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후반(1955-1995) 인쇄매체에 나타난 색동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Saekdong in the late 20th Century on the magazin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2 no.6, 2012년, pp.154 - 164  

김여경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김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nizations of traditional Saekdong by analyzing the magazines from the 1955 to 1995. The application of Saekdong extended during the 1950s. Before, Saekdong was only used for children; however, women were wearing it during this period. With the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세기 이후에도 색동이 크게 유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미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색동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계에서 한국 복식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어 온 것은 무엇인가? 특히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디자인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패션계에서도 한국의 정체성을 담은 제품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색동은 한국 복식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어 왔다.
근대 이전에는 천을 이어서 색동을 만드는 목적이 무엇이었는가? 천을 이어서 색동을 만드는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었다. 근대 이전에는 의료의 경제적인 가치가 높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한 조각의 천이라도 재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색동이 주로 성인복보다는 아동복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에도 추측할 수 있다. 또, 절에서 양육하는 아이를 여염의 아이와 차이를 두기 위해 색동을 입혔다고도 하는데 이는 의복의 검박함을 강조하는 종교관에 따른 것으로 여겨진다.
고분 벽화를 보았을 때 색동은 어느 지역에서 유행했었는가? 사실 색동은 우리나라의 고구려 고분벽화뿐 아니라 동시대의 일본 다카마츠 고분[高松塚]벽화나 중국의 아스타나 고분벽화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당시 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유행했던 것이었다.1) 현재까지도 아시아의 여러 민족복식에 나타나고 있는 보편적인 복식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홍나영, 신혜성, 이은진 (2011),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파주: 교문사, p. 36. 

  2. 박상의 (1978), 색동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정현경 (1986), 색동옷의 시각적 반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영인, 강병희, 조희래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84-395. 

  5. 정경임, 박혜원, 조오순 (2002), 색동직물의 배색 선호도에 따른 이미지 연구, 생활과학연구, 6, pp. 49-59. 

  6. 조우현, 김미진 (2010), 동부아시아 민족복식 색동계보, 복식, 60(4), pp. 113-125. 

  7. 서옥경 (2009), 색동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3), pp. 153-160. 

  8. 김정희 (2003), 색동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윤주, 변정현, 황의숙 (2002), 색동의 이미지를 응용한 유아복 디자인 연구, 배화논총, 21, pp. 397-405. 

  10.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p. 3322. 

  11.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p. 1627. 

  12. 성승연 (1999), 색동의 현대적 표현을 위한 의상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13. 김정의 (2000), 방정환의 소년인권운동 재고, 역사와 실학, 14, p. 877. 

  14. 심연옥 (2002), 한국직물오천년, 서울: 고대직물연구소. p. 154. 

  15. 김정아 (2011), 개항기 이후 한국 아동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 

  16. 이명은 (2003),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2. 

  17. 담인복식미술관 (1999),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 개관기념도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168. 

  18. 국립민속박물관 (1993), 국립민속박물관, 서울: 신유, p. 154. 

  19. 고려대학교 박물관 (1990), 복식류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 70. 

  20. 김경실 (2003), 조선시대 궁중진연 복식, 서울: 경춘사, p. 106. 

  21. 금기숙, op. cit., p. 77. 

  2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0), 한국 전통 어린이복식,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81. 

  23. 정시화 (1983),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관한 연구, 조형논총, 3(1), pp. 69-72. 

  24. 조우현, 김미진 (2010), 동부아시아 민족복식 색동계보, 복식, 60(4), p. 122. 

  25. "우리집의 어린이 왕국" (1961. 5), 여원, p. 8. 

  26. "望鄕" (1958. 1), 여원, p. 31. 

  27. "第一回횃숀 콘테스트 入選作" (1958. 4), 여원, p. 37. 

  28. "新連載?家業半世紀 보신포목점" (1968. 1) 여원, p. 179. 

  29. "女人王國의 戴冠式날" (1968. 4), 여원, p. 262. 

  30.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4. 

  31. "어린이날 아가의 잔치" (1967. 5), 여원, p. 264. 

  32. "실크 판타지" (1967. 3), 여원, p. 19. 

  33. "한가위 韓服달맞이" (1979. 10), 여원, p. 223. 

  34. "이영희의 개량한복" (1987. 4), 멋, p. 68. 

  35. "사라지지 않는 한복문화" (1992. 2), 멋, p. 177. 

  36. "바래지 않는 한복의 멋" (1994. 2), 멋, p. 170. 

  37. "정초에 어울리는 한복" (1974. 1), 신여원, p. 65. 

  38. 상업은행 광고 (1982. 1), 여원, p. 220. 

  39. "황신엽의 개량한복" (1985. 5), 멋, p. 173. 

  40. "현대감각 살린 우리 의상" (1975. 5), 여원, p. 68. 

  41. "새마음 꽃이 되어" (1968. 1), 여원, p. 61. 

  42. "새아침 나들이" (1975. 1), 여원, p. 20. 

  43. "정초에 어울리는 한복" (1974. 1), 신여원, p. 63. 

  44. "연말연시 특선 한복 새해맞이" (1986. 12), 여원, p. 108. 

  45. "코오롱텍스" (1974. 12), 여원, p. 51. 

  46. "현대감각 살린 우리 의상" (1975. 5), 여원, p. 66. 

  47. "12월 Anniversary Calendar" (1989. 12), 여원, p. 515. 

  48. "꼬마의 사진첩" (1983. 1), 여원, p. 410. 

  49. 코오롱텍스 광고 (1974. 1), 신여원, p. 59. 

  50. "바래지 않는 한복의 멋" (1994. 2), 여원, p. 169. 

  51. "꼬마의 사진첩" (1984. 11), 여원, p. 448. 

  52. 세방전기 광고 (1977. 12), 여원, p. 57. 

  53. "겨울철 나들이 정장" (1984. 10), 멋, p. 189. 

  54. "패션으로 알린 '아, 대한민국'" (1985. 6), 멋, p. 21. 

  55. "해맑은 우리 색감" (1989. 9), 멋, p. 90. 

  56. "한복 웨딩드레스" (1984. 9), 멋, p. 20. 

  57. "주워다 키운 하늘의 白合" (1983. 7), 여원, p. 126. 

  58. 표지, (1974. 1), 여원. 

  59. "때때옷 잔치" (1986. 1), 여원, p. 296. 

  60. 코오롱텍스 광고 (1983. 12), 여원, p. 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