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기 우울장애의 유병률 및 역학적 특성 : 자가평가 연구
The Prevalence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Depressive Disorder in South Korea : Self Reported Study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3 no.3, 2012년, pp.134 - 142  

최혜원 (마음누리 클리닉) ,  이문수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  임명호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  권호장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  하미나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  유승진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  김은정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백기청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Childhood depressive disorder one of the most prevalent chronic health conditions affecting school aged childr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depressive disorder in Korea. Methods : In this study, a survey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아기 우울장애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위험요인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성별은 소아기 우울장애에서 대표적인 위험요인이다.
  • 소아기 우울장애는 소아정신과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단위 유병률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소아기 우울장애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9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약 50,000명의 초등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천안시의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083명의 초등학생이 참여하였다.
  • 아직 우울장애에 대한 대규모로 이루어진 구체적인 유병률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따라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2009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약 50,000명의 초등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천안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우울장애에 대한 대단위 유병률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함께 역학 특성 및 주요 동반질환, 위험요인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소아기 우울증은 다른 정신질환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불안장애, 품행장애, ADHD, 물질남용 등의 다른 정신질환이 자주 동반되며, 대개는 불안 장애, 품행장애가 선행된 후에 우울장애가 나타나고 우울장애의 이환 이후에는 물질남용이 동반되는 양상을 보인다.6)이렇게 동반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서는 좀 더 높은 유병률을 나타낸다. 우울한 소아청소년의 40-70%가 다른 정신질환을 동반하며, 20-50%가 두 개 이상의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우울장애 증상은 어떤 경우가 많아지는가? DSM-III-R 및 DSMIV에서도 임상 진단기준에 있어서는 소아기 우울장애가 성인기 우울 장애와 유사하지만 연령에 따른 발달학적인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였다.1) 우울 증상은 발달학적인 차이를 보이는데 Roberts 등2) 은 사춘기 이전에는 우울한 모습, 신체 증상 호소, 정신운동 초조, 이별불안, 공포증, 환각 등이 우울장애의 주된 증상이며 청소년기가 되면 무쾌감증과 희망 없음, 과수면, 체중변화, 수면장애, 식욕 저하 등과 같은 식물 증상들, 술·약물 남용, 자살시도, 공격적 행동, 그리고 학교문제 등이 많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소아청소년 우울장애는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만성적인 경과를 밟으며, 가족 내의 기분 장애 환자가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
사춘기 이전 우울장애의 주된 증상은 무엇인가? DSM-III-R 및 DSMIV에서도 임상 진단기준에 있어서는 소아기 우울장애가 성인기 우울 장애와 유사하지만 연령에 따른 발달학적인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였다.1) 우울 증상은 발달학적인 차이를 보이는데 Roberts 등2) 은 사춘기 이전에는 우울한 모습, 신체 증상 호소, 정신운동 초조, 이별불안, 공포증, 환각 등이 우울장애의 주된 증상이며 청소년기가 되면 무쾌감증과 희망 없음, 과수면, 체중변화, 수면장애, 식욕 저하 등과 같은 식물 증상들, 술·약물 남용, 자살시도, 공격적 행동, 그리고 학교문제 등이 많아진다고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소아청소년 우울장애는 발병 연령이 어릴수록 만성적인 경과를 밟으며, 가족 내의 기분 장애 환자가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아 우울·양극성 장애의 가족력이 있을 때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소아 우울·양극성 장애는 1차 친척 평생 발병 위험도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에서 보다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높은 가족력의 수반은 소아 청소년 기분장애에서도 성인에서와 같이 뚜렷한 유전적인 소인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3) 우울한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우울장애로 이환 될 확률이 정상군에 비해서 3배 높으며, 평생 유병률은 15-45%에 달한다. 또한 가족 유병률이 있는 아이는 우울증의 발달위험뿐만 아니라 불안장애, 행동장애의 이환율도 증가하므로,4,5) 소아기 우울장애에서 가족력이 있다면 조기에 발견된 경한 증상의 우울장애라고 할지라도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DSM-I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4. 

  2. Roberts RE, Lewinsohn PM, Seeley JR. Symptoms of DSM-III-R major depression in adolescence: evidence from an epidemiological surve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1608-1617. 

