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렙틴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a 12-week compoun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 school girls' leptin and insulin leve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3 no.5, 2012년, pp.895 - 904  

이선익 (대도중학교) ,  조영석 (부산대학교 통계학과) ,  양정옥 (신라대학교 체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0%이상인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집단 (n=20)과 통제집단 (n=20)으로 비교분석하여 12주 복합운동 (유산소운동+저항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운동 전과 후의 렙틴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샤피로-윌크 검정 값을 이용해 정규성을 검정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12주간 복합운동에 따른 전 후 전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분석을 위한 유의수준${\alpha}=0.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렙틴과 인슐린은 복합운동집단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규칙적인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렙틴과 인슐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12-week compound exercise program (aerobic exercise+weight training) on obese middle school girls' leptin and insuli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This is achieved by dividing obese middle school girls whose body fat percentage is over 30% into a comp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을 병행하여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신체조성과 비만 유전자 단백질인 렙틴 및 인체 내 에너지 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인슐린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유사한 연구로 Baek (2009), Lee 등 (2009)을 참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예방을 위한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의 병행은 인슐린 농도 감소에 왜 효과적인가요? 001)하여 12주간의 복합운동으로도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는 앞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운동에 의해 인슐린농도가 개선되는 이유는 운동으로 인한 교감신경계의 자극이 췌장으로부터 인슐린 분비를 억제, 운동이 세포막의 인슐린 수용체의 증가에 의한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골격근의 인슐린 민감도 향상, 골격근내 혈관의 밀도를 증가시키며 체지방이 감소, 골격근의 글루코스 섭취능력이 증가, 운동과 관련 있는 표적 장기에만 인슐린 작용을 선택적으로 향상시켜 인슐린 감수성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Ebeling 등, 1993). 즉, 비만예방을 위한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의 병행은 비만 여중생의 인슐린 농도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비만의 특징적인 소견으로서 대표적인 인슐린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복합운동의 효과를 살펴보면 체중감소 못지않게 중요한 효과인 근육을 중심으로 한 제지방 체중의 유지 및 기초대사량 감소방지를 도와줌으로써, 제한식이에서 흔히 나타나는 기초대사량 감소를 완화시켜 줄 수 있다 (Donnelly 등, 1991). 선행연구에서는 비만의 특징적인 소견으로서 대표되는 인슐린은 골격근, 심근 및 지방 조직 등 말초 조직에서의 포도당 사용을 촉진시키며,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면 조직에서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는 시점에서부터 혈장 내 글루코스의 축적이 야기되며, 지방 조직에서는 지질분해를 통한 유리지방산의 동원을 자극하는 반면, 인슐린은 당원분해를 억제하고 유리지방산의 동원을 억제한다 (Choi와 Lee, 2004). 또한 췌장 베타세포에서 렙틴 수용체가 발견되면서 렙틴이 인슐린 저항성뿐만 아니라 인슐린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제기되었다 (Kieffer 등, 1996).
비만이란 무엇인가요? 고지방 음식 섭취량의 증가에 따른 영양부조화,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등의 변화로 비만은 이제 단순히 성인들에게만 국한되어 있지 않고, 성장기 아동 및 청소년들의 비만으로 이어지는 각종 현대병 질환에 노출될 비율이 급증하고 (Hill과 Peters, 1998), 이러한 현상은 일반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현장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Kim과 Kim, 2004). 비만이란 서태평양지역회의에서는 BMI (Body mass index)가 25kg/㎡이상 또는 체지방률 (% Body Fat)이 30%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고 있다. 아동 및 청소년 비만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1996년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해 비만이 질병으로 정의되고 이에 따라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Han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aron, L., Carrel, M. D., Randall, R., Clark, M. S., Susan E., Peterson, M. S., Blaise A., Nemeth, M. D., Jude Sullivan, M. S., David B. and Allen, M. D. (2005). Improvement of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overweight children in a school-based exercise program.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9, 963-968. 

  2. ACSM (1998). Exercise and physical for older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0, 992-1008. 

  3. Baek, U. H. (2009). An analysis of physique growth of menarche of athletes and non athletes. Journal of the Korean Date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139-148. 

  4. Bjortop, R. (1981). The effect of exercise on plasma insuli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2, 125-129. 

  5. Buyze, M. T., Foster, C., Pollock, M. L., Sennett, S. M., Hare, J. and Sol, N. (1986). Comparative training response to rope skipping and jogging. Journal of Sports Medicine, 14, 65-69. 

  6. Choi, C. K. and Lee, Y. S. (2004). The effects of aerobic and aerobic combined with resistance exercise on the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s, serum leptin and insulin in obese middle-school students boy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3, 579-588. 

  7. Considine, R. V., Sinha, M. K., Kriauciunas, A., Nyce, M. R., Ohannesian, J. P., Marco, C. C., Mckee, L. J., Bauer, T. L. and Caro, J. F. (1996). Serum immunoreactive-leptin concentrations in normal weight and obese human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4, 292-395. 

