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 구매행동
Purchase Behaviors on Imported Fashion Luxury Brand's Bag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sumption Values of Fe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4, 2012년, pp.554 - 566  

이가나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신수연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onsumption values of 20's and 30's female consumers,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he consumption value groups, and analyze purchase behaviors of imported fashion luxury brand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value types. The subjects were 518 women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heth의 소비가치 체계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국내 20-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패션명품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하고 소비가치 집단에 따른 명품 가방 구매행동을 파악하여 패션명품시장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20-30대 여성 소비자 집단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통 있는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 생산하는 우수한 품질과 디자인의 희소가치와 소장가치를 지닌 제품을 패션명품으로 정의하였으며, 현재 국내 패션명품시장의 주를 이루고 있는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매출에 있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방을 연구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 최근 들어 패션명품을 대상으로 한 소비가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패션명품 소비에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는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의 가방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소비가치 체계를 정립한 Sheth의 소비가치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패션명품의 주 소비층으로 부상한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동안 패션명품 구매행동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대부분이 패션명품의 제품 전반에 걸쳐 이루어져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패션명품 구매에 있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의 가방을 중심으로 구매동기, 선택기준, 정보원, 구매빈도, 구매비용, 보유개수, 구매점포 및 선택기준,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을 소비가치에 따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구매행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2: 소비가치에 따른 20-30대 여성 소비자 유형별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구매행동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소비가치에 따른 20-30대 여성 소비자 유형별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제품/가격/점포 만족도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백화점 매출 증가세가 둔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0, 2011년 백화점 패션명품 부문의 매출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를 차지하게 되었다 (“Why do people”, 2011). 지식경제부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백화점 매출 증가세가 둔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백화점 패션명품 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12.4% 증가하였으며, 2011년 1월에는 전월 대비 3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Major Distributors”, 2011). 백화점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패션명품관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명품편집 매장, 명품아울렛, 명품온라인쇼핑몰의 매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패션명품시장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Kim & Shin, 2011).
과거 극소수 상류층 위주의 소비가 주를 이루었던 패션명품시장이 최근 소득이나 연령의 제한 없이 명품 수요가 늘어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패션명품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1990년대 초반 우리 사회에 대두되었던 글로벌화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서 비롯된 것으로, 1995년 병행수입제도가 시행되고 1996년에는 유통시장이 전면 개방되면서 국내 명품시장 규모의 확대와 소비의 고급화 추세가 가속화되었다(“Luxurization of consumer market”, 2001). 또한, 인터넷 활성화와 국제화, 국민소득의 증가, 소비자 의식이 변화되면서 과거 극소수 상류층 위주의 소비가 주를 이루었던 패션명품시장은 최근 소득이나 연령의 제한 없이 명품 수요가 늘어나 다양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Kim & Lee, 2005). 특히, 감각과 유행을 중요시하는 소비의식과 디자인 및 외형, 가격보다는 브랜드를 중시하는 소비성향이 맞물려 패션명품시장이 대중화되고, IMF 이후 합리적 소비 문화의 정착으로 가치 지향적인 젊은 소비자들에게 실속형 구매와 비싸더라도 가치 있는 명품 구매의 소비행태가 동시에 나타나게 되면서(Ha, 2003) 패션명품 구매고객 중 20-30대 고객이 급격히 증가하였다(“Luxury shopping”, 2010).
패션명품 구매고객 중 20-30대 고객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점은 무엇인가? 특히, 감각과 유행을 중요시하는 소비의식과 디자인 및 외형, 가격보다는 브랜드를 중시하는 소비성향이 맞물려 패션명품시장이 대중화되고, IMF 이후 합리적 소비 문화의 정착으로 가치 지향적인 젊은 소비자들에게 실속형 구매와 비싸더라도 가치 있는 명품 구매의 소비행태가 동시에 나타나게 되면서(Ha, 2003) 패션명품 구매고객 중 20-30대 고객이 급격히 증가하였다(“Luxury shopping”, 2010).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시계와 가방 등의 피혁제품에 대한 소비는 증가하는 반면, 의류와 구두의 소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Luxury goods ordinary”, 2011) 최근에는 의류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낮고 유행에 민감하지 않은 가방에 주력하는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An irresolute female's mind”,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n, G. H., Hwang, S. J., & Chung, C. J. (2005). 패션마케팅 [Fashion marketing]. Seoul: Soohaksa. 

  2. 'An irresolute female's mind, Lanvin, Givenchy etc. strongly challenge Louis Vuitton, Chanel stronghold'. (2010, December 3). Joongangilbo. Retrieved March 4, 2011, from http://joongang.joinsmsn.com 

  3. Apparel news editorial department. (2010). 2010/2011 한국 패션 브랜드 연감 [2010/2011 Korea Fashion Brands Yearbook]. Seoul: Apparel news. 

  4. Braithwaite, V. A., & Scott, W. A. (1991).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San Diego: Academic Press, pp. 661-745. 

  5. Cailleux, H., Mignot, C., & Kapferer, J. (2009). Is CRM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6), 406-412. 

