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hysical Structure of Gudle-jang Paddy-field in Cheongsando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8 no.3, 2012년, pp.103 - 110  

조영재 (충남발전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  유학열 (충남농어업6차산업화센터) ,  윤원근 (협성대학교 지역개발학과) ,  최식인 (협성대학교 지역개발학과) ,  이영옥 (충남농어업6차산업화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phy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Gudle-jang Paddy-field in Cheongsando.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potential value and the assignment for the preservation of Gudle-jang Paddy-field were suggested. Gudle-jang Paddy-field is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학술적 대상에서 방치되어 온 청산도 구들장논을 대상으로 분포 실태와 함께 물리적 구조 및 특징을 밝혀내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들장논의 잠재된 가치와 보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산도 구들장논을 대상으로 분포 실태와 함께 물리적 구조 및 특징을 밝혀내기 위한 조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구들장논의 가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들장이란 무엇인가? 구들장이란 방고래4) 위에 깔아 방바닥을 만드는 얇고 넓은 돌로 주로 우리나라의 전통 온돌시스템에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조상들은 구들장으로 주로 운모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백운모를 사용하였는데 백운모가 열 보존 시간이 길고, 절연체였기 때문이다.
청산도 논의 위치와 그 위치는 어떠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청산도 논은 대체적으로 평지 보다는 산록과 산간(중산간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구들장논이 분포하는 상서리, 양지리, 부흥리도 중산간지역에 위치하여 주변 산에서 내려오는 계곡수와 용출수가 많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구들장논에서 300~500m 떨어진 산에 구들장 형태의 넓고 얇은 돌이 많이 산재되어 있으나 논흙으로 쓸 수 있는 진흙은 상대적으로 적으며, 마을 주변에서 구들장 형태의 돌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돌(자갈)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구들장논의 하층부는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가? 구들장 상층부는 구들장을 깔고 구들장과 구들장 사이의 구멍을 진흙으로 막은 후, 그 위에 40~45cm의 흙을 쌓고 물을 가둘 수 있도록 논둑을 만들어 벼를 기를 수 있는 구조로 일반적인 논의 구조와 동일하다. 하층부는 돌기둥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구들장을 쌓아 올리는 온돌(구들)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돌기둥의 간격은 구들장의 넓이와 관련이 있고, 일률적인 것은 아니지만 대략 1m 내·외의 일정한 높이의 돌을 세우고, 돌기둥 사이는 흙으로 채우지 않고 비워두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김준봉, 리신호, 오홍식, 2008,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 청홍. 

  2. 완도군, 2008, 청산도 가고 싶은 섬 시범사업 마스터플랜. 

  3. 윤원근?최식인, 2012, 한국 농어업?농어촌 유산발굴과 보전, 농업전망2012, 농촌경제연구원, 299- 330. 

  4. 이학수, 2009, 실전구들&구들발명이야기, 생각나눔. 

  5. 한국다랑이논연구회, 2009, 동북아 다랭이논의 새로운 가치와 보전활동, 동북아다랭이논 국제심포지엄. 

  6. 中島峰?, 2009, "日本の棚田", 棚田??.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