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Analysis of Tidal Asymmetry and Flood/Ebb Dominance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9, 2012년, pp.915 - 928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M_2$ 진폭비를 분석한 결과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며, 조석의 상대 위상차($2M_2-M_4$)를 계산하면 모든 정점의 값이 $180^{\circ}C$ 이하로 창조 우세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류자료의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조석 조화상수의 상대 위상차 결과와는 다르게 최강 평균 낙조가 창조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나며, 정조시각을 이용하여 창조, 낙조 지속시간을 계산하면 낙조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각 조류 관측정점의 주축 방향 유속성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 이후 염하수로 북쪽입구까지는 상관도 값이 0.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류 분석결과에서 보여지는 낙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화분해 결과를 재구성하였다. 주 분조($M_2$)와 천해 분조($M_4$)를 결합하면 창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전형적인 창조우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곡선에 조류 성분의 산술 합으로 계산한 비 조류성분(잔차류)의 값을 더하면 낙조가 강해지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로 나타난다. 즉, 천해분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류방향의 흐름을 극복하는 담수와 하구 비선형 효과에 의해서 생성되는 장주기 조류성분과 같은 낙조방향의 평균적인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특한 낙조심화 현상이 염하수로에서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 River estuary (HRE) i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and tidal currents were measured at 4 stations in this estuary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previously observed tid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amplitude ratio of $M_4/M_2$ showed that increasing upw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idzieko and Ralston (2012)에 의하면 조석에 의해서는 창조 우세(양의 왜도)가 나타나지만, 유속에서는 대, 소조기 변화에 의해서 창조 또는 낙조 우세(음의 왜도)가 교대로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대위상 차이에 의한 방법과 함께 조류자료를 사용하여 창조, 낙조 우세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앞서 설명한 유속자료의 창조와 낙조의 최강, 평균 유속의 크기를 보면 모든 정점에서 낙조가 우세하며, 지속시간 계산에서는 낙조 지속시간이 모든 정점에서 창조 지속시간 보다 길게 나타난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창조 또는 낙조 우세의 개념과 본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낙조 우세에 대한 의미 혼동을 배제하기 위해서 낙조심화로 표현하고자 한다. 조석의 상대 위상차 분석과 유속 자료를 비교했을 때 창조와 낙조의 우세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류 조화상수 값과 비 조류 성분 (잔차류)을 재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기만 한강하구는 어떤 해역인가? 경기만 한강하구는 인천항을 기준으로 평균대조차가 8.0 m, 평균소조차 3.5 m인 대조차 해역이다. 해안지형이 복잡하며 크고 작은 섬들과 수로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큰 조차와 완만한 지형경사로 조간대가 넓게 발달되어 있어 복잡한 해수순환 특성을 보이며(Park et al.
하구 및 연안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효과는 어떠한 원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서 야기되는가? 하구 및 연안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선형 효과는 바닥마찰, 담수, 수심 및 지형적 효과와 같은 다양한 원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서 야기된다. 이런 비선형 효과는 하구 및 연안지역의 조석, 조류곡선을 비대칭한 형태로 변형시킨다(Ippen and Harleman 1966; Pugh, 1987; Aubrey and Speer 1985; Blanton et al.
조간대를 포함하는 수심과 수로의 지형학적 형태에 의한 창조와 낙조 우세성과 퇴적물 이동에 관한 연구 중 Friedrichs and Aubrey의 전통적인 방법의 한계점은? 위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은 유속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수위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퇴적물 이동 분석에 사용되기는 어렵다(Robin and Davies, 2010). 또한 연구지역이 석호와 같은 담수의 영향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지역이기 때문에 담수의 유입이 지속적이고 강하게 나타나는 하구 및 연안지역에서는 적용에 한계성이 있다(Seim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주환 (2000). "우리나라 서남해역의 창 낙조우세와 황해에서의 조류타원도 회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II-2호, pp. 269-276. 

  2. 국립해양조사원(2002). 한강 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구(II). 한국해양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SPM 00080-00-1345-2. 

  3. 김창식, 임학수, 김진아, 김선정, 박광순, 정경태(2010). "경기만 조석 잔차류산정 및 변동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22권, 제6호, pp. 353-360. 

  4. 송용식, 우승범(2011). "염하수로 인근에서 조석 변형과 장주기 조류성분의 변동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한국해안해양공학회, 제23권 제5호, pp. 393-400. 

