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을 위한 브라운필드의 건축기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영국 LDA, 미국 EPA와 BRA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wnfield's Pre-Design for the urban renewal - Focused on Comparisons of LDA & EPA, BRA -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2 no.3, 2012년, pp.61 - 67  

오준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design of brownfield's by comparing LDA, EPA, and BRA of UK and USA in terms of establish mainbody, brownfield information, development process, opening development information. Such analysis will generate important implic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4장에서는 2장에서 도출한 브라운필드 건축기획의 주체설정, 대지환경, 개발정보공유, 개발과정의 관점으로 영국과 미국의 브라운필드의 건축기획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분석된 양국의 건축기획 특성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브라운필드와 유휴지의 재생을 위한 건축기획의 방향과 수립을 위한 선행연구임을 밝혀 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라운필드의 건축기획 특성연구를 위한 개념적 정리와 영국과 미국의 대표기관의 업무와 정책의 비교위주로 하며 추후 연구에서는 사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외 상황에 맞는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의 제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 또 브라운필드의 도시재생을 위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와 구체적인 기획개념을 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특성과 우리나라의 브라운필드 개발·재생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을 위한 브라운필드의 건축기획을 위한 요소 중 주체설정, 대지환경, 개발정보 공유, 개발과정의 관점에서 브라운필드를 활발히 재생하는 영국과 미국의 담당기관들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브라운필드 건축기획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 브라운필드의 도시재생을 위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와 구체적인 기획개념을 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특성과 우리나라의 브라운필드 개발·재생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토지가 더 나은 용도로 바뀌면서 부지자체의 잠재성과 근접성을 충분히 실현할 수 있다. 3. 부지 주변의 토지이용을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라운필드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브라운필드의 특징은 오랫동안 부지는 비어 있었으며, 도시의 팽창으로 인하여 재활용의 요구가 높아지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브라운필드의 재생은 일반개발의 용지를 통한 도시설계와 차이가 있으며, 도시재생의 설계전략과도 다른 과정이 요구된다.
English Partnership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Regional Development Agency(RDA)의 런던 조직인 LDA는 2000년 7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운영되었으며 런던의 지속가능한 경제적 성장을 담당하였다. 또 다른 기관인 English Partnership(EP)는 도시재생사업에 민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저·미 이용지, 황폐지, 토양오염지의 개선 및 기반시설확충, 전략적 프로젝트에 대한 종합계획 수립 및 자문 조정의 역할 등을 한다.13)
건축기획이나 계획적 차원의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을 위한 브라운필드의 건축기획을 위한 요소 중 주체설정, 대지환경, 개발정보 공유, 개발과정의 관점에서 브라운필드를 활발히 재생하는 영국과 미국의 담당기관들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브라운필드 건축기획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 브라운필드의 도시재생을 위한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관리와 구체적인 기획개념을 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특성과 우리나라의 브라운필드 개발·재생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홀랜드, 커크우드, 골드 지음, 심우경 옮김, 브라운필드 재생기술, 대가, 2011 

  2. 이주형, 21세기 도시재생의 패러다임, 보성각, 2010 

  3. 오준걸, 김광현, 유휴 입체공간의 개념과 '공간재생' 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7권 제7호, 2011. 07. 

  4. 동재욱, 고인용, 이화룡, 건축개발 프로젝트 기획과정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 분석 활용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9호, 2006. 09. 

  5. 주정준, 보스톤 도시재개발과정에서 도시건축의 공공성을 확립하는 4가지 요소에 대하여, 건축, 2003. 04. 

  6. 박일우, 박영기, 건축기획의 개념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7권 제8호, 2001. 08. 

  7. 윤준기, 유도윤, 미국 Brownfields 재개발 프로젝트 소개, 삼성건설기술 2008 상반기 통권 59호, 2008. 06 

  8. AIA, The Architect's Handbook of Professional Practice, John Wiley & Sons, Inc., Fourteenth edition 2008. 

  9. Andrew Tallon,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Routledge, 2010 

  10. Paul Syms, Land, Development and Design, Wiley-Blackwell, 2nd edition, 2010 

  11. Tim Dixon.Micke Raco.Philip Catney.David N.Lerner, Sustainable Brownfield Regeneration, Blackwell Publishing, 2007 

  12. Thomas H.Russ, Redeveloping Brownfields, McGraw-Hill, 2000 

  13. London Devleopment Agency & Home Communities Agency, London Brownfield sites review stage 2, Good Practice Guidance, 2009. 

  14. Homes & Communities Agency, Previously-developed land that may be available for development, 2009. 

  15. English Partnerships, The Brownfield Guide, A practitioner's guide to land reuse in England, 2006. 10. 

  16. EPA, Anatomy of brownfields redevelopment, Brownfields solutions series, 2006. 10. 

  17. www.lda.gov.uk 

  18. www.bostonredevelopmentauthority.org 

  19. www.cityofboston.gov 

  20. www.londonbrownfieldsites.org 

  21. www.epa.gov/brownfields/ 

  22. www.homesandcommunities.co.u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