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Cosmeceut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the Doinseunguitang and its composition, a traditional prescription, were evaluated.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
Objectives : Cosmeceut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the Doinseunguitang and its composition, a traditional prescription, were evaluated.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 astringent activity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of water extract Doinseunguitang (DISG) and ethanol extract DISG was 60% and 50% at 1,000 ppm.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 showed more than 80% at 500 ppm. Tyrosinase inhibition and inhibition melanin synthesis activities were measured in 40% and 50% at 1,000 ppm and 100 ppm.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rate of ethanol extracts DISG 40% and 80% at 1,000 ppm. It was concluded that compositive ingredients (Persicae Seman, Glycyrrhizae Radix, Cinnamomi Ramulus, Rhei Rhizoma) influenced the most results.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which is superior in it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is useful to be applied in herbal cosmetic industry.
Objectives : Cosmeceut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the Doinseunguitang and its composition, a traditional prescription, were evaluated.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 astringent activity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of water extract Doinseunguitang (DISG) and ethanol extract DISG was 60% and 50% at 1,000 ppm. Xanthine oxidase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 showed more than 80% at 500 ppm. Tyrosinase inhibition and inhibition melanin synthesis activities were measured in 40% and 50% at 1,000 ppm and 100 ppm.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ion rate of ethanol extracts DISG 40% and 80% at 1,000 ppm. It was concluded that compositive ingredients (Persicae Seman, Glycyrrhizae Radix, Cinnamomi Ramulus, Rhei Rhizoma) influenced the most results.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anol extract which is superior in its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is useful to be applied in herbal cosmetic indust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대황은 외용약으로 효력이 강하여 화상치료와 피부병에 이용되고 있으며8), 항산화 효과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활성저해효과와 자외선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 보고되어진 바 있다9). 이러한 특징을 가진 한방복합처방인 도인승기탕 및 그 구성약재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소재 및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할지 판단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최근 천연 한방소재를 이용한 한방화장품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도인승기탕과 그 구성약재의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하여 화장품 복합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제안 방법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10)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2 ml에 0.
즉,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500 μ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 (2.5 U/ml)용액 500 μl을 가한 후 기질로 50 mM 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N-succinyl-(L-Ala)3-p-nitroanilide (500 μg/ml)을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도인승기탕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결과 Fig. 8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100 ppm 이하에서 세포의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멜라노마 세포의 농도를 100 ppm 이하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hemoglobin의 단백질이 추출물과 결합 하는 정도에 따라 수렴효과 정도를 판단하였다.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활성이 우수하여 수렴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구성약재 중 계지 에탄올 추출물이 수렴효과를 상승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 데이터
세포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 (FBS)과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도인승기탕(挑仁承氣湯) 제조에 필요한 구성약재는 경산 북도 경산시 소재의 한약 건재상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도인승기탕은 동의보감2)에 기록된 내용에 준하였으며, 구성약재는 Table 1과 같다.
도인승기탕은 동의보감2)에 기록된 내용에 준하였으며, 구성약재는 Table 1과 같다. 대황 3 g, 계지 2 g, 망초 2 g, 감초 10 g, 도인 10 g를 혼합하여 준비하고 구성약재는 시료 10배씩 준비하였다. 도인승기탕 및 구성약재는 각각 시료의 10배 되는 용매를 사용하였다.
대황 3 g, 계지 2 g, 망초 2 g, 감초 10 g, 도인 10 g를 혼합하여 준비하고 구성약재는 시료 10배씩 준비하였다. 도인승기탕 및 구성약재는 각각 시료의 10배 되는 용매를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물의 경우 85 ℃에서 9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2시간 동안 침지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
1)로 3회 반복 여과한다. 각 추출물은 농축 후 동결건조 시켜 분말 상태로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본 실험의 시료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인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xanthine, xanthine oxidase, pyrogallol, mushroom tyrosinase, L-3,4-dihydroxyphenyl-alanine (L - DOPA), porcine pancreas elastase (PPE), N-succinyl-(L-Ala)3-p-nitroanilide, collagenase 및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등은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에 사용된 세포주는 melanoma 세포인 B16F10을 Korean Cell Line Bank (KCL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에 사용된 세포주는 melanoma 세포인 B16F10을 Korean Cell Line Bank (KCL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 (FBS)과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 (FBS)과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율 측정에 사용한 3 - [ 4 , 5 - d i m e t h y l - t h i a z o l - 2 - y l ] - 2 , 5 -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는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 ℃에서 2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45 nm에서 측정하였다. 즉,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500 μ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tris-HCl buffer (pH 8.
