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과제 중심 정보문제 해결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Team Project Activiti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9 no.3 = no.85, 2012년, pp.215 - 234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학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실천하는 방법으로서 팀 기반 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대학생들의 팀 과제에 대한 선호도는 매우 낮은 편이어서, 팀 과제 수행시의 정보문제 해결과정을 분석하여 대학의 정보문해 교육을 통해서 주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과제 중심 정보문제 해결과정을 두 차례의 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결과 팀 과제 수행시 과제정의, 적합정보 판단, 결과와 과정의 평가, 팀원 간의 책임의 부재, 통합정리가 주요한 어려움으로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정보문해 교육 내용에 반영할 권장사항으로서 다양한 정보원의 소개와 활용법 교육, 팀원 간의 커뮤니케이션 문제 해결, 정보의 신뢰성 판단 기준에 대한 교육, 과제 평가의 기준 및 방법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team based learning has emerged as the method for conducting the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College students, however, have the low preference toward team projects. Thu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overcome t...

주제어

참고문헌 (12)

  1. 고영만 (2004).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67-87.(Ko, Young Man (2004).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4), 67-87.) 

  2. 고영만, 오삼균 (2000). 문제극복모형의 적합성과 정보화교육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7(4), 7-26.(Ko, Young Man, & Oh, Sam Kyun (2000).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blem-solving models and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7(4), 7-26.) 

  3. 김순희 (2006). 디자인분야 대학생의 정보문해 교육을 위한 핵심 정보문해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1), 5-39.(Kim, Sunhi (2006). A study on an analysis of core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ie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design discip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1), 5-39.) 

  4. 박진수 (2012). 대학생들이 말하는 조별과제의 득과 실. 서울: 대학내일20대연구소.(Park, Jin Soo (2012). The pros and cons of team projects for an undergraduate. Seoul: Daehaknaeil Research Laboratory for the Twenties.) 

  5. 오의경, 장혜란 (2005). 대학생의 정보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4), 207-231.(Oh, Eui Kyung, & Chang, Hye Rhan (2005). Information literacy: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4), 207-231.) 

  6. 이수상 (2007).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보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1), 85-103.(Lee, Soo Sang (2007). A survey research on information literacy level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85-103.) 

  7. 조용완, 이수상 (2010).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현황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1), 75-99.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1.075(Cho, Yong Wan, & Lee, Soo Sang (2010).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1), 75-99. http://dx.doi.org/10.4275/KSLIS.2010.44.1.075) 

  8. 조형정, 이영민 (2008).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 6(2), 27-42.(Cho, Hyung-jung, & Lee, Young-min (2008). Investigating conceptual framework on team-based learning for improving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6(2), 27-42.) 

  9. Fitzgerald, M. A. (1999). Evaluating information: An information literacy challenge.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2(July). Retrieved from http://www.ala.org/aasl/aaslpubsandjournals/slmrb/slmrcontents/volume21999/vol2fitzgerald 

  10. Michaelsen, L. K., & Sweet, M. (2009). Essential elements of team-based learning. In L.K. Michaelsen, M. Sweet, & D.X. Parmelee (Eds.), Team-based learning: Small group learning's next big step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16), San Francisco: Jossey-Bass. 

  11. Morner, C. J. (1993). A test of library research skills for education doctora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College, USA. 

  12. Neely, T. Y. (2000). Asp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Pennsylvani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