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느타리버섯 수확 후 배지로부터 리그닌섬유소분해효소 생산
Production of Lignocellulytic Enzymes from Spent Mushroom Compost of Pleurotus eryngii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3, 2012년, pp.152 - 158  

임선화 (한경대학교 바이오.정보기술 전문대학원) ,  김종군 (한경대학교 바이오.정보기술 전문대학원) ,  이윤혜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강희완 (한경대학교 바이오.정보기술 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큰느타리 수확 후 배지(spent mushroom compost, SMC)로부터 목질분해효소인 ${\alpha}$-amylase (EC 3.2.1.1), lignin peroxidase (EC 1.11.1.14), laccase (EC 1.10.3.2), xylanase (EC 3.2.1.8), ${\beta}$-xylosidase (EC 3.2.1.37), ${\beta}$-glucosidase (EC 3.2.1.21) cellulase (EC 3.2.1.4)가 다양한 buffer로 추출 되었으며 1 g SMC당 5 volume으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4^{\circ}C$에서 200 rpm속도로 진탕배양 시에 최적 효소회수율을 보였다. ${\alpha}$-Amylase는 2.10에서 2.80 U/g (SMC)의 효소활성을 보였으며 ${\beta}$-glucosidase와 ${\beta}$-xylosidase는 0.1 U/g 이하의 가장 낮은 효소활성이 나타났다. Cellulase는 2.80 U/g와 xylanse는 5.0 U/g이상의 비교적 높은 효소회수율을 보였다. 큰느타리버섯 SMC 추출물은 상업용 laccase와 탈색효과 cellulase와는 filter paper분해활성을 비교하여 산업적 적용을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gnocellulytic enzymes including a-amylase (EC 3.2.1.1), lignin peroxidase (EC 1.11.1.14), laccase (EC 1.10.3.2), xylanase (EC 3.2.1.8), ${\beta}$-xylosidase (EC 3.2.1.37), ${\beta}$-glucosidase (EC 3.2.1.21) and cellulase (EC 3.2.1.4) were extracted from spent mushroom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 SMC로부터 다량의 목질분해효소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 하였다. 특징적으로 큰느타리버섯 SMC는 팽이버섯, 느타리버섯SMC 보다 3배에서 15배까지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가 많이 생산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수확 후 배지내의 cellulase, xylanase, lignin 분해효소 등의 목질섬유소분해효소 추출조건을 확립하고 산업효소로서의 유용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의 방법으로 큰 느타리 버섯 SMC에서 목질분해효소를 추출한 결과 다른 버섯들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많은 laccase를 추출할 수 있나요?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큰느타리버섯 SMC로부터 다량의 목질분해효소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립 하였다. 특징적으로 큰느타리버섯 SMC는 팽이버섯, 느타리버섯SMC 보다 3배에서 15배까지 lignin 분해효소인 laccase가 많이 생산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큰느타리버섯은 국내 주요 농산버섯 중에서 29%를 차지함으로서 다량의 SMC 확보에 문제가 없으며 SMC를 활용한 효소분리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큰느타리 SMC 목질섬유소 분해효소의 산업적 생산과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 된다.
담자균류란? 담자균류는 자연상태에서 대부분 수목에 기생하여 생활하는 균으로서 xylanase, cellulase, lignin 분해효소(lignin peroxidase, Lip, Mn peroxidase, laccase)를 다량 분비하여 고 분자량의 목질섬유소를 수용성 저분자량의 당으로 분해하여 균사의 영양 흡수과정을 거처 영양원으로 이용한다(Scarse, 1995). 버섯인공 재배시에 사용되는 원재료는 면실박, 비트펄프, 콘코브, 톱밥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가 주로 이용 되고 있으며 주로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등 목질섬유소로 구성 되어 있다.
목질섬유소분해효소 시장이 가진 상업적 가치는? 수확 후 배지를 이용한 목질섬유소분해효소의 추출과 산업적 이용은 폐자원을 이요한 고 부가가치의 산업효소생산 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목질섬유소분해효소 시장은 펄프, 제지 산업이외에도 세제공업, 농산물 가공, 섬유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잠재적인 시장을 갖고 있다. 최근 바이오에너지 생산과정에 사용되는 당화 효소는 세계 산업용 효소 시장의 11%를 형성하고 있어 목질섬유소분해효소의 가치가 새롭게 대두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adulla, E., Tzanov, T., Costa, S., Robra, K. H., Cavaco- Paulo, A. and Gubitz, G. M. 2000. Decolo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textile dyes with a laccase from Trametes hirsuta. Appl. Environ. Microbiol. 66:3357-3362. 