데이터처리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version 12.0)을 이용하여 평균치와 표준오차을 산출하여 오차막대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이론/모형
SOD 유사활성은 Marklund의 방법11)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Stirpe와 Corte의 방법12)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Yagi 등의 방법13)에 따라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0.
Elastase 저해활성 측정은 Cannell 등14)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기질로서 N-succinyl-(L-Ala)3-p-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 ℃에서 2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45 nm에서 측정하였다.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은 Wűnsch 등15)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
Astringent 활성 측정은 Lee 등1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hemoglobin)을 사용하여, 원심분리관 용기에 각각의 시료용액과 헤모글로빈 용액을 1 : 1로 넣어서 진탕 혼합한 다음 1,5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 후 57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Carmichael의 방법17)에 따라 측정하였다. Melanoma (B16F10) 세포를 96 well plate에 0.
피부 멜라노마 세포로부터의 melanin 생합성 저해 측정은 Hosoi 등18)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DMEM 배지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를 100 mm culture dish에 2×106 cell/dish가 되게 분주하고 24시간 배양 후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2 ml 첨가하고, 48시간 후에 인산완충액 (pH 7.
성능/효과
1과 같이 나타내었다.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전자공여능은 망초를 제외한 모든 추출물 1,000 ppm에서 5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 구성약재의 전자공여능은 계지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0 ppm에서 50 %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도인과 감초 및 대황도 각각 500 ppm에서 66, 46, 50 %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전자공여능은 망초를 제외한 모든 추출물 1,000 ppm에서 5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 구성약재의 전자공여능은 계지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0 ppm에서 50 %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도인과 감초 및 대황도 각각 500 ppm에서 66, 46, 50 %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대황은 100 ppm에서는 92 %의 효과를 보였으며, 1,000 ppm의 도인, 감초, 계지의 경우 88, 79, 92 %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그 구성약재의 전자공여능은 계지 열수 추출물의 경우 100 ppm에서 50 %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도인과 감초 및 대황도 각각 500 ppm에서 66, 46, 50 %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대황은 100 ppm에서는 92 %의 효과를 보였으며, 1,000 ppm의 도인, 감초, 계지의 경우 88, 79, 92 %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는 Cha 등19)이 연구한 오디의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더 우수함을 나타낸 결과와 비교하여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wang 등20)의 바나바잎 메탄올, 에탄올, 열수 추출물의 경우 5,000 ppm에서 각각 50.
2와 같이 나타내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SOD 유사활성능은 모든 추출물에서 20 % 이하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그 구성약재의 SOD 유사활성능은 계지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에서 각각 21 %, 23 %를, 대황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33 %로 구성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도인승기탕 복합처방과 그 구성약재가 Hong 등21)이 보고한 바와 같이 뜰보리수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n 등22)이 보고한 한방복합처방인 내소황련탕의 에탄올 추출물 700 ppm에서 27.
4 %로 그 효능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인승기탕과 그 구성약재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구성약재인 계지와 대황의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과 같이 나타내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 50 ppm에서 48 %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1,000 ppm에서는 94%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도인승기탕 구성약재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감초, 계지 및 대황의 열수 추출물 1,000 ppm에서 각각 81%, 88 %, 93 %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도 감초와 계지 1,000 ppm에서 각각 87 %, 96 %로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 50 ppm에서 48 %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1,000 ppm에서는 94%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도인승기탕 구성약재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감초, 계지 및 대황의 열수 추출물 1,000 ppm에서 각각 81%, 88 %, 93 %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도 감초와 계지 1,000 ppm에서 각각 87 %, 96 %로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Yeo 등23)의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억제 작용에서 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Hong 등24)의 솔잎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에서 솔잎 발효 추출물, 솔잎의 80 % 에탄올 추출물과 50 % 에탄올 추출물이 1,000 ppm에서 62.
