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마초 및 메스암페타민 남용자들의 기질 및 성격 특성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Cannabis and Methamphetamine Abuser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19 no.2, 2012년, pp.99 - 105  

권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중독클리닉) ,  민정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최지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대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중독클리닉)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emperament and characteristics of cannabis and methamphetamine abusers for elucidating psycho-bi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ertain substance abuse. Methods : A total of 320 patients who registered in the 'Hepatitis C cohorts study of intravenous drug us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가장 많이 남용되고 있는 약물인 메스암페타민과 대마초를 각각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생물학적 지표를 추가한 대마초와 메스암페타민 사용에 있어서의 호르몬 및 유전적 특성 발현과 관련된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마초 및 메스암페타민 사용자 간의 기질과 성격 특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고, 이와 관련한 흡연과 음주 의존 정도 및 우울과 불안의 사회 심리적 임상 증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마초는 어떻게 신체에 작용하는가? 대마초(Cannabis)는 대뇌 피질, 해마, 소뇌, 기저핵에 있는 cannabinoid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체에 작용함으로써 메스꺼움이나 구토증상의 개선 및 진통의 효과 등 의학적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나 사고장애, 기억장애 및 운동 실조와 같은 증상도 야기할 수도 있다. 특히 중뇌-변연계(mesolimbic) dopamine 경로에 있어서 내인성 아편양 물질 체계(endogenous opioid system) 조절기능이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메스암페타민은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농도를 어떻게 증가시키는가? 각 물질의 생물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은 신경연접 전 신경말단에서 단기아민 신경전달 물질 분비를 증가시켜 연접틈새(synaptic cleft) 내의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농도를 모두 증가시키며, 특히 측중격핵의 dopamine 분비 증가가 주로 강화작용과 기분 고양 효과를 일으키는 정신자극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이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문제들은 정신병적 증상이나 심한 불안증, 우울감 이외에도 진전, 기억력 감소, 불면, 충동성 및 폭력성의 증가 등 다양하다.
메스암페타민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각 물질의 생물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은 신경연접 전 신경말단에서 단기아민 신경전달 물질 분비를 증가시켜 연접틈새(synaptic cleft) 내의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농도를 모두 증가시키며, 특히 측중격핵의 dopamine 분비 증가가 주로 강화작용과 기분 고양 효과를 일으키는 정신자극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이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문제들은 정신병적 증상이나 심한 불안증, 우울감 이외에도 진전, 기억력 감소, 불면, 충동성 및 폭력성의 증가 등 다양하다.19)이의 유전학적 특성 발현과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를 통해 메스암페타민 남용은 COMT, DRD4, GABRA1, 의존은 ARRB2, BDNF, CYP2D6, GL YT1, GST M1, GSTP1, PDYN, PICK1, SLC22A3, 남용 및 의존 공동에서 AKT1, GABRG2 유전자가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UNDOC. World drug report. Geneva: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2009. 

  2. Supreme Prosecutors of Republic of Korea. The white paper on drug crime. Seoul: Supreme Prosecutors of Republic of Korea;2011. 

  3. Lee JH, Kwon DH, Lee BD, Kim YT, Joe SH, Lee YM, et al. Different personality profiles between methamphetamine abusers with psychotic features and without psychotic features. J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0;14:29-35. 

  4. Cloninger CR, Przybeck TR, Svrakic DM. The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U.S. normative data. Psychol Rep 1991;69:1047-1057. 

  5. Svrakic DM, Whitehead C, Przybeck TR, Cloninger CR. Differential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rders by the seven-factor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 Gen Psychiatry 1993;50991-999. 

  6. Konuma K, Hirai S, Kasahara M. Use and abuse of amphetamines in Japan, In: Segal DS, editor. Amphetamine and Its Analogs. San Diego: Academic Press;1994. p.459-478. 

