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장애 청소년의 위험행동 유형과 자살시도의 관련성
Risky Behavior Subtypes and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ts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6 no.3, 2015년, pp.149 - 158  

김란 (국립서울병원) ,  권호인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이영호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육기환 (차의과대학교 분당 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송정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민아 (마음과 마음 정신과 의원) ,  홍현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isky behavior subtypes in adolescents with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subtypes and suicide attempt. Methods : Ninety adolescents who met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criteria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rugham 등32) 은 우울장애가 있다하더라도 모두가 자살을 하는 것은 아니므로, 추적관찰을 통해서 우울장애를 이루는 증상 중에서 자살시도와 관계가 있는 증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기 사춘기 청소년에서는 자살생각 및 비자살적 자해가 자살시도와 관련 있었으며 후기 사춘기 청소년에는 죽음에 대한 생각, 희망없음, 집중력 저하, 중기 수면장애가 자살행동과 관련있었고, 15세까지의 무가치감이 후반기 청소년 자살시도의 유의미한 예측인자였으며 우울장애 진단력도 자살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 자살시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성별, SI-4, SI-5 변인을 군집 유형과 함께 공변인으로 투입 하였다. 군집 유형 중 비위험행동 유형을 참조로 대비를 주어, 비행행동과 비자살적 자해 유형이 비위험행동 유형에 비해 자살시도에 대한 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자살시도 및 자살로 인한 사망 시점과 근접해서 나타나며,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네 가지 위험행동을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 심리사회적 특성 및 자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각 위험행동 유형이 독립적으로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우울장애 청소년이 자살시도에 이르게 되는 잠재적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 모형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 아동기 학대, 몸싸움 등의 신체 고통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 및 도둑질, 위험한 성생활, 약물 복용 등 충동적이고 자극적인 행동 역시 자살 잠재력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이 두가지 다른 위험행동을 통해 자살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는 경로를 제안하고 있다. 비행행동 유형으로 대변되는 충동적인 청소년은 음주, 흡연,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통해 자살 잠재력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며, 비자살적 자해행동 유형은 어려서 부터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받아 온 청소년, 특히 여학생은 심리적 고통의 감소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행동을 하게 되며, 폭력에 노출된 경험과 자해행동을 통하여 자살 잠재력을 습득할 가능성이 있다.
  • 본 연구는 자살시도와 관련된 위험행동이 우울증 청소년에게서 어떻게 군집화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위험행동의 군집 유형이 자살시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지 탐색하였다.
  • 네 가지 위험행동을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 심리사회적 특성 및 자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각 위험행동 유형이 독립적으로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우울장애 청소년이 자살시도에 이르게 되는 잠재적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에서는 우울증을 진단받은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위험행동 중, 자살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되는 비자살적 자해, 흡연과 음주, 인터넷 자살 검색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비자살적 자해, 흡연과 음주, 인터넷 자살 검색은 모두 우울증 진단군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위험행동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 혹은 위험행동으로 인한 사고사 유형은 무엇인가? Sankey와 Lawrence25)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살 혹은 위험행동으로 인한 사고사를 조사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군은 지속적으로 가정, 학교 또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던 군이라 오랜 기간 동안 자살과정이 진행되어오면서 사망 이전에 자해행동을 보였다. 두 번째 군은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군이며 상대적으로 짧은 자살 과정을 겪었다. 세 번째 군은 가장 적은 빈도로 구성되었으나 비교적 좋은 적응을 보이다가 급성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자살을 선택한 군이다. 즉, 청소년들의 반복적인 자해행동, 약물 중독, 관계의 문제, 정신병리가 중요한 위험인자임이 시사되었다.
청소년 우울증상으로 나타나는 행동은 무엇인가? 청소년 우울증상은 반항 및 폭력행동, 비행행동 등 다양한 위험행동으로 나타나므로 같은 진단군이라 하더라도 이질적인 집단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우울 청소년에게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위험행동은 상당부분 자살의 위험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다.
자살의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이제까지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자살의 위험요인을 규명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가족관계, 대인관계, 정신과적 요소 등이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중 우울증은 가장 강력한 위험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2001-2013.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3 Oct 20]. Available from URL: http://www.kostat.go.kr 

  2. Jung WC. Suicide rate in adolescents have increased of 57.2%. Seoul: Korean Data News [updated 2013 Sep 10; cited 2013 Oct 20]. Available from URL: http://www.datanews.co.kr 

  3. Bridge JA, Goldstein TR, Brent DA.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6;47:372-394 

  4. Rah HJ. Factors influencing the impulse of suicide in adolescence [dissertation]. Seoul: Konkuk Univ.;2006. 

  5. Gibbons RD, Hur K, Bhaumik DK, Mann JJ.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depressant medication use and rate of suicide. Arch Gen Psychiatry 2005;62:165-172. 