  8. Donnelly, J. E., Pronk, N. P., Jacobsen, D. J., Pronk, S. J. and Jakicic, J. M. (1991). Effects of a very-lowcalorie diet and physical - Training regimens on body composition and resting metabolic rate in obese female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4, 56-61. 

  9. Ebeling, P., Bourey, R. and Koranyi, L. (1993). Mechanism of enhanced insulin sinsitivity in athletes : Increased blood flow. muscle glucose transport protein concentrations and glycogen synthase activity.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92, 1623-1631. 

  10. Engdahl, J. H., Veldhuis, J. D. and Farrell, P. A. (1995). Altered pulsatile insulin secretion associated with endurance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9, 1977-1985. 

  11. Erikson, J., Tuoninen, J., Valle, T., Sundberg, S., Sovijarvi, A., Lindholm, H., Tuomilehto, J. and Koivisto, V. (1998). Aerobic endurance exercise of circuit type resistance training for individual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Hormone and Metabolic Research, 30, 37-41. 

  12. Galbo. H. (1981). Glucose induced decrease in glucagon and epinephrine responses to exercise in m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42-44. 

  13. Gutin, B., Ramsey, L., Barbeau, P., Cannady, W., Ferguson, M., Litaker, M., and Owens, S. (1999). Plasma leptin concentration in obese children : Changes during 4-mo periods with and without physical training.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9, 388-394. 

  14. Halle, M., Berg, A., Garwers, U., Grathwohl, D., Knisel, W. and Keul, J. (1999). Concurrent reductions of serum leptin and lipids during weight loss in obese men with type II diabete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77, 277-282. 

  15. Han, Y. O., Oh, J. W. and Kang, J. H. (2009).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 on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8, 111-122. 

  16. ckey, M. S., Considine, R. V., Isarael, R. G., Mahar, T. L., McCammon, M. R., Tyndall, G. L., Houmard, J. A. and Caro, J. F. (1996). Leptin is related to body fat content in male distance runner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71, 938. 

  17. Hickey, M. S., Houmard, J. A., Considine. R. V., Tyndural, G. V. and Midgette, J. B. (1997). Genderdependant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serum leptin levels in human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72, E562-566. 

  18. Hill, J. O. and Peters, J. C. (1998). Environmental contributions to the obesity epidemic. Science, 280, 1371-1374. 

  19. Houmard, J. A., Cox, J. H., MacLean, P. S. and Barakat, H. A. (2000). Effect of short-term exercise training on leptin and insulin action. Metabolism, 49, 858-861. 

  20. Ishii, T., Yamakita, T., Yamagami, K., Yamamoto, T., Miyamoto, M. and Kawasaki, K. (2001).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serum leptin level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abolism, 50, 1136-1140. 

  21. Kieffer, T. J., Heller, R. S. and Habener, J. F. (1996). Leptin receptors expressed on pancreatic $\beta$ -cell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24, 522-527. 

  22. Kim, D. Y. and Kim, T. Y. (2004). The study on change i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ype of exercise in obese boys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Growth & Development, 12, 101-113. 

  23. Kim, H. J. and Ko, K. J. (2007). The effects of short-term or long-term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eptin concentration in overweight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 669-679. 

  24. Kim, J. K., Shin, Y. O. and Moon, H, W. (2007). Effects of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n plasma c-reactive protein, interleukin-6,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8, 1-9. 

  25. King, D. S., Staten, M. A., Koht, W. M., Dalsky, G. P., Elahi, D. and Holloszy, J. (1990). Insulin secretory sapacity in endurance trained and untrained youngmen.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259, 155-161. 

  26. Kwon, I. C., Oh, J. K., Shin, Y. O., Yoon, S. M., Lee, J. P., Kim, Y. J. and Kwon, K. W. (2002). The effects of aerobics and aerobics combined with circuit weigh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serum leptin and heart rate recovery in obese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1, 383-391. 

  27. Lee, K. S. and Kim, M. H. (2002).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on plasma leptin and insulin, glucose level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women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during band training. Exercise Science :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11, 131-143. 

  28. Lee, S. Y., Ma, S. Y. and Ch, G. Y. (2009). The effects of mat and field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661-672. 

  29. Rossner, S. (2001). Obesity through the ages of m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5, 529-533. 

  30. Sinha, M. K., Ohannesian, J. P., Heiman, M. L., Kriauciunas, A. and Stephens, T. W. (1996). Nocturnal rise of leptin in lean, obese and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subjects.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97, 1344-1347. 

  31. Terjung, R. (1981). Endocrine response to exercise. Sports, Science Review, 7, 153-180. 

  32. Weltman, A., Pritzlaff, C. J., Wideman, L., Considine, R. V. and Frtburg, D. A. (2000). Intensity of acute exercise does not affect serum leptin concentrations in young 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2, 1556-1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