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적 광산란법에 의한 폴리(비닐 알코올)/디메틸설폭사이드/폴리스티렌 라텍스 계에서의 고분자 사슬 배제층 측정
Measurement of Polymer Chain Depletion Layer in the Poly(vinyl alcohol)/Dimethyl Sulfoxide/Polystyrene Latex System by Dynamic Light Scattering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5, 2012년, pp.628 - 636  

엄효상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박일현 (금오공과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폴리(비닐 알코올)(PVA)/디메틸설폭사이드 용액에 폴리스티렌 라텍스 구형입자(직경 범위: 100~300 nm)를 소량 첨가한 뒤, 구형 입자 표면에 형성된 사슬 배제층 두께가 사슬의 농도에 따라 어떻게 의존하는지를 동적 광산란법으로 조사하였다. 묽은 용액 농도에서는 배제층의 두께가 PVA 사슬의 회전반경의 $63{\pm}3%$ 수준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었으나 준희박 용액 농도의 초기 영역인 $1.5{\leq}C[{\eta}]{\leq}3$ 범위에서는 배제층 두께 ${\delta}$고분자 농도 의존성은 이론치 -0.75와 비슷한 ${\delta}{\sim}C^{-0.8}$로 얻어졌다. 보다 높은 농도 $C[{\eta}]$ >3 이상에서는 배제층의 두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탐침입자간 Oosawa 인력에 의하여 유발된 응집효과가 그 원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lymer concentration dependence of depletion layer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dynamic light scattering after the very small amount of polystyrene spherical latex particles was added into the matrix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PVA)/dimethyl sulfoxide. At the dilute regime, the magnitude of...

주제어

참고문헌 (30)

  1. D. Napper, Polymeric Stabilization of Colloidal Dispersion, Academic Press, London, 1983. 

  2. A. S. Verkman, Trends Biochem. Sci., 27, 27 (2002). 

  3. R. Varogui and P. Dejardin, J. Chem. Phys., 66, 439 (1977). 

  4. T. M. H. M. Sheutjens and G. J. Fleer, J. Phys. Chem., 84, 178 (1980). 

  5. M. Stuart, F. Waajen, T. Cosgrove, B. Vincent, and T. Crowley, Macromolecules, 17, 1825 (1984). 

  6. K. Vaynberg, N. J. Wagner, R. Sharma, and P. Martic, J. Colloid Interf. Sci., 205, 131 (1998). 

  7. E. Donath, A. Krabi, M. Nirschl, V. M. Shilov, M. I. Zharkikh, and B. Vincent, J. Chem. Soc. Faraday Trans., 93, 115 (1997). 

  8. C. W. Hoogendam, J. C. W. Peters, R. Tuinier, A. de Keizer, M. A. Cohen Stuart, and B. H. Bijsterbosch, J. Colloid Interf. Sci., 207, 309 (1998). 

  9. S. Asakura and F. Oosawa, J. Chem. Phys., 22, 1255 (1954). 

  10. S. Asakura and F. Oosawa, J. Polym. Sci., 33, 183 (1958). 

  11. A. Vrij, Pure & Appl. Chem., 48, 471 (1976). 

  12. G. J. Fleer, A. M. Skvortsov, and R. Tuinier, Macromolecules, 36, 7857 (2003). 

  13. J. Hu, R. Wang, and G. Xue, J. Phys. Chem., 110, 1872 (2006). 

  14. A. M. Zhickov, J. Colloid Interf. Sci., 313, 122 (2007). 

  15. G. J. Fleer, A. M. Skvortsov, and R. Tuinier, Macromol. Theory Simul., 16, 531 (2007). 

  16. T.-H. Fan, K. G. Dhont, and R. Tuinier, Phys. Rev. E, 75, 11803 (2007). 

  17. A. A. Louis, P. G. Bolhuis, and E. J. Meijer, J. Chem. Phys., 116, 10547 (2002). 

  18. E. Donath, A. Krabi, G. Allen, and B. Vincent, Langmuir, 12, 3425 (1996). 

  19. B. Vincent, Colloids Surf., 50, 241 (1990). 

  20. H. Baumler, B. Neu, S. Iovtchev, A. Budde, H. Kiesewetter, R. Latza, and E. Donath, Colloids Surf. A, 149, 389 (1999). 

  21. H. Baumler, E. Donath, A. Krabi, W. Knippel, A. Budde, and H. Kiesewetter, Biorheology, 33, 333 (1996). 

  22. E. Donath, A. Budde, E. Knippel, and H. Baumler, Langmuir, 12, 4832 (1996). 

  23. L. T. Lee, O. Guiselin, A. Lapp, B. Farnoux, and J. Penfold, Phys. Rev. Lett., 67, 2838 (1991). 

  24. H. S. Eom and I. H. Park, Polymer(Korea), 34, 415 (2010). 

  25. W. Brown,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Method and Some Application, Clarendon, Oxford, 1993. 

  26. W. M. Kulicke and R. Keniewske, Rheol. Acta, 23, 75 (1984). 

  27. A. Ren, P. E. Ellis, S. B. Ross-Murphy, Q. Wang, and P. J. Wood, Carbohydr. Polym., 53, 401 (2003). 

  28. M. G. Huglin, Light Scattering from Polymer Solutions, Academic, New York, 1972. 

  29. O. Glatter and O. Kratky, Small Angle X-ray Scattering, Academic Press, New York, 1982. 

  30. W. W. Graessley, Polymeric Liquids & Network: Structure and Properties, Garl and Science, New York,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