  5. 윤병일, 우승범 (2011).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한국해안해 양공학회, 제23권 제5호, pp. 383-392. 

  6. 인하대학교(2003). 창후항 박지보수 및 창후리 교동간 항로 보수를 위한 준설 관련 해양조사 보고서. 해양과학기술연구소. 

  7. Aubrey, D.G., and Speer, P.E. (1985). "A Study of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 Observations."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Elsevier, Vol. 21, No. 2, pp. 185-205. 

  8. Aubrey, D.G. (1986). "Hydrodynamic controls on sediment transport in well-mixed bays and estuaries." Physics of Shallow Estuaries and Bays, Edited by van de Kreeke, J., Springer, Berlin, pp. 245-258. 

  9. Blanton, J.O., Lin G., and Elston, S.A. (2002). "Tidal current asymmetry in shallow estuaries and tidal creeks." Continental Shelf Research, Elsevier, Vol. 22, No. 11-13, pp. 1731-1743. 

  10. Cloern, J.E. (1987). "Turbidity as a control on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in estuaries." Continental Shelf Research, Elsevier, Vol. 7, No. 11-12, pp. 1367-1381. 

  11. Dronker, J. (1986). "Tidal asymmetry and estuarine morphology."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Elsevier, Vol. 20, No. 2, pp. 117-131. 

  12. Friedrichs, C.T., and Aubrey, D.G. (1988). "Nonlinear tidal distortion in shallow well mixed estuaries: A synthesis."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Elsevier, Vol 26, No. 5, pp. 521-545. 

  13. Ippen, A.T., and Harleman, D.R.F. (1966). "Tidal Dynamics in Estuaries." Estuary and Coastline Hydrodynamics, Edited by Ippen, A.T., McGraw-Hill, New York, pp. 493-545. 

  14. Kang, J.W., and Jun, K.S. (2003). "Flood and ebb dominance in estuaries in Korea."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Elsevier, Vol. 56, No. 1, pp. 187-196. 

  15. Lanzoni, S., and Seminara, G. (1998). "On tide propagation in convergent estuari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GU, Vol. 103, No. C13, pp. 30,793-30,812. 

  16. Nidzieko, N.J., and Ralston, D.K. (2012). "Tidal asymmetry and velocity skew over tidal flats and shallow channels within a macrotidal river delt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Oceans, AGU, Vol. 117, C03001, doi:10.1029/2011JC007384. 

  17. Park, K., Oh, J.H., Kim H.S., and Im, H.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8, No. 3, pp. 257-267. 

  18. Preisendorfer, R.W., and Mobley, C.D. (1988).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Elsevier Science Ltd, 425 pp. 

  19. Pugh, D.T. (1987). Tides, surges and mean sea level: a handbook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Wiley, New York. 

  20. Robins, P.E., and Davies, A.G. (2010). "Morphological controls in sandy estuaries: the influence of tidal flats and bathymetry on sediment transport." Ocean Dynamics, Springerlink, Vol. 60, No. 3, pp. 503-517. 

  21. Seim, H., Blanton, J., and Elston, S. (2006). "Tidal circulation and energy dissipation in a shallow, sinuous estuary." Ocean Dynamics, Springerlink, Vol. 56, No. 3-4, pp. 360-375. 

  22. Speer, P.E., and Aubrey, D.G. (1985). "A study of nonlinear tidal propagation in shallow inlet/estuarine systems. Part II: theory." Estuarine, Coastal Shelf Science, Elsevier, Vol. 21, No. 2, pp. 207-224. 

  23. Speer, P.E., Aubrey, D.G., and Friedrichs, C.T. (1991). "Nonlinear hydrodynamics of shallow tidal inlet/bay system Estuarine." Tidal Hydrodynamics, Edited by Parker, B.B., Wiley, Chichester, pp. 321-339. 

  24. Wang, Z.B., Jeuken, M.C.J.L., Gerritsen, H., De Vriend, H.J., and Kornman, B.A., (2002). "Morphology and asymmetry of the vertical tide in the Westerschelde estuary."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2, No. 17, pp. 2599-2609. 

  25. Woo, S.B., and Yoon, B.I. (2011). "The Classification of Estuary and Tid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Gi Bay, South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CERF, Special Issue Vol. 64, pp. 1624-16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