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 성향 척도 개발 및 소비성향 집단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반응의 차이
Differences in Advertising Responses and WOM Communication by Consumption Orienta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3, 2012년, pp.381 - 389  

김선숙 (대전대학교 패션디자인 & 비즈니스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a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from the aspect of new consumption orientation. Consumer preference on ads media, on-line ads media, and WOM usage were examined for new consumption orientation groups. This study was executed in a question survey format. A total of 182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 규명된 소비성향 유형 별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특성을 갖는 집단에 맞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반응에서는 패션 광고 매체 선호도, 온라인 광고 활용도, 구전 마케팅 활용도 등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과 소설네트워크 등에 따른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소비성향에서의 변화가 예측됨에 따라 새롭게 변화한 소비자 소비성향을 새로운 척도 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성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Holt, 1995; Kim, 1996)의 접근 방법과 유사하지만 최근의 환경을 반영할 수 있도록 척도를 구성하여 인터넷과 최근의 스마트 폰 등의 등장으로 좀더 용이하게 소셜네트워크의 구축하기가 가능해진 기술 환경 속에서 변화된 새로운 소비성향의 유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변화된 새로운 소비성향 척도를 개발해보고 유형화를 통해 소비성향 집단을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 하였다. 또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각 소비성향 유형 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았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반응에서는 광고 매체 선호도, 온라인 활용도, 구전 마케팅 활용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새롭게 규명된 소비성향 유형 집단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변화된 소비 환경을 반영하여 새로운 소비성향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을 파악하며, 구성된 소비성향 집단 유형에 따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목적에 맞는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과 소설네트워크 등에 따른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소비성향에서의 변화가 예측됨에 따라 새롭게 변화한 소비자 소비성향을 새로운 척도 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성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Holt, 1995; Kim, 1996)의 접근 방법과 유사하지만 최근의 환경을 반영할 수 있도록 척도를 구성하여 인터넷과 최근의 스마트 폰 등의 등장으로 좀더 용이하게 소셜네트워크의 구축하기가 가능해진 기술 환경 속에서 변화된 새로운 소비성향의 유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구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구전의 마케팅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소비성향 집단 유형 별 구전 활용도의 차이를 조사하여 효과적인 구전 마케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소비자 정보 활용과 대비되는 마케터주도 정보인 판매자 추천정보와의 각 소비성향 집단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 특히 최근의 스마트 폰의 등장은 소비자들이 좀 더 용이하게 소셜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해진 기술 환경 속에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소비성향을 선보이게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변화된 새로운 소비성향 척도를 개발해보고 유형화를 통해 소비성향 집단을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 하였다. 또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각 소비성향 유형 별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과 소설네트워크 등에 따른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소비성향에서의 변화가 예측됨에 따라 새롭게 변화한 소비자 소비성향을 새로운 척도 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소비성향은 소비자의 구매동기 및 사용방법과 사용 후 처분 방법 등 전반적인 소비활동을 지배하는 심리 및 행동상의 일정한 경향이다(Kim, 1996). 이제까지의 소비성향 관련 연구들을 살펴 보면, 대다수의 소비성향 연구들(Choi, 2003; Choi & Jang, 2010; Han & Kang, 2009; Jo & Kim, 2004; Kim, 2000; Kim, 2006; Lee, 2000; Lee, 2006)이 의복의 과시적 소비성향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과시소비란 지위상품을 고가의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려는 욕망에 의해 자극 받아 행해지는 것으로 제품의 경제적, 생리적 효용에서라기보다는 사회적으로 자극 받아 이루어진다 (Mason, 1984). 지금까지 이루어진 패션 상품의 과시소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im(2000)은 과시적 의복소비를 유명상표 의복구매, 수입의류구매, 모조유명상표 의복구매, 고가의복구매, 유행지향적 의복구매의 5가지 요인으로 나누었고, Lee(2000)는 브랜드 지향, 신분상징지향, 타인지향, 부의 표시 지향 등으로, Choi(2003)는 유명상표지향, 체면지향, 품질가치 지향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제시된 결과는 소비가 욕망만을 채우기 위한 활동으로 오인될 수 있는데, 소비란 단순히 욕망을 채우기 위하여 재화를 소모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구매뿐만 아니라 그것의 사용방법과 그에 따른 시간안배 그리고 원초적 목적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의 처분방법 등이 모두 포함되는 행위이다(Jae & Lee, 2005). Holt(1995)에 따르면, 소비패턴의 연구에서 소비의 구조를 물질소비에만 한정시키는 것이 아닌 소비자 행동분석 영역을 넓혀 인간상호관계까지 넓혀야 한다고 하였다. 이제까지의 과시적 소비에 집중된 소비성향 연구를 보다 폭넓게 인간상호관계까지 살펴볼 수 있는 틀로 확대 할 필요가 있다.
소비성향은 무엇인가? 소비성향은 소비자의 구매동기 및 사용방법과 사용 후 처분 방법 등 전반적인 소비활동을 지배하는 심리 및 행동상의 일정한 경향이다(Kim, 1996). 이제까지의 소비성향 관련 연구들을 살펴 보면, 대다수의 소비성향 연구들(Choi, 2003; Choi & Jang, 2010; Han & Kang, 2009; Jo & Kim, 2004; Kim, 2000; Kim, 2006; Lee, 2000; Lee, 2006)이 의복의 과시적 소비성향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소비자의 소비 스타일을 변화시킨 것은 무엇인가?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은 소비자의 소비 스타일을 변화시켰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 폰의 등장은 좀더 쉽게 소셜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할 수 있게 함에 따라 변화된 기술 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은 이전과는 다른 소비 행태를 선보이고 있다(Boyd & Elliso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K. H., HA, Y. W., & Park, H. S. (2004). Marketing. Seoul: Hakhyeunsa. 