  6. Cha, T. H., & Nam, K. M. (2004). A comparison of choice behavior in luxury brands shopping channel of the on-line and off-line: focusing on the age 20's group of women consumers. Journal of Korea Advertising Society, 64(3), 237-258. 

  7. Choi, S. Y. (2010a). 20-30 in lifestyle and fashion brand purchasing behavior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8. Choi, Y. J. (2010b).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fashion leadership on benefit seeking and brand loyalty luxury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Seoul. 

  9. Dubois, B., & Duguesn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1), 35-44. 

  10. Engel, J. F., Blackwell, R. D., & Kollat, D. T. (1993). Consumer behavior (3rd ed.). Orlando: The Dryden Press. 

  11. Ha, S. J. (2003). Consumer segmentation of fashion luxury and ambivalent consump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Husic, M., & Cicic, M. (2009). Luxury consumption facto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3(2), 231-245. 

  13. Hwang, S. Y. (2003).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onsumer's behavior to purchase prestigious brand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4. Jeon, I. S., & Kim, E. W. (2005). A three-stage model of reputation brand.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6(1), 209-227. 

  15. Joo, B. R. (2008). Road map to creating luxury brands in Korea-with focus on analyzing the success strategies of international luxury fashion brands.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8(1), 49-63. 

  16. Jung, Y. H. (2007). A study on fashion behavior and make-up behavior in terms of the lifestyle and the self-concept of post digital gene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17. Kim, A. M., & Shin, J. Y. (2011, 10). Changing from ostentation to means of expression of individuality, 'habitual purchase' of VIP customers greatly increased. Shindonga, 625, pp. 238-245. 

  18. Kim, B. H. (2006). The effect of the determinants of luxury consumption for department stores on satisfaction of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19. Kim, C. S., & Lee, J. W. (2005). A study on consumer behavior targeted on prestige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types of retail stores. Journal of the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8(2), 47-52. 

  20. Kim, M. S., & Han, H. J. (2002). Relating consumption values to prepurchase decision making of appar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6), 853-864. 

  21. Kim, N. D. (2007). 사치의 나라 럭셔리 코리아 [Country of extravagance, luxury Korea]. Seoul: Miraebook Publishing. 

  22. Kim, S. A. (2010). The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the shopping values and luxury purchas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Kim, S. H. (1999).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Lee, K. S. (1992). The study on women's clothing attitudes and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status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Lee, M. J. (2004).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consumer depending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fashion pre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26. Lee, S. H., Lee, L., & Jung, S. Y. (2003). The effects of variables on fashion luxury brand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1), 1241-1251. 

  27. Lim, S. J. (1992). The study on purchase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lothing behavior and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Luxurization of consumer market and it's corresponding actions from companies'. (2001). SERI. Retrieved March 29, 2012, from http://www.seri.org 

  29. 'Luxury goods ordinary in Korea, expenditure of 5% of incomes'. (2011, September 1).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September 1, 2011, from http://www.mk.co.kr 

  30. 'Luxury shopping of 20's and 30's, noble body'. (2010, September 9). Busanilbo. Retrieved May 12, 2011, from http://www.busan.com 

  31. 'Major distributors sales trend'. e-National Indicators. Retrieved March 4, 2011, from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32. Michel, C., & Gerald, M. (2008). Luxury brand management (J. Y. Son, Trans.). Seoul: Miraebook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33. Moon, H. K., & Choo, H. J. (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8(2), 1-14. 

  34. Nia, A., & Zaichkowsky, J. L. (2000). Do counterfeit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9(7), 485-497. 

  35. Olshavsky, Richard W., & Donald H. Granbois. (1979). Consumer decision making: Fact or Fi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6(2), 93-100. 

  36. Park, E. H., & Ku, Y. S. (2008). Fashio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value typolog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7(5), 927-938. 

  37. Park, J. N. (2010). A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attitudes and consumer knowledge about luxury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03-1318. 

  38. Park, T. H., & Lee, M. H. (2003).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buyers at department store and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3(7), 83-94. 

  39. Ryou, E. J.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service quality of internet apparel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2(3), 161-169. 

  40. Shah, D. (2000). A new definition of luxury. Textile View, 52, 6-7. 

  41. Sheth, J. N., Newman, B.I., & Gross, B.L.. (1991a).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 Theory and Application. Cincinnati: South-Western Publishing Co. 

  42. Sheth, J. N., Newman, B.I., & Gross, B.L. (1991b).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 159-170. 

  43. Song, J. E. (2008). The research about fashion luxury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adult female spending val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4. Sun, D. M. (2011). A comparative study on Chinese & Korean consumers' attitudes and consumption value about lux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45. Tynan, C., Mckechnie, S., & Chhuon, C. (2010). Co-creating value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3(11), 1156-1163. 

  46. Um, G. H. (2003). The study on brand image evaluation to products of overseas famous fashion bran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47. Weinberg, P., & Wolfgang, G.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3), 43-67. 

  48. 'Why do people purchase expensive luxury goods?'. (2011, October 7).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November 22, 2011, from http://www.mk.co.kr 

  49. 'WSJ, Korea luxury market rapidly emerges as mecca'. (2010, July 20).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March 4, 2011, from http://www.mk.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