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situ 법에 의한 폴리우레탄/기능화 된 그래핀 나노복합체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Polyurethane/Functionalized Graphene Nanocomposites by In-situ Intercalation Method 원문보기

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7 no.3, 2012년, pp.238 - 245  

황수옥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  이병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  조을룡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흑연으로부터 Graphene oxide(GO)를 합성한 후 diisocyanatodicyclohexylmethane($H_{12}MDI$)를 이용하여 GO의 표면을 기능화하였고, hydrazine monohydrate에 의한 환원을 통해 isocyanate-graphene sheet(i-RGO)를 얻었다. 폴리우레탄과 적합한 나노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GO, i-RGO, 천연흑연 및 열적환원된 graphene을 서로 비교분석하였으며, i-RGO가 가장 적합한 나노충전제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i-RGO의 함량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물성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충전제의 함량을 다르게 하여 PU/i-RGO 나노복합체를 합성하였다. 물성 평가에서, i-RGO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적 안정성, 경도 및 접촉각(발수력)이 향상되었는데, 이는 i-RGO의 물성 특성 및 가교점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인장강도와 신장률의 경우 함량이 4 wt%를 넘어갈 경우 오히려 물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과량의 가교점 형성이 원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phene oxide was synthesized from natural graphite, and its surface was modified using diisocyanatodicyclohexylmethane( $H_{12}MDI$). Isocyanate-graphene sheet(i-RGO) was obtained by reduction of surface modified GO. To select nanofiller having good dispersion with polyurethane, GO, 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흑연류 물질인 graphene이 고분자 나노충전제로 사용되는데 걸림돌이 되었던, 고분자 matrix 내분산성 증대를 위해 graphene의 표면을 isocyanate로 개질하였을 뿐만 아니라, hydrazine hydrate를 이용한 화학적 환원법을 통하여 graphene의 구조적 결함정도를 회복시켜 물성향상을 도모하였고, PU와의 나노복합체 형성을 통해 물성 향상정도를 측정해보았다. 우선 4가지 흑연류 물질(Natural graphite, Graphite oxide, Isocyanate treated graphene, thermal reduction graphene)을 준비하여 유기용매(DMF)에서의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 이 표면개질 graphene sheet는 말단부분에 존재하는 isocyanate기 때문에 PU와 grephene을 가교화 함으로써 graphene의 응집에 따른 분산문제를 해결하고, 물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graphene sheet를 나노 가교점으로 작용하게 하는 PU-grapehen 나노복합체를 합성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성질, 열적 성질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8-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래핀에 존재하는 van der Waals 힘의 영향은? 그래핀은 탄소나노튜브처럼 우수한 역학적 성질과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종횡비(aspect ratio)가 아주 크고 단위무게에 대한 표면적이 크며 열적으로도 매우 안정하여 나노복합체를위한 강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래핀의 층간에 나타나는 강한 van der Waals 힘은 그래핀이 아주 강하게 응집하게만들어 그래핀을 고분자 복합체의 강화제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1-5 또한, 그래핀과 같은 나노소재를 효과적으로 조립하기 위해서는 용매에 분산된 상태로 이용해야 하며,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분산성 문제 때문에 DMF(dimethylformamide)나 NMP(N-methylpyrrolidone)와 같은 유기용매에 소량만 분산될 뿐 쉽게 분산되지 않고 뭉쳐있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래핀을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결합으로 개질시키는 연구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graphene sheet 나노 충전제의 제작과정은?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의 역학적 및 열적 성질의 향상을 위하여 폴리우레탄에 isocyanate로 표면 개질한 graphene sheet를 나노 충전제로 사용하였다.6-7 사용된 나노충전제는 Hummers method8에 기초하여 Natural graphite를 H2SO4, KMnO4, H2O2로 산화시켜 산화 그래핀을 얻고, 표면과 가장자리에 위치한 히드록시기와 카르복실기에 isocyanate를 도입하여 isocyanate-treated graphene oxide를 제조하였다. 이 표면개질 graphene sheet는 말단부분에 존재하는 isocyanate기 때문에 PU와 grephene을 가교화 함으로써 graphene의 응집에 따른 분산문제를 해결하고, 물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래핀의 장점은 무엇인가? 2004년 발견된 탄소 원자 한 층의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은 여러 가지 새롭고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2010년 노벨물리학상이 단원자층 그래핀을 최초로 분리한 Geim과 Novoselove 두 사람에게 수여됨으로써 전 세계의 연구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래핀은 탄소나노튜브처럼 우수한 역학적 성질과 전기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종횡비(aspect ratio)가 아주 크고 단위무게에 대한 표면적이 크며 열적으로도 매우 안정하여 나노복합체를위한 강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래핀의 층간에 나타나는 강한 van der Waals 힘은 그래핀이 아주 강하게 응집하게만들어 그래핀을 고분자 복합체의 강화제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u M F, Lourie O, Moloni K, Kelly T, and Ruoff R S, "Strength and breaking mechanism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under tensile load", Science, 287, 637 (2000). 

