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변에서 찾은 우리 색동의 기원과 감성에 대한 고찰
The Origin and Emotion of Saekdong in Our Surrounding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1 no.1, 2018년, pp.99 - 114  

김지수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나영주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색동은 고대부터 사용해 온 우리 고유 원단이며 다양한 색사를 경사로 사용하여 동일간격 세로 줄무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도록 평직, 수자직으로 직조한 것이다. 본 연구는 고대의 색동이 어떻게 발생하였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논문 및 단행본, 학술지 등의 문헌자료, 박물관 자료, 신문과 사진 자료, 인터넷 검색 등을 이용하였으며 도자기, 금속공예, 무용 등 복합예술의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 고대문화의 연결고리를 고찰하였다. 또 조선족 자료와 일본의 아스카 문화 및 다카마스총의 고분벽화를 통해서 고구려, 백제의 흔적을 살펴 보았다. 색동은 즐거움, 기쁨, 경사, 하늘의 축복, 신령함, 바람, 풍작 등을 의미하며 우리 선조의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색동으로 나라와 가정의 경사와 즐거움, 기쁨의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좋은 일이 반복되고 지속되길 기원하는 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단아한 아름다움을 통해 질서, 평등, 조화를 상징한다. 셋째, 색동은 생명, 힘이며 신성한 존재로서 숭상된 하늘에 속한 신비스러운 새를 나타낸다. 넷째, 부와 풍요로서 비, 바람 또는 밭이랑을 상징한다. 조선족과 일본에 남아 있는 우리 한복과 색동의 경쾌하고 선명한 색사용을 통해 우리 선조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엿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ekdong is a unique Korean fabric that has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and it is woven with the plain or satin weave so that vertical stripes appear by various colored warp threads of equal spacing. Saekdong means pleasure, joy, serenity, heavenly blessing, spirituality, wind, and abundance, ex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색동이란? 색동은 고대부터 사용해 온 우리 고유 원단이며 다양한 색사를 경사로 사용하여 동일간격 세로 줄무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도록 평직, 수자직으로 직조한 것이다. 본 연구는 고대의 색동이 어떻게 발생하였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중세 초기까지 색의 사용은 어떠했는가? 색의 사용은 생활이 풍요롭고 안전하고 두루 화평할 때 크게 발전하며 널리 사용하게 된다. 그리스인들은 하늘을 흰색이나 황금색으로 표현했어도 청색으로 표현하는 일은 없었으며 고대인들은 색은 별로 중요하지 않게 여겼고, 중세초기 무렵까지 하양, 검정, 빨강의 3색이 지배적이었다(Pastoureau, 2002). 반면에 고대 이집트 벽화, 미이라 장식과 청금석 등 색을 일찍이 다채롭게 사용하였다.
민족을 상징하는 의복 문화가 표현하는 것은? 의복은 민족성과 문화를 가장 잘 반영하는 수단 중 하나이다. 민족을 상징하는 의복 문화는 전통 생활양식과 함께 민족의 고유한 정신세계, 가치관을 구체적으로 또 직접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의복 문화는 시대적 환경이나 조건들에 의해 변형되기도 하지만 변하지 않고 현재까지 보존되고 남아있는 요소도 분명히 있기 마련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Y. K. (2011). Korean culture and society education. Paju: Korea Science Information Publishing. 

  2. Chae, H. W. (2014). The world of aesthetics and the transmission of Korean dance. Korea Esthetics, 13(1), 167-219. 

  3. Choi, Y. J. (2001). An aesthetic study on Saekdong in Korean cost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4. Chung, J. S. (2001). Relations of 'Shan Hai Jing' myth and immortal tal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10, 33-46. 

  5. Covell, J. E. H. C., & Covell, A. C. (1984). Korean impact on Japanese culture: Japan's hidden history. Elizabeth, NJ: Hollym International Corporation. 

  6. Kyungwoon Museum. (2016). Do you know Joseon Cheol? Joseon carpet 'Cheol' transferred to Japan. Seoul: Author. 

  7. Geum, K. S. (1997). Korean traditional costume art. Paju: Youlhwadang Publishers. 

  8. Kang, I. W. (2015). Eurasian history travel. Seoul: Minumsa. 

  9. Kim, H. S.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ythmic characteristics of stripes of Korean and Japanese folk costumes.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2(2), 59-82. 

  10. Kim, J. H. (2006). (A) study on the plasticity of Saekdong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1. Kim, M. S. (2006). Adoption of the Seakdong to the catholic chasubl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Bucheon. 

  12. Lee, D. I., & B. K. Kim. (2006). Gojoseon was the ruler of the continent. Seoul: Sejong Publishing. 

  13. Lee, J. Y. (2006). The costumes of Asuka-Nara period of Japan based on the clothing law - Focusing on the ruling class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5), 523-529. 

  14. Lee, Y. H., & Shin, K. S. (2005). Rediscovery of Korean beauty. Seoul: Solbook. 

  15. Oh, I. S. (2008). A study on modern Korean painting focused on Saekdo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16. Park, S. H. (2011). The discovery of Gojoseon costume culture. Paju: Jisik-sanup Publishing. 

  17. Pastoureau, M. (2002). Blue: the history of a color, Paju: Hangilart. 

  18. Shim, B. K. (2014). Lost ancient history of Korea, recovered Gojoseon. Seoul: Barunhistory. 

  19. Shin, C. H. (2014). Choseonsangosa. Seoul: Sejong Publishing. 

  20. Sim, Y. O., & Min, G. Z. (1994). A study on the textiles of the age of Gojoseon, Booyeo and Goguryeo which were excavated in the east and north area of Chin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22, 61-70. 

  21. So, H. M., & Yoon, K. (2005). Research on color education. Seoul: Yonyoung Art Publishers. 

  22. Wang, X. D. (2012). Customs of tattoo in China. Asian Culture Studies, 27, 27-62. 

  23. Yoon, J. W. (2007). The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sword dancing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7), 84-97. 

  24. 安旭, 李泳 編著, 西藏藏族服飾 Tibetan constume and ornaments, 五洲傳播出版社, 2001, 北京 

  25. 週刊朝日百科, 皇室의 名?, 05/16, 04 正倉院 染織, 朝日新聞社, 1999. 東京.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