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강수 증발산량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와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이용한 남한지역 미래 가뭄의 변화전망
Evaluation on the Impact of Extreme Droughts in South Korea using the SPEI and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3 no.2, 2013년, pp.97 - 109  

김병식 (국립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방재전문대학원 도시환경방재공학과) ,  성장현 (국토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 ,  이병현 (국립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도시환경방재공학전공) ,  김도정 (국토교통부 영산강홍수통제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가뭄분석에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인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기온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 증발산 등의 물수지 변화를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 강수량의 증가만을 생각하면 가뭄이 감소할 수 있으나, 증발산량의 증가로 인해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잠재적 가뭄상태를 평가하고 예측하려면 증발산량을 고려한 가뭄 전망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PI와 유사하지만 기온의 변동성이 포함된 새로운 개념의 가뭄지수인 표준강수 증발산량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를 이용하여 가뭄발생을 평가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가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PCC AR5의 RCP기후변화 시나리오로부터 모의된 미래강수 및 기온자료(2011년~2099년)를 추출하였으며 전국 기상관측소의 강수 대비 증발산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SPEI를 산정하여 남한지역의 미래 가뭄발생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미래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건조지속기간의 증가 및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의 증가로 인해 가뭄의 심도가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 method widely used to analyze droughts related to climate change, does not consider variables related to temperature that it is limited in that it can't consider changes in hydrological balance such as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from climate ch...

주제어

참고문헌 (26)

  1. Journal of Climate 1 921 1988 10.1175/1520-0442(1988)001<0921:IGHCFG>2.0.CO;2 

  2. Boo, Kyung‐On, Kwon, Won‐Tae, Oh, Jai‐Ho, Baek, Hee‐Jeong. Response of global warming on regional climate change over Korea: An experiment with the MM5 model.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31, no.21, 2004GL021171-.

  3. Agricultural Systems 57 367 1998 10.1016/S0308-521X(98)00024-9 

  4.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96 55 2008 

  5.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 113 1998 10.1111/j.1752-1688.1998.tb05964.x 

  6.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3 1149 2002 10.1175/1520-0477-83.8.1149 

  7.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0 1899 2000 10.1002/1097-0088(200012)20:15<1899::AID-JOC588>3.0.CO;2-M 

  8. SOLA 3 17 2007 10.2151/sola.2007-005 

  9. Journal of Climate 16 206 2003 10.1175/1520-0442(2003)016<0206:HALSSA>2.0.CO;2 

  10.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72 350 2008 10.1016/j.jaridenv.2007.07.009 

  11.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3 1167 2002 10.1175/1520-0477-83.8.1167 

  12.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13 1 2011 

  13.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Journal 45 887 2012 10.3741/JKWRA.2012.45.9.887 

  14. Climate Research 40 241 2009 10.3354/cr00825 

  15. Boo, Kyung‐On, Kwon, Won‐Tae, Baek, Hee‐Jeong. Change of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Korea using regional proje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33, no.1, 2005GL023378-.

  16. Korean Water Resources Society Journal 45 75 2012 10.3741/JKWRA.2012.45.1.75 

  17. Advances in Geosciences 17 23 2008 10.5194/adgeo-17-23-2008 

  18.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7 911 2007 10.1002/joc.1444 

  19. Annals of Forest Science 63 569 2006 10.1051/forest:2006043 

  20. Climate Dynamics 31 79 2008 10.1007/s00382-007-0340-z 

  21. Water Resources Research 43 W07405 2007 

  22.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2 221 2012 

  23. Geographical Review 38 55 1948 10.2307/210739 

  24. Publications in Climatology 8 1 1955 

  25. Journal of Climate 23 1696 2010 10.1175/2009JCLI2909.1 

  26. Geosci. Model Dev. Discuss. 4 1213 2011 10.5194/gmdd-4-1213-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