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불안 및 우울에 대한 주관적 설문평가 지표와 맥파 신호 기반의 심박변이도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Anxiety, Depressiveness and Parametors of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Photoplethysmography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5 no.3, 2012년, pp.345 - 354  

이충기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닉스연구단) ,  유선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불안과 우울 상태를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관적 설문 평가지(Beck의 우울척도, 상태-특성불안척도)의 지표 값과 심박 변이도파라미터 간의 상호-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적 설문평가지의 지표 값을 대신 할 수 있는 심박 변이도 파라미터를 선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심박 변이도 측정 시, 휴식 및 업무 상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였고 각 유도된 상태에서의 심박 변이도를 이용하여 추출된 생리학적 특징값들과 주관적 설문 평가지의 지표 값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적 감성지표를 대체 할 수 있는 객관화된 정량적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실은 심박 변이도의 비 정규화 파라미터가 상태불안척도와 우울척도보다 특성불안척도와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는 점이다. 반면, 업무 상태와 휴식 상태의 비율인 정규화 파라미터 m_RRI(MeanRR interval), SDNN(Standard deviation of all NN intervals), LF(Low-Frequency), LF/HF(LF/HF ratio)는 특성불안척도, 우울척도보다 상태불안척도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 중, LF/HF는 상태불안뿐만 아니라, 특성불안을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인 생리학적 파라미터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alternative parameters of the HRV so as to minimize the subjective errors by STAI and BDI, could be have two types of significant correlation levels depending on normalized method. Particularly, the LF/HF presented as the quantitative physiological parameter th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toney, 2000)를 토대로 하여 심리적인 우울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지로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설문지를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정상 성인의 불안 상태를 측정 하는 도구로 제작된 설문지로 임상집단의 불안측정에도 유용한 것으로 밝혀져 있는 상태-특성 불안 척도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설문지를 통해 우울과 불안상태를 평가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여러 외부요인에 의한 우울과 상태 불안뿐만 아니라 인간의 기질적인 불안을 나타내는 특성 불안을 반영할 수 있는 HRV 파라미터를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태불안, 특성불안, 우울정도를 나타내는 주관적 설문 평가지의 수치와 위의 다섯 가지 상태의 HRV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다양한 정신 질환의 생리학적 연구방법 및 정상인의 상태불안과 우울뿐만 아니라 기질적인 불안에 대한 정신적 건강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별된 심박 변이도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23점)으로 한국판 연구에서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 채점 결과는 특수한 상황의 스트레스에 대한 불안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두 번째로 ‘특성불안척도(STAI-X-2)’는 개인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정서적 불안 특성을 평가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자율신경계의 활동을 반영하는 HRV 파라미터들과 불안 및 우울상태를 반영하는 설문평가 수치와의 상호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정상인을 대상으로 PPG를 측정하였고 위에서 설명한 특징 추출방법을 통해 얻은 HRV 파라미터들과 주관적-설문 평가지(STAI-X-1, STAI-X-2, BDI)간의 피어슨 (Pearson)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은 두 개 이상의 변수들 간에 어떠한 연관성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pearson 상관계수(R)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관계가 강해지고, -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관계가 강해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공통적으로 LF/HF를 유의한 HRV 파라미터로 선택하였고 이 값이 증가하면 교감신경계로 편향되었음을 의미하며 불안하고 심리적으로 편안하지 못한 상태인 높은 주관적 설문 평가지 수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위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하지만 모든 HRV 파라미터 값이 교감신경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해석은 무리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각 상태에 따른 유의한 HRV 파라미터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중 LF/HF는 5가지 상태에서 모든 설문 평가지표와 공통적으로 유의한 HRV 파라미터로 나타났고 LF는 위 5가지 상태에서 불안을 반영하는 STAI-X-1, STAI-X-2 설문 평가 지표 값들과 공통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HRV 파라미터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HRV를 기반으로 한 감성상태를 반영하는 주관적 설문 평가지표를 정량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자율신경계 요소를 찾는 것과 동시에 인간의 심리상태(우울, 불안)가 어떠한 HRV 파라미터로써 잘 대변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을 찾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PPG신호를 획득하였고 추출된 HRV 파라미터 특징 값과 불안 및 우울상태를 반영하는 주관적 설문 평가지(BDI, STAI-X-1, STAI-X-2)간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eck의 우울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Beck(1967)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건강보호전문가와 조사자들에 의한 평가도구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기 보고식으로 실시하며 점수의 범위는 0~63점으로 우울하지 않은 상태(0~9점), 가벼운 우울 상태(10~15점), 중한 우울상태(15~23점), 심한 우울 상태(24~63점)로 우울상태를 해석한다. 이영호와 송종용(1991)에 의한 한국판 연구에서는 우울환자 집단(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을 때의 평균점수는 23.
심박 변이도란 무엇인가? 이와 같이 자율신경계의 통제 하에 민감하게 반응 하는 심박의 변화는 자율신경계의 활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비 침습적인 도구로 사용되며, Axel Bauer 등(2008)은 이러한 심박의 변화를 일정 시간 동안 기록하고 수치화된 값으로 계산하여 나타낸 것을 심박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라 정의하고 있다. 주로 HRV 검출 시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가 이용되는데 정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반면 가슴과 손, 발 등의 여러 신체 부위에 전극을 부착해야하기 때문에 신호 측정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맥파가 ECG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호측정이 간편한 이유는 무엇인가? Toshikazu Shinba 등(2008)의 연구를 개선하기 위하여 HRV 신호측정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고려한 공학적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맥파 (photoplethysmography, PPG)는 손가락에 센서 하나만 부착시켜 측정하기 때문에 ECG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호측정이 간편하여 u-health 분야에서도 응용되고 있으며 심장의 수축, 확장과 동시에 발생하는 심박동 현상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ECG와 같이 자율신경계를 통해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는 신호로 이용되고 있다(이현민, 김동준,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