9 %로 나타난 결과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인승기탕 복합처방과 그 구성약재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특히 그 구성약재인 계지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와 같이 나타내었다.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vitamin C 보다는 다소 낮았지만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에서 41 %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구성약재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감초 열수 추출물 1,000 ppm에서 42 %의 저해활성을, 도인과 계지의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에서 각각 51%, 5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Lee 등25)의 배나무 절지 추출물과 kojic acid, epicatechin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0 ppm 농도에서 각각 89%, 92 %, 9 %를 저해활성을 나타낸 결과와, Lee 등26)의 제주산 식물인 돌외, 비파, 쇠무릎, 측백, 치자, 환삼덩굴의 CHCl3 분획물 1,000 ppm 농도에서 각각 9.
6 %를 나타내어 도인승기탕 복합처방과 그 구성약재인 도인과 계지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은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그 구성약재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특히, 그 구성약재인 도인과 계지 추출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은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더 우수하였으며, 그 구성약재의 경우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특히, 그 구성약재인 도인과 계지 추출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인승기탕 복합 처방의 경우 열수 추출물이 10 % 미만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낸 반면, 에탄올 추출물 500 ppm에서 36 %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 구성약재의 경우도 열수 추출물이 10% 미만의 낮은 저해활성과 달리, 에탄올 추출물 500 ppm에서 계지의 경우 85 %의 저해활성을, 대황의 경우 38 %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Kwak 등27)의 노화억제에 관련된 각종 약용식물인 모과나무, 계피차, 마, 조각자, 저령의 열수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 측정한 결과 1,000 ppm 농도에서 각각 54 %, 52 %, 51 %, 45 %, 57 %의 저해활성을 나타낸 결과 와, Kim 등28)의 홍화씨 추출물과 식물성 유사 호르몬으로 알려진 ursolic acid는 500 ppm에서 31.
6과 같이 나타내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경우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에서 대조군인 vitamin C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0 ppm에서 75 %의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구성약재의 열수 추출물에서 감초, 계지 및 대황 추출물 500 ppm에서 각각 73, 76, 84 %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500 ppm에서 감초, 계지 및 대황 추출물이 62, 76, 75 %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구성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경우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에서 대조군인 vitamin C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0 ppm에서 75 %의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구성약재의 열수 추출물에서 감초, 계지 및 대황 추출물 500 ppm에서 각각 73, 76, 84 %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500 ppm에서 감초, 계지 및 대황 추출물이 62, 76, 75 %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구성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Lee 등29)의 유백피 추출물의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100 ppm에서 27.
1 %를 나타내어 도인승기 탕 및 구성약재의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collagen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구성약재는 감초, 계지 및 대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7과 같이 나타내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00 ppm에서 51 %로 대조군인 vitamin C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약재 열수 추출물의 경우 5,000 ppm에서 20 %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구성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 ppm에서 감초를 제외한 모든 약재가 50 %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00 ppm에서 51 %로 대조군인 vitamin C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약재 열수 추출물의 경우 5,000 ppm에서 20 %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구성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 ppm에서 감초를 제외한 모든 약재가 50 %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Jeong31)의 함초 추출물 10,000 ppm에서 50 %의 효과를 나타냈다는 보고와 비교하여 도인승기탕 구성약재인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melani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경우 그 활성이 미비하였으나, 에탄올 추출물 100 ppm에서 53.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Fig. 9). 이는 Lee 등32)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료 10 % 첨가 시 50 %의 tyrosinase의 활성이 억제 되는 것을 보았을 때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은 0.