  2. Angenent, L. T. 2007. Energy biotechnology: beyond the general lignocellulose-to-ethanol pathway.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18:191-192. 

  3. Ayala, M., Gonzalez-Munoz, S. S., Pinos-Rodriguez, J. M., Vazquez, C., Meneses, M., Loera, O. and Mendoza, G. D. 2011. Fibrolytic potential of spent compost of Agaricus bisporus to degrade forages for ruminants. African J. of Microbiol. Res. 5:643-650. 

  4. Ball, A. S. and Jacson, A. M. 1995. The recovery of lignocellulose-degrading enzymes from spent mushroom compost. Biores. Technol. 54:311-314. 

  5. Claus, H., Faber, G. and Konig, H. 2002. Redox mediated decolorization of synthetic dyes by fungal laccases. Appl. Microb. Biotech. 59:672-678. 

  6. Couto, S. R. and Toca Herrera, J. L. 2006. Industrial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laccases: a review. Biotechnology Advances, vol. 24, no. 5, pp. 500-513. 

  7. Devi, V. M., Inbathamizh, L., Ponnu, T. M., Premalatha, S and Divya, M. 2012. Dye Decolorization using fungal laccase. Bulletin of Environment, Pharmacology and Life Sciences 1:67-71 

  8. Hoshida, H., Fujita, T., Murata, K., Kubo, K. and Akada, R. 2005. Copper dependent production of a Pycnoporus coccineus extracellular laccase in Aspergillus oryza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Biosci. Biotechnol. Biochem. 69:1090-1097. 

  9. Gianluca, B., Chiara L., Giovanni, M., Patrizia, R., Carla, P., Luciano, V. and Francesco, G. 2008. Molecular cloning and heterologous expression of a laccase gene from Pleurotus eryngii in free and immobilized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s. Appl. Microbiol Biotechnol. 79:731-741. 

  10. Guo, M., Lu, F., Pu, J., Bai, D. and Du, L. 2005. Molecular cloning of the cDNA encoding laccase from Trametes versicolor and heterologous expression in Pichia methanolica. Appl. Microbiol. Biotechnol. 69:178-183 

  11. Ko, H. K., Park, S. H., Kim, S. H., Park, H. G. and Park, W. M. 2005. Detection and recovery of hydrolytic enzymes from spent compost of four mushroom species. Folia Microbiol. 50:103-106. 

  12. Jang, H. W. 2011. Mushroom. The Korean society of mushroom. 15:19-30 

  13. Matcham, S. E. and Wood, D. A. 1992. Purification of Agaricus bisporus extracellular laccase from mushroom compost. Biotechnol. Lett. 14:297-300. 

  14. Na, J. N. and Kim, J. S. 2008. The optimum condition of SSF to ethanol production from starch biomass. Korean Chem. Eng. Res. 46:858-862 

  15. Saranyu, K. and Rakrudee, S. 2007. Laccase from spent mushroom compost of Lentinus polychrous Lev. and its potential for Remazol Brilliant Blue R decolourisation. Biotechnology 6:408-413 

  16. Scarse, R. 1995. Cultivating mushrooms-the potential. Mycologist 9:18-19. 

  17. Singh, A. D., Abdullah N. and Vikineswary, S. 2003.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bulk enzymes from spent mushroom compost. J. Chem. Technol. Biotechnol. 78:743-752. 

  18. Vyas, B. R. M and Molitoris, H. P. 1995. Involvement of an extracellular $H_{2}O_{2}$ -dependent ligninolytic activity of the white rot fungus Pleurotus ostreatus in the decolorization of remazol brilliant blue R. Appl. Environ. Microbiol. 61:3919-3927. 

  19. Zervakis, G., Venturella, G. and Papadopoulou, K. 2001. Genetic polymorphism and taxonomic infrastructure of the Pleurotus eryngii species-complex as determined by RAPD analysis, isozyme profiles and ecomorphological characters. Mycrobiology 147:3183-3194. 

  20. Zhao, J., De Koker, T. H. and Janse, B. J. H. 1996. Comparative studies of lignin peroxidases and manganese-dependent peroxidases produced by selected white rot fungi in solid media. FEMS Microbiol. Lett. 145:39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