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산소 운동과 짐볼 운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만아의 간 기능평가 지수와 Adipokine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Gym-ball Exercise on the Liver Function Test Index, Adipokin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Children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9 = no.149, 2012년, pp.1261 - 1267  

이성수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 스포츠지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2주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군과 짐볼 운동군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중, BMI, 체지방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Adiponectin의 증가와 Leptin의 감소로 인해 인슐린저항성과 혈당, 인슐린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Adipokine들의 긍정적인 기능들로 인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을 평가하는 간 기능 평가지수인 AST와 ALT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비만아동뿐만 아니라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 있어 유산소운동 뿐만 아니라 짐볼 운동에서도 운동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규칙적인 운동은 심폐체력 증진 및 혈중지질의 감소와 함께 혈중 Adiponectin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서 인슐린저항성 개선을 통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기능 개선 뿐만 아니라 비만으로 인한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발병의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a 12-week aerobic exercise training program and a gym-ball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dipokin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children with n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비만 아동들이 흥미롭고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짐볼(Gym-ball) 운동과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비만 아동에서 발생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adipokine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변화를 규명하여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들의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과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감소를 위한 운동효과를 검증하고, 더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2주간 짐볼 운동과 유산소 운동 두 집단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지고 있는 비만아동들에게 어떤 운동이 더 효과적인지 실험 하였다.
  • 그러나 아직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환자와 운동간의 관계를 밝힌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운동효과를 가지고 있는 유산소 운동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짐볼 운동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 두 운동군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위험인자인 adiponectin, insulin, HOMA-IR, AST, ALT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두 운동군의 운동 전과 12주 후의 신체조성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어떠한가? 두 운동군의 운동 전과 12주 후의 신체조성의 변화는 Table 4에 제시한 바와 같다. 유산소 운동군 내에서는 체중, BMI, 체지방률, WHR이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p<0.01, p<0.01, p<0.05), 짐볼 운동군 내에서도 체중, BMI, 체지방률에서만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p<0.05, p<0.01). 그러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당 산소섭취량에서는 두 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두 운동군 모두 운동 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비만 환자의 adipokine들의 증가 또는 감소는 어떤 것에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한편, 지방 조직의 생리적 작용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지방 조직에서 생성, 분비되어 대사를 조절하는 여러 adipokine들의 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계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비만한 환자에서 나타나는 adiponectin, leptin, 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같은 adipokine들의 증가 또는 감소는 인슐린 저항성을 포함한 비만 합병증에 대한 위험성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25].
비만에서 주로 발병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비만에서 주로 발병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는 비교적 예후가 좋은 단순 지방간(Simple fatty liver)과 함께 간의 섬유화가 진행되다가 나중에 간경화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등이 해당되므로 그 심각성이 최근 부각되고 있다[26]. Ludwig 등(1980)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라는 병리학적 소견에 대해 처음 언급을 한 이래로 여러 연구에서 일부 지방간질환이 간경변이나 간세포 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보고를 하였다[1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gulo, P.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346, 1221-1231. 

  2. Benson, A. C., Torode, M. E. and Fiatarone Singh, M. A. 2008. The effect of high-intensity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on adiposity i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Obes.(Lond). 32, 1016-1027. 

  3. Clark, J. M., Brancati, F. L. and Diehl, A. M. 2003. The prevalence and etiology of elevated aminotransferase levels in the United States. Am. J. Gastroenterol. 98, 960-967. 

  4. Clark, J. M., Brancati, F. L. and Diehl, A. M. 2002.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122, 1649-1657. 

  5. Eisenmann, J. C., Baetee, R. T., Smith, D. T., Welk, G. J. and Fu, Q. 2008. Combined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television viewing on the risk of overweight in US youth. Int. J. Obes. 32, 613-618. 

  6. Fantuzzi, G. 2005. Adipose tissue, adipokines, and inflammation. J. Allergy Clin. Immunol. 115, 911-919. 

  7. Hotamisligil, G. S., Arner, P., Caro, J. F., Atkinson, R. L. and Spiegelman, B. M. 1995. Increased adipose tissu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huma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95, 2409-2415. 

  8. Hui, J. M., Hodg, A., Farrell, G. C., Kench, J. G., Kriketos, A. and Geroge, J. 2004. Beyond insulin resistance in NASH: TNF-alpha or adiponectin? Hepatology 40, 46-54. 

  9. Laurson, K., Eisenmann, J. C. and Moore, S. 2008. Lack of association between television viewing, soft drink,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in children. Acta. Paediatr. 97, 795-800. 

  10. Ludwig, J., Viggiano, T. R., McGill, D. B. and Oh, B. J. 1980.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Mayo Clinic experiences with a hitherto unnamed disease. Mayo. Clin. Proc. 55, 434-438. 

  11. Mathur, P., Das, M. K. and Arora, N. K. 2007.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childhood obesity. Indian J. Pediatr. 74, 401-407. 

  12. Matthews, D. R., Hosker, J. P., Rudenski, A. S., Naylor, B. A., Treacher, D. F. and Turner, R. C. 1985.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y 28, 412-419. 

  13. Nam, S. N. and An, S. H. 2008. The effect of combination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cholesterol and cardiac risk factors in middle obesity man. Korean Society of Exer. Physiol. 17, 49-58. 

  14. Neuschwander-Tetri, B. A. and Caldwell, S. H. 2003.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summary of an AASLD Single Topic Conference. Hepatology 37, 1202-1219. 

  15. Nobili, V., Marcellini, M., Devito, R., Ciampalini, P., Piemonte, F., Comparcola, D., Sartorelli, M. R. and Angulo, P. 2006. NAFLD in children: a prospective clinical-pathological study and effect of lifestyle advice. Hepatology 44, 458-465. 

  16. Obisesan, T. O., Ferrell, R. E., Goldberg, A. P., Phares, D. A., Ellis, T. J. and Hagberg, J. M. 2008. APOE genotype affects black-white responses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subspecies to Aerobic exercise training. Metabolism 57, 1669-1676 

  17. Parti, D., Tailoi, E. and Zanella, A. 2002. Updated definitions of healthy ranges for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nn. Intern. Med. 137, 1-10. 

  18. Rashid, M. and Roberts, E. A. 2000.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childre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30, 48-53. 

  19. Sanyal, A. J. 2002.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GA technical review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123, 1705-1725. 

  20. Savoye, M., Shaw, M., Dziura, J., Tamborlane, W. V., Rose, P., Guandalini, C., Goldberg-Gell, R., Burgert, T. S., Cali, A. M., Weiss, R. and Caprio, S. 2007. Effects of a weight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parameters in overweight children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7, 697-704. 

  21. Schindhelm, R. K., Dekker, J. M. and Nijpels, G. 2007. Alanine aminotransferase predict coronary heart disease events: a 10-year follow-up of the Hoorn study. Atherosclerosis 191, 391-396. 

  22. Tragher, G. and Arcaro, G. 2007.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therosclerosis 191, 235-240. 

  23. Tragher, G., Bertolini, L. and Poli, F. 2005.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risk of future cardiovascular event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es 54, 3541-3546. 

  24. Trayhurn, P. and Wood, I. S. 2004. Adipokines: inflammation and the pleiotropic role of white adipose tissue. Br. J. Nutr. 92, 347-355. 

  25. Vettor, R., Milan, G., Rossato, M. and Federspil, G. 2005. Review article: adipocyt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Aliment. Pharmacol. Ther. 22, 3-10. 

  26. Yang, H. R., Ko, J. S. and Seo, J. K. 2007. The Role of Adip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Obese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Resistance.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 Nutr. 10, 185-19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