  7. Cloninger CR, Svrakic DM, Przybeck TR. A psychobiological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 Gen Psychiatry 1993;50:975-990. 

  8. Koh SH, Lim KY, Cho SM, Chung YK. The comparison study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subjects with panic disord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4;43:706-711. 

  9. Han DH, Yoon SJ, Sung YH, Lee YS, Kee BS, Lyoo IK, et al. A preliminary study: novelty seeking, frontal executive function, and dopamine receptor (D2) TaqI A gene polymorphism in patients with methamphetamine dependence. Compr Psychiatry 2008;49:387-392. 

  10. Hosak L, Libiger J, Cizek J, Beranek M, Cermakova E. The COMT Val158Met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novelty seeking in Czech methamphetamine abusers: preliminary results. Neuro Endocrinol Lett 2006;27:799-802. 

  11. Kim MY, Park JM, Yoon GI, Rue, TG, Gwon DH, Kim SG, et al. Novelty seeking in substance use disorder. J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1;7:112-119. 

  12. Hosak L, Preiss M, Halir M, Cermakova E, Csemy L.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personality profile in metamphetamine abusers: a controlled study. Eur Psychiatry 2004;19:193-195. 

  13. Evren C, Evren B, Yancar C, Erkiran M. Temperament and character model of personality profile of alcohol- and drug-dependent inpatients. Compr Psychiatry 2007;48:283-288. 

  14. Allnutt S, Wedgwood L, Wilhelm K, Butler T. Temperament, substance use and psychopathology in a prisoner population: implications for treatment. Aust N Z J Psychiatry 2008;42:969-975. 

  15. Le Bon O, Basiaux P, Streel E, Tecco J, Hanak C, Hansenne M, et al. Personality profile and drug of choice; a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loninger's TCI on heroin addicts, alcoholics, and a random population group. Drug Alcohol Depend 2004;73:175-182. 

  16. Hur JW, Kim YK.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and personality dimensions betwee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normal control. Psychiatry Investig 2009;6:150-155. 

  17. Cloninger CR, Svrakic DM. Integrative psychobiological approach to psychiatric assessment and treatment. Psychiatry 1997;60:120-141. 

  18. Jaffe JH, Ling W, Rawson RA. Stimulants: amphetamine (or amphetamine-like)-related disorders. In: Sadock BJ, Sadock VA, editors. Kaplan & Sadock'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5. p.1188-1200. 

  19. Zweben JE, Cohen JB, Christian D, Galloway GP, Salinardi M, Parent D, et al. Psychiatric symptoms in methamphetamine users. Am J Addict 2004;13:181-190. 

  20. Bousman CA, Glatt SJ, Everall IP, Tsuang MT. Genetic association studies of methamphetamine use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synthesis.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9;150B:1025-1049. 

  21. Ujike H, Kishimoto M, Okahisa Y, Kodama M, Takaki M, Inada T, et al. Association Between 5HT1b Receptor Gene and Methamphetamine Dependence. Curr Neuropharmacol 2011;9:163-168. 

  22. Tanda G, Pontieri FE, Di Chiara G. Cannabinoid and heroin activation of mesolimbic dopamine transmission by a common mu1 opioid receptor mechanism. Science 1997;276:2048-2050. 

  23. Budney AJ, Hughes JR. The cannabis withdrawal syndrome. Curr Opin Psychiatry 2006;19:233-238. 

  24. Van Laere K, Goffin K, Bormans G, Casteels C, Mortelmans L, de Hoon J, et al. Relationship of type 1 cannabinoid receptor availability in the human brain to novelty-seeking temperament. Arch Gen Psychiatry 2009;66:196-204. 

  25. Agrawal A, Wetherill L, Dick DM, Xuei X, Hinrichs A, Hesselbrock V, et al. Evidence for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s in the cannabinoid receptor 1 (CNR1) gene and cannabis dependence. Am J Med Genet B Neuropsychiatr Genet 2009;150B:736-7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