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n-situ 중합을 통한 그래핀/수분산 폴리우레탄 나노 복합체 제조
Preparation of Graphene/Waterborne Polyurethane Nanocomposite through in-situ Polymeriza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7 no.4, 2013년, pp.507 - 512  

차지정 (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임진형 (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 WPU)의 물리화학적/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래핀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도입하고 in-situ 방법으로 폴리우레탄을 중합하여 그래핀/WPU 나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 방법으로 그래핀을 2 wt%까지 그래핀/WPU 나노 복합체에 도입하면 기존 WPU에 비해 인장강도가 57%, 전기전도도는 약 $10^2$배 정도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단순 블렌드 방법으로 만든 그래핀/WPU 복합체와 비교하였을 때, in-situ 중합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체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전기 전도도를 가졌다. 이것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복합체 단면의 형태학적 분석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개질된 그래핀(iGO)이 in-situ 중합 방법에 기인한 WPU 매트릭스와의 공유결합수소결합을 통하여 균일하게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raphene/waterborne polyurethane (WPU) nano composite was prepared by in-situ polymerization of PU and graphene having isocyanate (iGO) group in order to improve physicochemical/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properties of the graphene/WPU nanocomposite can effectively be enhanced as compared pri...

주제어

참고문헌 (29)

  1. C. N. R. Rao, A. K. Sood, K. S. Subrahmanyam, and A. Govindaraj, Angew. Chem. Int. Ed., 48, 7752 (2009). 

  2. H. Hu, X. Wang, J. Wang, L. Wan, F. Liu, H. Wheng, R. Chen, and C. Xu, Chem. Phys. Lett., 484, 247 (2010). 

  3. J. Kim, H. Im, J. Han, and J. Kim, Polymer(Korea), 36, 22 (2011). 

  4. H. Kim, Y. Miura, and C. W. Macosko, Chem. Mater., 22, 3441 (2010). 

  5. D. Cai, J. Jin, K. Yusoh, R. Rafiq, and M. Song, Compos. Sci. Technol., 72, 702 (2012). 

  6. Z. Chen and H. Lu, J. Mater. Chem., 22, 12479 (2011). 

  7. J. Biscoe and B. E. Warren, J. Appl. Phys., 13, 364 (1942). 

  8. H. C. Schniepp, J.-L. Li, M. J. McAllister, H. Sai, M. Herrera-Alonso, D. H. Adamson, R. K. Prud’homme, R. Car, D. A. Saville, and I. A. Aksay, J. Phys. Chem. B, 110, 8535 (2006). 

  9. M. J. Mcallister, J.-L. Li, D. H. Admson, H. C. Schniepp, A. A. Abdala, J. Liu, M. Herrera-Alonso, D. L. Milius, R. Car, R. K. Prud'homme, and I. A. Aksay, Chem. Mater., 19, 4396 (2007). 

  10. S. Stankovich, D. A. Dikin, R. D. Piner, K. A. Kohlhaas, A. Kleinhammes, Y. Jia, Y. Wu, S. T. Nguyen, and R. S. Ruoff, Carbon, 45, 1558 (2007). 

  11. H.-K. Jeong, Y. P. Lee, R. J. W. E. Lahaye, M.-H. Park, K. H. An, I. J. Kim, C.-W. Yang, C. Y. Park, R. S. Ruoff, and Y. H. Lee, J. Am. Chem. Soc., 130, 1632 (2008). 

  12. H.-G. Moon and J.-H. Chang, Polymer(Korea), 35, 265 (2011). 

  13. A. V. Raghu, Y. R. Lee, H. M. Jeong, and C. M. Shin, Macromol. Chem. Phys., 209, 2487 (2008). 

  14. U. Khan, P. May, A. O’Neill, and J. N. Coleman, Carbon, 48, 4035 (2010). 

  15. J. T. Choi, D. H. Kim, K. S. Ryu, H.-I. Lee, H. M. Jeong, C. M. Shin, J. H. Kim, and B. K. Kim, Macromol. Res., 19, 809 (2011). 

  16. Y. R. Lee, A. V. Raghu, H. M. Jeong, and B. K. Kim, Macromol. Chem. Phys., 210, 1247, (2009). 

  17. X. Wang, Y. Hu, L. Song, H. Yang, W. Xing, and H. Lu, J. Mater. Chem., 21, 4222 (2011). 

  18. B. K. Kim and J. C. Lee,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34, 1095 (1996). 

  19. G. Jimenez, S. Asai, A. Shishido, and M. Sumita, Eur. Polym. J., 36, 2039 (2000). 

  20. L.-H. Bao, Y.-J. Lan, and S.-F. Zhang, J. Polym. Res., 13, 507 (2006). 

  21. M. Melchiors, M. Sonntag, C. Kobusch, and E. Jurgens, Prog. Org. Coat., 40, 99 (2000). 

  22. Z. W. Wicks, Jr., D. A. Wicks, and J. W. Rosthauser, Prog. Org. Coat., 44, 161 (2002). 

  23. S. G. Kang, C. J. Park, J. S. Jang, and H. Ryu, J. Korean. Ind. Eng. Chem., 13, 46 (2002). 

  24. J.-W. Lim and J.-H. Yim, Polymer(Korea), 33, 569 (2009). 

  25. J.-W. Lim, H.-J. Oh, K.-W. Jeong, J.-H. Yim, and Y. S. Ko, Polymer(Korea), 34, 507 (2010). 

  26. H.-C. Kuan, C.-C. M. Ma, W.-P. Chang, S.-M. Yuen, H.-H. Wu, and T.-M. Lee, Comp. Sci. Technol., 65, 1703 (2005). 

  27. W. S. Hummers, Jr., and R. E. Offeman, J. Am. Chem. Soc., 80, 1339 (1958). 

  28. K. S. Choi, F. Liu, J. S. Choi, and T. S. Seo, Langmuir, 26, 12902 (2010). 

  29. L. An, Y. Pan, X. Shen, H. Lu, and Y. Yang, J. Mater. Chem., 18, 492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