  2.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3. Choi, J. W., & Jang, M. S. (2010). A study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purchasing motives, selection criteria, satisfaction of collaborated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4), 628-641. 

  4. Choi, S. H. (2003).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n the fashion luxury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209-218. 

  5. Han, S. H., & Kang, E. J. (2009). A study on consumption tendencies and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the adolescent consum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2), 139-153. 

  6. Holt, D.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1), 67-75. 

  7.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p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 of Arcasas, Fayetteville. 

  8. Jae, E. S., & Lee, S. J. (2005). Gender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propensity depending on golfers' choice criteria for golf-wear.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 pp. 217-235. 

  9. Jeon, D. G., Kang, E. M., & Choi, J. Y. (2008).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internet shopping mall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0(6), 890-899. 

  10. Jo, E. A., & Kim, M. S. (2004). Adolescents' attitude toward and purchasing behavior for the imported luxuries and the famous brand clothing as determined by conspicuous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76-87. 

  11. Kim, D. H. (1996). A study on scale development of consumptionori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12. Kim, I. S., & Jeong, Y. S. (1995). A study on the intergener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consumer role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5), 39-45. 

  13. Kim, M. S. (2006). A study on materialism orientation and impulse buy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im, S. H. (2003). The influence of product involvement and knowledge on internet WOM.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1), 257-280. 

  15. Kim, S. S. (2009). Internet Marketing. Seoul: 21th Press. 

  16. Kim, S. Y. (2000). A study of conspicuous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korean female X-generation consum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7. Ko, E. J., Kim K. H., & Moon H. K. (2008). Marketing. Seoul: Parkyoungsa. 

  18. Lee, E. J., & Hong, B. S. (2006).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estimation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to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5), 79-87. 

  19. Lee, M. H. (2006). Lifestyle types and clothing consumption orientation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 consume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5) 776-789. 

  20. Lee, S. H. (2000). A characteristic of consumer groups classified by clothing shopping mo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8), 1242-1253. 

  21. Liuxia, L., Han, P. G., Jeon, B. H., & Kang, B. G. (2008). A study on adoption of UCC advertising.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Spring Conference, Korea, pp. 1029-1035. 

  22. Mason, R. (1984). Conspicuous consumption: A literature review.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3), 26-39. 

  23. Min, D. H. (2008). The Study on effect of mobile advertising.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Fall Conference, Korea, pp. 183-186. 

  24. Shin, D. Y. (2009). The case study on online advertising types of online gam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17(2), 29-37. 

  25. Shin, S. A. (1999). A Study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Ho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26. Thorsten, H. T., Gwinner, K. P., Gianfranco, W., & Gremler, D. D. (2004). Electronic Word-of-Mouth via consumer-opinion platforms: What motivates consumers to articulate themselv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8(1), 38-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