 구매의 소비자태도와 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toward Agricultural Produc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5 no.3, 2012년, pp.650 - 655  

정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식품공학과) ,  김기환 ((주)오비티 전략기획실) ,  양성범 (유한대학교 식품영양과) ,  오상헌 (농촌진흥청 역량개발과) ,  황대용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  김영철 (유한대학교 e-비즈니스과) ,  이석원 (유한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ai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ing behaviors towards agricultural products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experience, technology ability, innovation, self-efficacy, perception of usefulness, perception of 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식품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소비자 태도와 구매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농식품 생산업자들의 SNS를 이용한 농식품 유통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농식품 유통환경에 있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한 농식품구매의 소비자 태도와 구매 행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농식품 전자상거래는 농산물 거래에 있어서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거래라고 정의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농식품유통환경에 있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농식품 구매의 소비자 태도와 구매 행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의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이를 통해 측정된 요인들을 로짓 모형, 연립방정식 모형 및 LISREL Type 구조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농식품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 태도 및 구매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총 300명의 응답자에게 설문지를 배포, 회수된 264명에 대한 응답을 가지고 분석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경우, 기술수용모델(TAM)의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초 자료를 구축하여 Amemiya(1997), Bollen 등(1995)이 분석에 사용한 바 있는 개별 로짓 모형과 연립방정식 모형 및 LISREL(Linear Structural realtion) Type구조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식품 전자상거래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급변하고 있는 농식품 유통환경에 있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한 농식품구매의 소비자 태도와 구매 행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농식품 전자상거래는 농산물 거래에 있어서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거래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농산물 전자상거래는 통상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농산물상거래를 의미하는 것으로 농업에 있어서 B2B나 B2C 전자상거래를 총괄적으로 지칭한다(Jung, 2000).
농식품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인가? 이렇듯 새로운 형태의 농식품 전자상거래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농산물 유통 및 거래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유통 형태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온라인 농식품 전자상거래에 비해 소비자와 생산자간에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으로써 대형마트 등의 주류 유통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정보기술의 발달로 향후 소비자들의 이용 확대가 예상된다.
농식품 유통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와 같이 정의된 농식품 전자상거래는 이용 편리성 등으로 인해 소비자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Park & Choi, 2006). 최근 농식품 유통환경은 수매, 도매시장, 대형마트의 중심에서 점차 온라인 거래 등의 전자상거래로 증가하는 등 빠른 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실제 전자상거래를 통한 농산물 거래액 규모는 2009년 약 5,876억 원인데 반해, 2011년 약 8,206억 원으로 비약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memiya T. 1997. The maximum likelihood and the nonlinear three-stage least squares estimator in the general nonlinear simultaneous equation model. Econometrica 45:955-968 

  2. Bollen KA, David KG, Thomas AM. 1995. Binary outcomes and endogenous explanatory variables: Tests and solutions with an application to the demand for contraceptive use in Tunisia. Demography 32:111-131 

  3. Boyd DM, Ellison N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 Comput-Mediat Comm 13:210-230 

  4. Choi YM. 2004.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e-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Agri Manag Policy 31:550-567 

  5. Gefen D, Karahanna E, Straub D. 2003. Trust an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 27:51-90 

  6. Han IS, Seo SS, Lee SW, Oh SH, Hwang DY, Kim YC. 2011.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e-commerce for agricultural product. Korean J Bus Educ 26:629-648 

  7. Jarvenpaa SL, Tractinsky N, Vitale M. 2000. Custo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Inform Technol Manag 1:45-71 

  8. Jung YY. 2000. Digital agricultural marketing economic development plan. NEWMA 

  9. Kim DW, Kim KD. 2004.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e-commerce. Agr Econ Rev 27:1-17 

  10. Kim JS. 2001. Develpoment strateges of electronic commerce for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Ind Econ Rev 14:133-151 

  11. Kim KH, Lee MS. 2011.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agriculural products e-commerce in Korea. Int Commer Inform Rev 13:29-52 

  12. Park SH, Choi CJ. 2006.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electronic 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e-SERVQAL. Korean J Intl Agri 18:297-3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