  2. Zhang Y, Tan Y W, Stormer H L, and Kim P, "Experimental observation of the quantum hall effect and Berry's phase in graphene", Nature, 438, 201(2005). 

  3. Hirata M, Gotou T, Horiuchi S, Fujiwara M, and Ohba M, "Thin-film particles of graphite oxide 1: High-yield synthesis and flexibility of the particles", Carbon, 42, 2929 (2004). 

  4. Berger C, "Ultrathin epitacial graphite : two-dimensional electron gas properties and a route toward graphene-based nanoelectronics", J. Phys. Chem, B, 108, 19912 (2004). 

  5. Dieterich D, Grigat E, and Hahn W, "Polyurethane Handbook", ed. by Oertel G, pp. 31-38, Hanser, Munich, 1985. 

  6. Graessley W W,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ed. by Mark J et al., pp. 97, Amer. Chem. Soc., Washington (1984). 

  7. Bueche F,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pp. 13, Krieger, New York, 1979. 

  8. Hummers. W, Offeman. R, "Preparation of graphitic oxide", J. Am. Chem. Soc., 80, 1339 (1981). 

  9. C. Hepburn, "Polyurethane Elastomer", Elsevier, London, 1982. 

  10. 김진흥, 대한화학회 여천진회 제 10회 석유화학강좌, 제8 장 TPU의 응용과 동향 (2000). 

  11. 이정삼, "Molecular Design, Synthesis, and Properties of High performance Polyurethanes",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12. Kim B K, Yang J S, Yoo S M, and Lee J S, "Waterborne Polyurethanes Containing Ionic Groups in Soft Segments", Colloid Polym. SCi. 281, 61 (2003). 

  13. Blackwell J and Gardner K H "Structure of the Hard Segments in Polyurethane Elastomers", Polymer, 20, 13 (1979). 

  14. Aitken R R and Jeffs G M 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Based on Aliphatic Diisocyanates Thermal Transitions", Polymer, 18, 197 (1977). 

  15. Hepburn C, "Polyurethane Elastomer", pp. 51, Elsevier Science, New York 1992. 

  16. Ma J, Zhang S, and Qi Z,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Elastomeric Polyurethane/Clay Nanocomposites", J, Appl, Polym. Sci., 82, 1444 (2001). 

  17. Yao K J, Song M, Hourston D J, and Luo D Z, "Polymer/Layered Clay Nanocompo-sites: 2 Polyurethane Nanocomposites", Polymer, 43, 1017 (2002). 

  18. Xiong J, Liu Y, Yang X, and Wang X,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Based on Novel Reactive Modifeder",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86, 549 (2004). 

  19. Petrovic Z S, Javni I, Waddon A, and Banhegyi G,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urethane-Silica Nanocomposites", J. Appl. Polym. Sci., 76, 133 (2000). 

  20. Pattanayak A and Jana S C, "Synthesi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Nanocomposites of Reactive Nanoclay by Bulk Polymerization Methods", Polymer, 46, 3275 (2005). 

  21. Pattanayak A and Jana S C, "Thermoplastic Polyurethane Nanocomposites of Reactive Silicate Clays : Effects of Soft Segment on Properties", Polymer, 46, 5183 (2005). 

  22. Rehab A and Salahuddin N, "Nanocompo sites Materials Based on Polyurethane Intercalaition to Montmollonite Clay",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399, 368 (2005). 

  23. Song L, Tang Y, Zhang R, Chen Z, and Fan W, "Study on the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Polyurethane/Organoclay Nanocomposit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87, 111 (2005). 

  24. Usuki A, Kawasumi M, Kojima Y, Fukushima Y, Okada A,Kurauchi T, and Kamigato O, "Synthesis of Nylon-6-Clay Hybrid by Montmorillonite Intercalated with 1-Caprolactam", J. Mater. Res., 8, 1179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