  6. Muehlenkamp JJ, Gutierrez PM. Risk for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who engage in non-suicidal self-injury. Arch Suicide Res 2007;11:69-82. 

  7. Harris KM, McLean JP, Sheffield J. Examining suicide-risk individuals who go online for suicide-related purposes. Arch Suicide Res 2009;13:264-276. 

  8. Bossarte RM, Swahn MH. The associations between early alcohol use and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major depression. Addict Behav 2011;36:532-535. 

  9. Yi S, Yi Y, Jung HS. [Factors on the suicidal attempt by gend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J Korean Acad Nurs 2011;41:652-662. 

  10. Posner K, Brown GK, Stanley B, Brent DA, Yershova KV, Oquendo MA, et al. The Columbia-Suicide Severity Rating Scale: initial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findings from three multisite studies with adolescents and adults. Am J Psychiatry 2011;168:1266-1277. 

  11. Reynolds CR, Richmond BO. What I Think and Feel: a revised measure of Children's Manifest Anxiety. J Abnorm Child Psychol 1997;25:15-20. 

  12. Choi JS, Cho SC.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691-702. 

  13. Neary A, Joseph S. Pear victimiz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selfconcept and depression among school children. Pers Individ Dif 1994;16:183-186. 

  14. Lee CJ, Kwak KJ. Self-concept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bullying types. Korean J Psych Dev 2000;13:65-80. 

  15. Callaghan S, Joseph S. Self-concept and peer victimization among school children. Pers Individ Dif 1995;18:161-163. 

  16. Park MR. The effects of emotional abuse by mother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tendency of interpersonal relations [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2002. 

  17. Koh SH. Studies on defining child abuse in Korea and the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mother and child toward the child abuse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1992. 

  18. Chae HJ. The parents, children and professional's perception on the concept of child abuse [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1993. 

  19. Kwon JY, Ahn DH, Lee JS. The effects of physical abuse to the emotions and behaviors in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2;3:73-83. 

  20. Straus MA.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scale. J Marriage Fam 1979;36:13-29. 

  21. Kaufman L, Rousseeuw PJ. Finding groups in data: an introduction to cluster analysis. New York: Wiley;1990.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Chungbuk: KCDC;2012 [cited 2013 Feb 27]. Available from URL: http://yhs.cdc.go.kr 

  23. Tuisku V, Kiviruusu O, Pelkonen M, Karlsson L, Strandholm T, Marttunen M. Depressed adolescents as young adults -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 and non-suicidal self-injury during an 8-year follow-up. J Affect Disord 2014;152-154:313-319. 

  24. Shaffer D. Suicide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J Child Psychol Psychiatry 1974;15:275-291. 

  25. Sankey M, Lawrence R. Brief report: classification of adolescent suicide and risk-taking deaths. J Adolesc 2005;28:781-785. 

  26. Bukstein OG, Brent DA, Perper JA, Moritz G, Baugher M, Schweers J, et al. Risk factors for completed suicide among adolescents with a lifetime history of substance abuse: a case-control study. Acta Psychiatr Scand 1993;88:403-408. 

  27. Renaud J, Berlim MT, McGirr A, Tousignant M, Turecki G. Current psychiatric morbidity, aggression/impulsivity, and personality dimensions in child and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J Affect Disord 2008;105:221-228. 

  28. Nasser EH, Overholser JC. Assessing varying degrees of lethality in depressed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Acta Psychiatr Scand 1999;99:423-431. 

  29. Kingsbury S, Hawton K, Steinhardt K, James A. Do adolescents who take overdoses have specif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 comparative study with psychiatric and community control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9;38:1125-1131. 

  30. Nock MK, Prinstein MJ. Contextual features and behavioral functions of self-mutilation among adolescents. J Abnorm Psychol 2005;114:140-146. 

  31. Joiner TE, Van Orden KA.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indicates specific and crucial psychotherapeutic targets. Int J Cogn Ther 2008;1:80-89. 

  32. Nrugham L, Larsson B, Sund AM. Specific depressive symptoms and disorders as associates and predictors of suicidal acts across adolescence. J Affect Disord 2008;111:83-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