전자 또는 수소를 받으면 517 nm 부근에서 흡광도가 감소하여, 인체 내에서 지질 또는 단백질 등과 결합하여 노화를 일으키기 쉬운데 페놀성 화합물의 경우 free radical을 환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능력이 강해 인체 내에서 free radical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다34). 이러한 노화 억제의 척도가 되는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ppm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구성약재 중 계지와 대황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SOD는 다른 종류의 항산화제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현재 항염증제재나 피부노화방지를 위한 미용제재로 화장품 등에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도인승기탕의 SOD 유사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복합처방은 20% 이하의 다소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구성물질 중 대황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33%로 가장 활성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다른 생리활성 보다 SOD 유사활성능 측정에서 다소 낮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통풍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는 hypoxanthine의 유사체인 allopurinol과 alloxanthine이 있는데 alloxanthine은 xanthine oxidase에 의하여 alloxanthine으로 산화된 다음 이것이 xanthine oxidase에 결합하여 urate생성의 최종단계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의 효소활성을 저해함으로써 urate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도인승기탕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에서 94%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구성 물질 중 계지 추출물의 영향으로 복합처방의 활성을 높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피부 색소 침착뿐만 아니라 멜라닌 전구물질들에 의한 독성으로 세포 사멸 촉진의 부정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43).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에서 4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구성물질 중도인과 계지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두 가지 한약재의 영양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collagen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47). 이러한 피부 주름과 관련된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500 ppm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구성약재 중 계지 및 대황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여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면서 tyrosinase의 작용으로 melanosome에서 멜라닌이 합성되어 피부노화가 촉진되며 이때 생성된 자유라디칼은 지질, 단백질, 당 및 핵산을 손상시키고 세포막의 파괴에 관여함으로서 돌연변이 유발, 피부암의 발암, 성인병 및 노화 등을 촉진시키는 원인요소로 알려져 있다.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100 ppm 이하에서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in-vitro 효소 실험인 tyrosinase 저해활성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과 비교하여 비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도인승기탕 및 그 구성약재의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도인승기탕 열수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그 외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구성약재 중 대황과 계지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도인승기탕 및 그 구성약재의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능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자공여능은 도인승기탕 열수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그 외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구성약재 중 대황과 계지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2.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이 1,000 ppm에서 41%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구성약재 중 감초, 도인, 계지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여 그 영향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구성약재 중 계지 및 대황 추출물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4. Astringent 활성 측정 결과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5,000 ppm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구성약재 중 계지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았다.
5.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 측정을 위한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100 ppm 이하에서 세포 독성의 미비하였으며, 도인승기탕 에탄올 추출물 100 ppm에서 53.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속연구
이상의 in vitro 생리활성 검증 결과 도인승기탕 복합처방의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대부분 우수하였으며, 그 구성약재 중 몇몇 약재에 대한 영향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 구성 약재 및 복합처방의 세포 차원에서의 연구가 더 진행 된다면 한방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48)
Yoon JM. A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Doinseunggi-tang on the growth of human uterine. J Ori Obstetr Gynecol. 2003 ; 16(1) : 18-24.
Heo J. Donguibogam. 6th. Seoul : Namsangdang. 462.
Cheon HJ, Chang KE, Moon YO, Keum KS. A study on Chinese medicines of "Dongeuibogam" used for the face skin ailments. J Kor Inst Ori Med Inform. 2010 ; 16(1) : 105-33.
Kim IR, Eom TW. Theological study on pharmacological effects of extracts and essential oil from various parts of Cinnamomum cassia. Res Inst Ori Med. 2003 ; 7 : 33-9.
Park SM. Effect of purgation therapy with Natrii Sulfas on iNOS and MMP 9 expressions of the MCAO rat brain. The Graduate School of East-West Medical Science. Kyung-Hee University. 2008.
Kang SY. Inhibitory effect of Erigeron annuus (L.) Pers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The Graduate School of Small Business. Soongsil University. 2008.
Yu NG. A study on the oriental medical cosmetic method of scalp and hair treatment.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Culture. Hannam University. 2007.
Lee JC, Kim KJ. The effect of elastase inhibition and tyrosinase by Rheum undulatum stokes extracts. J. Kor Ori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 ; 22(3) : 36-46
Park SM, Lee GW, Cho YH.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J Life Sci. 2008 ; 18(12) : 1700-4.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4 ; 47(3) : 469-74.
Stirpe F, Della Corte E.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1969 ; 244(14) : 3855-63.
Yagi A, Kanbara T, Morinobu N.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1986 ; 3981 : 517-9.