  3. Geller B, Luby J. Child and adolescent bipolar disorder: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1168-1176. 

  4. Hammen C, Burge D, Burney E, Adrian C. Longitudinal study of diagnoses in children of women with unipolar and bipolar affective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1990;47:1112-1117. 

  5. Orvaschel H, Walsh-Allis G, Ye WJ. Psychopathology in children of parents with recurrent depression. J Abnorm Child Psychol 1988; 16:17-28. 

  6. Biederman J, Faraone S, Mick E, Lelon E. Psychiatric comorbidity among referred juveniles with major depression: fact or artifact?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579-590. 

  7. Rao U, Ryan ND, Birmaher B, Dahl RE, Williamson DE, Kaufman J, et al. Unipolar depression in adolescents: clinical outcome in adulthood.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566-578. 

  8. Burgin 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opathology 1986;19 Suppl 2:148-155. 

  9. Costello EJ, Mustillo S, Erkanli A, Keeler G, Angold A. Prevalence and development of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rch Gen Psychiatry 2003;60:837-844. 

  10. Zalsman G, Brent DA, Weersing VR. Depressive disorder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 overview: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 and risk factors. Child Adolesc Psychiatr Clin N Am 2006; 15:827-841, vii. 

  11. Nobile M, Cataldo GM, Marino C, Molteni M. Diagnosis and treatment of dysthym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NS Drugs 2003; 17:927-946. 

  12. Kang KM. An overview and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children in depression. J Child Adolesc Ment Health Med 2004;5: 3-11. 

  13.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 Bull 1985;21:995-998. 

  14.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6. 

  15. Kim YS, So YK, Noh JS, Choi NK, Kim SJ, Koh YJ. Normative data on the Korean ADHD Rating Scales (K-ARS) for parents and teacher.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3;42:352-359. 

  16. Ehlers S, Gillberg C, Wing L. A screening questionnaire for Asperger syndrome and other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school age children. J Autism Dev Disord 1999;29:129-141. 

  17. Lee JS, Cho HJ. Validation of Autism Spectrum Screening Questionnaire (ASSQ) and the relationship among ASSQ, theory of mind,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skills. Korean J Dev Psychol 2009;22:93-114. 

  18. Walters AS. Toward a better definition of the restless legs syndrome. The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 Mov Disord 1995;10:634-642. 

  19. Birmaher B, Ryan ND, Williamson DE, Brent DA, Kaufman J, Dahl RE, et al.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a review of the past 10 years. Part I.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1427-1439. 

  20. Sanford M, Szatmari P, Spinner M, Munroe-Blum H, Jamieson E, Walsh C, et al. Predicting the one-year course of adolescent major depressio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34:1618-1628. 

  21. McConville BJ, Bruce RT. Depressive illnes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current concepts. Can J Psychiatry 1985;30: 119-129. 

  22. Brent DA, Perper JA, Goldstein CE, Kolko DJ, Allan MJ, Allman CJ, et al.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 comparison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with suicidal inpatients. Arch Gen Psychiatry 1988;45:581-588. 

  23. Puig-Antich J, Goetz D, Davies M, Kaplan T, Davies S, Ostrow L, et al. A controlled family history study of prepubertal major depressive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1989;46:406-418. 

  24. Angold A, Costello EJ, Erkanli A, Worthman CM. Pubertal changes in hormone levels and depression in girls. Psychol Med 1999;29: 1043-1053. 

  25. Hariri AR, Mattay VS, Tessitore A, Kolachana B, Fera F, Goldman D, et al. Serotonin transporter genetic variation and the response of the human amygdala. Science 2002;297:400-403. 

  26. Warner V, Weissman MM, Mufson L, Wickramaratne PJ. Grandparents, parents, and grandchildren at high risk for depression: a three-generation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 38:289-296. 

  27. Hammen C, Shih JH, Brennan PA.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depression: test of an interpersonal stress model in a community sample. J Consult Clin Psychol 2004;72:511-522. 

  28. Pine DS, Cohen P, Brook J. Adolescent fear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Biol Psychiatry 2001;50:721-7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