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강수 증발산지수(SPEI)를 이용한 남한지역의 가뭄심도 평가
Assessment of Drought Severity over South Korea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9, 2012년, pp.887 - 900  

김병식 (국립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도시환경방재전공) ,  성장현 (국토해양부 영산강홍수통제소 예보동제과) ,  강현석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  조천호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뭄은 자연의 무시할 수 없는 재해이며, 비록 가뭄의 정의가 많이 있지만 가뭄은 장기간의 강우의 부족으로부터 기인한다. 기상학적 가뭄심도의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 이외의 기온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변동으로 인한 강수, 증발산 등의 물수지 변화를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SPI와 유사하지만 기후변동으로 인한 강수 변화 뿐만 아니라 기온의 변동성이 미치는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증발산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의 60개 기상관측소의 1973~2011년까지 기상자료를 대상으로 SPEI를 적용하여 남한지역의 가뭄발생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전국적으로 SPI와 SPEI 모두 봄과 겨울에 가뭄이 심화되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PEI는 SPI보다 가뭄심도를 크게 나타내었다. 또한, 지속기간 12개월의 SPI와 SPEI는 전반적으로 6년 내외의 저빈도 주기성을 갖는 극심한 가뭄이 반복되고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a non-negligible disaster of nature and it is mainly caused by rainfall shortage for a long time though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drought.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that is widely used to express the level of meteorological drought intensity has a limit of not being able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특정 지역에서 어느 정도 긴 기간 동안의 강수와 증발산 사이의 물수지에 대한 평균 조건인 정상상태와 비교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온의 변동성으로부터 증발산량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는 SPEI가 SPI만큼 가뭄을 잘 재현하는지를 검증하고, 한반도의 역대 가뭄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의 60개 기상관측소의 1973~2011년까지 기상자료를 대상으로 SPEI를 적용하여 남한지역의 가뭄발생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PEI가 기왕의 가뭄상황을 잘 재현하는지를 검토하고 한반도의 가뭄발생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표준강수지수(SPI)는 두 가지 사항을 가정하고 있는데 첫째, 가뭄은 강수의 변동성이 기온과 잠재증발산량(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의 변동성 보다 절대적이라는 것, 둘째, 기온과 PET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상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기온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하지 않는 가정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있다(Abramopoulos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I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국 국립가뭄 경감센터(NDMC: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에서는 많은 가뭄 관계자들이 선호할 수 있는 SPI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SPI는 특정 지속기간동안의 강수확률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간의 적용이 가능하고, 가뭄의 조기예측 및 가뭄의 심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Palmer 지수보다 덜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미 국립가뭄 경감센터: http://enso.unl.
대표적인 가뭄지수에는 무엇이 있는가? , 1998; Heim, 2002; Keyantash and Dracup, 2002). 대표적인 가뭄지수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almer, 1965), SMI(Soil Moisture Index),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McKee, 1993),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 Shafer and Dezman, 1982) 등이 있으며, 이 지수들은 각각 장단점을 갖고 있어서 적용 대상 지역의 수문, 기상 특성과 수자원 공급 시설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지수를 이용하거나, 통합하여 이용하고 있다. 여러 지수 중에서 어떤 지수가 절대적으로 우수하다고 할 수는 없다.
가뭄지수는 PDSI와 같이 반드시 기온과 관련된 변수가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데, PDSI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미래 기후변화 전망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가뭄지수는 PDSI와 같이 반드시 기온과 관련된 변수가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PDSI는 수문 순환과 관련된 가뭄과 여러 양상(type)의 가뭄을 구분하기 위한 다규모적(multi-scalar) 특징이 부족하다. McK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건설교통부 (2001).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5). 가뭄관리모니터링체계 수립보고서. 

  3. 김병식, 권현한, 김형수 (2011). "기후변화가 가뭄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습지학회 논문집, 한국습지학회, 13권, 제1호, pp. 1-11. 

  4. 농업기반공사 (2001). 가뭄극복지. 

  5. 이승호, 이현영 (2002). 기후학의 기초. 

  6. 이주헌, 서지원, 김창주(2012). "가뭄지수를 활용한 한반도 가뭄의 경향성, 주기성 및 발생빈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5권, 제1회, pp. 75-89. 

  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수자원 현황 및 영향요인: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8. Abramopoulos, F., Rosenzweig, C., and Choudhury, B. (1988). "Improved ground hydrology calculations for global climate models (GCMs): Soil water movement and evapotranspir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 No. 9, pp. 921-941. 

  9. Dubrovsky, M., Svoboda, M.D., Trnka, M., Hayes, M. J., Wilhite, D.A., Zalud, Z., and Hlavinka, P. (2008). "Application of relative drought indices in assessing climate-change impacts on drought conditions in Czechia."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96, No. 1-2, pp. 155-171. 

  10. Du Pisani, C.G., Fouche, H.J., and Venter, J.C. (1998). "Assessing rangeland drought in South Africa." Agricultural Systems, Vol. 57, No. 3, pp. 367-380. 

  11. Guttman, N.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1, pp. 113-121. 

  12. Heim, R.R. (2002). "A review of twentieth-century drought indices used in the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3, No. 8, pp. 1149-1165. 

  13. Hu, Q., and Willson, G.D. (2000). "Effect of temperature anomalies on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in the central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0, pp. 1899-1911. 

  14.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and Miller, H.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996. 

  15. Jones, P.D., and Moberg, A. (2003). "Hemispheric and large-scale surface air temperature variations: An extensive revision and an update to 2001." Journal of Climate, Vol. 16, No. 2, pp. 206-223. 

  16. Kempes, C.P., Myers, O.B., Breshears, D.D., and Ebersole, J.J. (2008). "Comparing response of Pinus edulis tree-ring growth to five alternate moisture indices using historic meteorological data."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Vol. 72, No. 4, pp. 350-357. 

  17. Keyantash, J., and Dracup, J. (2002). "The quantification of drought: an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3, No. 8, pp. 1167-1180. 

  18. Mavromatis, T. (2007). "Drought index evaluation for assessing future wheat production in Greec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27, No. 7, pp. 911-924. 

  19. McKee, T.B., Doeski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oc. 8th Conf. on Applied Climatology, January 17-22, 1993,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Boston, Massachusetts, pp. 179-184. 

  20.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21. Rebetez, M., Mayer, H., Dupont, O., Schindler, D., Gartner, K., Kropp, J.P., and Menzel, A. (2006). "Heat and drought 2003 in Europe: A climate synthesis." Annals of Forest Science, Vol. 63, No. 6, pp. 569-577. 

  22.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eedings of the Western Snow Conference, Reno, NV, pp. 164-175. 

  23. Sheffield, J., and Wood, E.F. (2008). "Projected changes in drought occurrence under future global warming from multi-model, multi-scenario, IPCC AR4 simulations." Climate Dynamics, Vol. 31, No. 1, pp. 79-105. 

  24. Thornthwaite, C.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aphical Review, Vol. 38, No. 1, pp. 55-94. 

  25. Thornthwaite, C.W., and Mather, J.R. (1955). "The water balance." Publications in Climatology, Vol. 8, No. 1, pp. 1-104. 

  26. Vicente-Serrano, S.M., and Santiago Begueria Juan I. Lopez- Moreno (2010). "A multiscalar drought index sensitive to global warm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SPEI." Journal of Climate, Vol. 23, No. 7, pp. 1696-17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