Cannell RJ, Kellan SJ, Owsianks AM, Walker JM.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1988 ; 54(1) : 10-4.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1987 ; 47(4) : 936-42.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1985 ; 45(4) : 1474-8.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oo JW, Cho YJ.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unds from Mulberrry fruits. Korean J Food Preserv. 2004 ; 11(3) : 383-7.
Hwang HS, Lee YK, Lee KG. Fractionation of banaba leaves extract (Lagerstroemia speciosa L. Pers)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6 ; 10(2) : 120-4.
Hong JH, Nam HS, Lee YS, Yoon KY, Kim NW, Shin SR.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ean J Food Preserv. 2006 ; 13(3) : 413-9.
An BJ, Lee CE, Son JH, Lee JY, Park TS, Park JM, Bae HJ, Pyeon JR.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aesohwangryntang and its ingredients. Kor J Herbology. 2005 ; 20(4) : 17-26.
Yeo SG, Park YB, Kim IS, Kim SB, Park YH.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Food Sci Nutr. 1995 ; 24(1) : 154-9.
Hong TG, Lee YR, Yim MH, Hyun CN.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ean J Food Preserv. 2004 ; 11(1) : 94-9.
Lee SJ, Park DW, Jang HG, Kim CY, Park YS, Kim TC, Heo BG. Total 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ean J. Hort. Sci. Technol. 2006 ; 24(3) : 338-41.
Lee NH, Lee SJ, Jung DS, Bu HJ.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ion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plants in Cheju. Korean J Pharm Sci Technol. 2001 ; 32 : 175-80.
Kwak YJ, Lee DH, Kim NM, Lee JS.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5 ; 13(6) : 213-6.
Kim MJ, Kim JY, Choi SW, Hong JT, Yoon KS.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04 ; 30(1) : 15-22.
Lee TW, Kim SN, Jee UK, Hwang SJ. Anti-wrinkle effect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ydrogel patches containing Ulmi cortex extract. J Pharm Invest. 2004 ; 34(3) : 193-9.
Lee JT, Jeong YS, An BJ.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 J Herbology. 2002 ; 17(2) : 51-60.
Lee YH, Park SS, Lee SW, Lee SH, Park KH, Choi YJ, Gal SW. Whitening effect of mycelial cu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ixture of cucumber and grape extracts. J Life Sci. 2006 ; 16(5) : 870-5.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 J Food Sci. Technol. 2006 ; 38(1) : 128-34.
Marklund S, Marklund G.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1974 ; 47(3) : 469-74.
Kim MC, Kim MJ, Kim T, Park GT, Son HJ, Kim GY, Choi WB, Oh DC, Heo MS.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ushroom mycelium culture extracts cultivated in the citrus extracts. Kor J Biotechnol Bioeng. 2006 ; 21(1) : 72-8.
Kim SW, Lee SO, Lee TH.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peroxide dismutase from Aerobacter aerogenes. Korean J. Agric Biol Chem. 1991 ; 55(1) : 101-8.
Storch J, Ferber E.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988 ; 169(2) : 262-7.
Hatano T, Yasuhara T, Fukuda T, Noro T, Okuda T. Phenolic constituents of licorice. II. Structures of licopyranocoumarin and glisoflavone, and inhibitory effects of licorice phenolics on xanthine oxidase. Chem Pharm Bull. 1989 ; 37(11) : 3005-9.
Yang MJ, Lim SJ, Ahn HS, Kim MA, Ahn RM. Inhibitory effects of chestnut bark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Korean J Environ Health. 1999 ; 25(1) : 37-43.
Kaneyama K, Takemura T, Hamada Y, Sakai C, Kondoh S, Nishiyama S, Urabe K, Hearing VJ. Pigment production in murine melanoma cells in regulated by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1), dopachrome tautomerase (TRP 2) and a melanogen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993 ; 100(2) : 126-31.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Imokawa G. The role of elastase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2001 ; 74(2) : 283-90.
Lee KK, Kim JH, Cho JJ, Choi JD. Inhibitory effects of 150 plant extracts on elastase activity and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Int J Cosmet Sci. 1999 ; 21(2) : 71-8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